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이후 일곱 차례 연속 기준금리 동결
경기 둔화 고려···한은, 내년 성장률 전망치 2.2%→2.1% 하향
3% 후반대 물가상승률 및 한미 금리 격차 등 인상 요인 남아있어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30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사진=한국은행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30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사진=한국은행

[시사저널e=김희진 기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3.5%로 동결했다. 지난 2월과 4월, 5월, 7월, 8월, 10월에 이은 일곱 차례 연속 동결이다. 물가상승률과 한미 금리 격차, 가계부채 증가세 등을 고려하면 금리를 인상해야 하지만 국내 경기 회복 흐름이 여전히 더딘 상황이라 금리를 유지한 채 상황을 지켜보겠다는 판단으로 풀이된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30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부에서 올해 마지막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연 3.5%로 유지하기로 했다.

앞서 지난 2월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동결하면서 2021년 8월 기준금리 인상 기조가 시작된 지 1년 6개월 만에 인상 행진이 멈춘 바 있다. 이어 4월과 5월 7월, 8월, 10월, 그리고 이번 11월 금통위에서도 기준금리 동결을 결정하면서 일곱 차례 연속 금리 동결이 이어지고 있다.

이번 금통위를 앞두고 시장에서는 동결 전망이 우세했다. 금융투자협회가 이달 17일부터 22일까지 채권 보유·운용 관련 종사자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응답자 100명 중 96%(96명)가 올해 마지막인 11월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이라고 답했다.

10월 금통위 당시 금리 동결을 예상한 응답자가 90%였던 것과 비교하면 동결 전망에 더 무게가 실린 셈이다.

금투협은 “미국 인플레이션 둔화로 통화정책 기조 전환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으나 한미 물가상승률 역전 및 국내 가계부채 급등 등으로 기준금리 동결에 대한 기대감이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말했다.

물가 안정과 가계부채 증가세를 고려하면 금리를 올려야 하지만 국내 경기 회복에 대한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다는 점이 기준금리 동결 배경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 17일 국제통화기금(IMF) 집행이사회는 내년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2.2%로 잡았다. 지난 7월 전망했던 2.4%에서 0.2%포인트 낮춘 것이다.

지난 21일 국회예산정책처에서 내놓은 ‘한국 경제 진단과 대응 전략’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부터 2027년까지 국내 경제성장률이 연 2.2%에 그칠 것으로 추산하면서 “성장경로, 공급, 수요 등의 측면에서 한국경제의 성장 둔화 위험이 존재한다”고 지적한 바 있다.

한은 금통위는 이날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는 기존 전망치와 같은 1.4%로 유지했지만 내년 성장률은 2.1%로 0.1%포인트 하향했다.

한편 지난 10월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8%로 7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다만 소비자가 1년 후 예상하는 물가 수준을 나타내는 기대인플레이션율은 11월 3.4%로 지난 10월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최대 2.0%포인트로 벌어진 미국과의 금리 격차와 함께 물가가 한은의 목표치인 2%를 웃돌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지난 금통위와 마찬가지로 향후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을 열어둔 ‘매파적 동결’ 기조는 계속해서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