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순민 KT 상무 “힌국 산업포트폴리오, AI 시대 경쟁력 갖춰”

배순민 KT 융합기술원 AI2XL 소장(상무)이 지난달 30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서울에서 '디지털 심 시, 통신산업의 AI 전략'을 주제로 열린 세미나에서 발표하고 있다. / 사진 = 김용수 기자
배순민 KT 융합기술원 AI2XL 소장(상무)이 지난달 30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서울에서 '디지털 심화 시대, 통신산업의 AI 전략'을 주제로 열린 세미나에서 발표하고 있다. / 사진 = 김용수 기자

[시사저널e=김용수 기자] “정보는 독점돼야 한다. 웬만큼 조금씩 가져선 AI가 될 수 없다. 하나하나 할 때마다 딴지를 건다면 진정한 인공지능(AI) 시대로 가는 속도는 늦어질 것이다.”

배순민 KT 융합기술원 AI2XL 소장(상무)은 지난달 30일 고려대 기술법정책센터가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서울에서 ‘디지털 심화 시대 통신산업의 AI 전략’을 주제로 진행한 세미나에서 이같이 밝혔다. 배 소장은 2021년 KT 입사 전 삼성테크윈과 네이버에서 로봇, CCTV, 비디오, 아바타 AI 연구개발을 담당한 바 있다.

배 소장은 “우리나라가 AI 경쟁력이 있는 이유는 산업 포트폴리오가 좋기 때문이다. 제조업, 엔터테인먼트, 커머스, 검색 등을 다 가진 국가는 한국밖에 없다고 생각해도 된다. 그래서 가장 많은 데이터를 가질 수밖에 없다”면서도 “AI를 할 때 우리 정보의 가치가 너무 남용되는 게 아닐까 하는 것과 어떤 기업이 정보를 독점하는 것 자체가 너무 심한 것 아닐까 생각이 있는데, 진정한 AI 시대를 살기 위해선 이 두 가지는 반드시 깨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내가 쓰는 물건, 금융, 지인 등 정보를 통합하지 않고선 AI 시대로 갈 수 없다. 과연 이것을 어느 나라가 할 수 있을지 생각해보면 독재 정부가 더 쉬울 것”이라며 “기업도 마찬가지다. 기업 중에서도 오너가 있는 기업이 편한 점도 있더라. 대표와만 맞으면 되기 때문이다. 결재받아야 하는 사람만 20명 있으면 (AI를) 못 한다”고 덧붙였다.

지난달 30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서울에서 '디지털 심화 시대, 통신산업의 AI 전략'을 주제로 열린 세미나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사진 = 김용수 기자
지난달 30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서울에서 '디지털 심화 시대, 통신산업의 AI 전략'을 주제로 열린 세미나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사진 = 김용수 기자

전문가들은 통신사가 AI 시장에서 플랫폼사업자와 경쟁해 생존하기 위해선 기존 통신사업이 아닌 AI에 초점을 맞춘 경영마인드 변화가 필요하단 점을 강조했다.

신민수 한양대 경영학부 교수는 “어떤 사업자든 AI를 제대로 활용하려면 개발자도 있어야겠지만, 사업 이해관계자들과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 통신사들이 과거에도 플랫폼 사업을 시도한 적이 있지만, 다 실패했다. 통신과 플랫폼은 업의 특성이 다르고 경영적 사고가 다르기 때문”이라며 “결국 AI에 기초한 통신사의 사업모델이 통신산업의 진화하는 맥락에 맞춰 형성되는 게 아니라, 트렌드에 맞춰 한번 개발되고 있는 것 아니냐는 걱정이 든다. 통신사가 AI에 대한 고민은 많이 하지만, 일반적인 빅테크와 같은 전략을 가져간다면 통신사가 서바이벌에서 생존할 수 있을지에 대해 의문이다”고 했다.

이어 “통신사업자는 기본적으로 일관된 체계를 갖는다. 수익의 기반이란 것도 규모가 크다고 본다. 플랫폼은 작은 규모의 수익을 모아서 가져가는 구조라 좀 다르다. (플랫폼은) 경영적 사고도 통제가 아니라 창의적”이라며 “AI가 통제 체계에 들어가 통신사가 지금처럼 경영한다면 발전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CEO 입장에선 어떻게 받아들일지도 문제라서 고민을 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세미나에서 통신3사는 정부가 AI 산업에 대한 세액공제 등 정책 지원을 확대해달라고 요구했다.

박철호 KT 사업협력담당 상무는 “한국이 초거대 AI를 보유한 4대 국가 중 하나이긴 하지만, 앞서 나가는 수준은 아니고 여전히 격차가 존재한다. 또 클라우드로 보면 글로벌 빅테크가 국내 시장의 80%를 차지하고 있다”며 “국가 신성장동력인 AI와 클라우드 산업에 대해 정부 지원이 절실한 시점”이라고 했다.

그는 “AI와 클라우드를 국가전략기술로 지정해 더 많은 세액공제를 적극 지원해줬으면 한다”며 “또 최근 정부가 행정전산망의 오류 사태로 검토 중인 공공영역에서의 대기업 참여 제한 문제를 획기적으로 완화해줬으면 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