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연내 발표···신규 원전 건설 공식화 유력
두산에너빌리티 등 국내 원전업계 숨통 트일까

/그래픽=김은실 디자이너
/그래픽=김은실 디자이너

[시사저널e=정용석 기자] 정부가 올해 안에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 초안을 공개할 예정인 가운데 원전업계를 중심으로 신규 원전 건설에 대한 기대감이 나온다. 신한울 3‧4호기 건설에 이어 신규 원전 사업이 향후 공개될 전기본에 포함된다면 두산에너빌리티를 비롯해 원전 생태계 전반이 활력을 되찾을 것으로 전망된다.

26일 정부와 에너지업계 등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와 전기본 수립 총괄위원회는 오는 2038년까지 적용되는 11차 전기본 실무안을 연내 발표하는 것을 목표로 두고 막바지 작업에 들어갔다. 전력수급기본계획은 정부가 2년 단위로 내놓는 에너지정책 방향으로 향후 15년 동안의 계획을 담고 있다. 

원전업계는 11차 전기본에는 신규 원전 확대 내용이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반도체·데이터센터 등 첨단산업 영향으로 전력수요가 크게 오를 것으로 전망되면서 신규 원전의 필요성 또한 커지면서다. 정부가 지난 7월 경기 용인 등 7곳에 선정한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에만 15기가와트(GW) 이상의 전력 공급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수도권  현재 수도권 전력 수요(40GW)의 37.5%에 달한다.

에너지 전문가들은 오는 2038년 최대 전력이 지난해 12월(94.5GW)보다 50%가량 높은 140GW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한다. 원전업계 관계자는 “급격히 치솟을 전력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선 신규 원전 건설은 필수”라며 “현재 25기 원전이 가동 중이지만 2035년부터는 신규 원전 건설안이 없어 11차 전기본에 포함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정부도 원전 비중을 늘린다는 방침이다.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따라 축소됐던 원전 비중도 대폭 늘렸다. 전 정부는 지난 2020년 발표한 9차 전기본에서 원전 비중을 10%까지 줄이기로 했지만, 현 정부는 지난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통해 원전 비중을 2030년 32.4%, 2036년 34.6%로 높여 잡았다.

신한울 원자력발전소 3,4호기 조감도. /사진=한국수력원자력
신한울 원자력발전소 3,4호기 조감도. /사진=한국수력원자력

신규 원전 건설이 공식화되면 신한울 3·4호기 건설이 반영된 지난 2015년 이후 약 8년 만에 새 원전 사업이 열리게 된다. 두산에너빌리티 등 국내 원전 업체들은 수주 확대 등으로 활력을 되찾을 것을 기대하고 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윤석열 정부의 친원전 정책의 최대 수혜기업으로 꼽힌다. 앞서 두산에너빌리티는 정부의 친원전 정책 수혜로 신한울 3·4호기 주설비 공사를 수주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1400MW급 원자력 발전소 2기의 토목·건축·기계·배관 공사를 맡는다. 수주 규모는 2조8701억원으로 올해 3분기 누적 수주액 중 절반에 해당하는 규모다. 지난 9월 말 두산에너빌리티 누적 신규 수주는 전년 동기 대비 22.4% 증가한 5조2551억원으로 집계됐다.

두산에너빌리티를 둘러싼 경영 환경도 긍정적인 변화를 보이고 있다. 한국기업평가는 두산에너빌리티 신용등급을 1년 9개월여 만에 ‘BBB(긍정적)’에서 ‘BBB+(안정적)’로 상향했다. 한국기업평가는 대규모 프로젝트 수주에 따라 재무 안정성 개선을 등급 변경 사유로 꼽았다. 

내년부터는 글로벌 원전 시장에서도 수주 성과가 기대된다. 증권업계는 두산에너빌리티가 내년 체코와 폴란드에서 최소 3조원 이상 수주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수력원자력과 두산에너빌리티 등 팀코리아는 체코에 건설되는 신규 원전 사업에 최종입찰서를 제출했다. 내년 3월경 우선협상대상자가 선정될 예정이다. 폴란드 원전 건설 2단계 사업에서도 한국 기업들이 우위를 점할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이외에도 두산에너빌리티는 팀코리아를 통해 튀르키예, 사우디아라비아 등에서도 수주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다만 두산에너빌리티가 새 정책의 수혜 효과로 관련 실적을 내기까지는 상당 기간이 소요될 전망이다. 신규 원전 건설이 본궤도에 오르려면 전기본 반영 이후 실시 계획 승인, 건설 허가 등의 단계를 거쳐야 한다. 새울 1~4호기와 신한울 1·2호기의 경우 실시 계획 승인까지 30개월이 소요됐다. 업계 안팎에서는 원자력안전위원회의 건설 허가까지 받으려면 최소 3년은 걸릴 것으로 보고 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