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가 마련한 상생신상제도 놓고 갈등
BGF리테일 “상생안은 점포 수익 향상 제도”

[시사저널e=한다원 기자] 편의점 CU와 점주가 상생안을 놓고 갈등을 빚고 있다. 24시간 운영 점포에 CU가 제공했던 전기료 지원을 없애면서 마련한 상생안이 갈등의 핵심이다. CU는 상생안이 매출 향상에 초점을 뒀다고 주장하는 반면 점주들은 상생제도를 빌미로 판매할 수 없는 상품 발주를 강제하고 있다며 점포 운영 어려움을 호소했다.

29일 CU가맹점주협의회는 BGF리테일 본사 앞에서 기자회견과 집회를 개최했다. 가맹점주협의회는 현재 CU가 내놓은 상생안이 점포 매출과 수익에 실질적인 도움으로 이어지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CU의 올해 상생신상제도. / 자료=CU가맹점주협의회, 표=김은실 디자이너
CU의 올해 상생신상제도. / 자료=CU가맹점주협의회, 표=김은실 디자이너

BGF리테일은 2018년부터 상생 차원에서 전기요금을 지원했다. 다만 지난해부터 CU는 신상품 발주량에 비례해 저회전철수(반품) 비용과 폐기량에 비례해 폐기 비용을 차등 지원하는 일명 상생신상제도로 전환했다.

CU와 점주간의 갈등은 지난해부터 시작됐다. CU가 지난 2021년 발표한 ‘2022년도 가맹점 상생안’을 통해 가맹점에게 지원해주던 전기료를 중단했기 때문이다. 당초 전기료 지원은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가맹점주 부담을 본사가 나누겠다는 취지로 도입됐다. 그러나 CU는 직접적인 비용 지원 대신 점포 매출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향의 지원책을 도입하겠다며 이를 없앴다.

편의점들은 그간 24시간 운영 점포에 한해 전기료를 지원했다. 그러나 GS25는 2019년부터, CU는 지난해, 세븐일레븐은 올해부터 전기료 지원을 중단했다. 대신 GS25는 가맹점 수입 배분율을 기존 대비 8% 늘리고, 세븐일레븐은 발주 장려 지원금, 냉장상품 매입 지원책을 신설했다. CU는 폐기지원금 인상 및 신상품 도입 지원금 신설을 상생안에 담았다.

다만 CU가맹점주협의회가 전국 CU 점주 55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CU 상생지원제도 만족도 및 실태’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92.9%가 제도의 만족도를 60점 이하로 평가했다. 또 제도가 점포 매출 및 수익에 도움되지 않거나 피해를 주고 있다는 응답은 절반을 넘어섰다.

CU 가맹점주들이 폐기물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 사진=한다원 기자
CU 가맹점주들이 폐기물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 사진=한다원 기자
반품, 폐기 처리하지 못하고 창고나 외부에 보관 중인 상품들. / 사진=한다원 기자
반품, 폐기 처리하지 못하고 창고나 외부에 보관 중인 상품들. / 사진=한다원 기자

CU가맹점주협의회는 상품의 원가가 급상승하고 본부가 다품목 전략으로 변경하면서 반품비용이 턱없이 부족하다고 주장했다. CU가맹점주협의회 관계자는 “오래전부터 상품발주 및 판매 촉진을 위해 상품 발주 금액에 비례해 반품 비용을 지원했다”면서 “2~3년전만해도 본부가 지원하는 반품 비용이 충분하거나 다소 남았지만 지금은 턱없이 부족하다”고 밝혔다.

즉 과거에는 CU가 잘 팔리는 상품을 중심으로 상품을 운영했으나 점포에서 취급하는 상품의 수를 대폭 늘리는 다품목 전략으로 변경했다는 의미다. 이로써 가맹본부는 점포에서 발주, 취급하는 상품수가 증가하고 반품 비용도 증가할 수 밖에 없다고 주장한다.

현재 CU는 점포의 상품 반품 비용을 '매월 6만원+발주원가의 0.3%' 기준을 적용해 반품 금액을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가맹본부는 “CU가 상품의 발주 및 판매 촉진을 위해 마케팅차원에서 지원하던 반품지원비를 더 이상 부담을 하지 않고 부족분을 상생신상제도를 통해 해결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반품, 폐기 처리하지 못하고 창고에 보관 중인 상품들. 점주가 더 이상 상품을 점포에 보관하지 못해 바코드(오른쪽)로 재고 수량만 관리하고 있다. / 사진=CU가맹점주협의회 자료 캡처
반품, 폐기 처리하지 못하고 창고에 보관 중인 상품들. 점주가 더 이상 상품을 점포에 보관하지 못해 바코드(오른쪽)로 재고 수량만 관리하고 있다. / 사진=CU가맹점주협의회 자료 캡처

특히 CU가맹점주협의회 관계자는 “상생신상제도는 지원대상의 상생신상품을 과도하게 지정하거나 소비자에게 판매할 수 없는 상품까지 상생신상품으로 지정해 상품밀어내기를 하고 있어 점주들의 피해가 가중되고 있다”고 밝혔다.

CU가맹점주협의회에 따르면 CU는 상생신상품을 월간 평균 156개, 월간 최고 239개를 지정해 이중 80% 이상 발주를 유도하고 있다. 이렇게 발주한 상품의 일부는 대부분의 점포에서 진열, 판매로 이어지지 않고 있어 점주들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아울러 상생신상품의 상당수는 상권에 따라 판매가 불가능한 상품까지 포함되고 있다는 것이 CU가맹점주협의회 측 주장이다. 예를 들어 기저귀, 대용량 김치, 완구류는 오피스상권, 유흥상권 등에서는 판매가 불가능해 점주가 대신 구매하거나 폐기 처리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최종열 CU가맹점주협의회 회장은 “상생을 가장한 상품밀어내기 제도인 상생신상제도를 폐지하고 이전에 지원했던 전기요금지원을 요구했고, 전기요금지원이 불가하면 신상품이 고객에게 판매될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요구했다”면서 “CU는 내년에도 현재 상생신상제도를 이어가겠다는 입장이다. 앞으로도 상생을 위한 제도로 개선해줄 것을 촉구해 점주들의 피해를 줄여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BGF리테일 관계자는 “가맹계약과 별도로 단순 비용 지원 방식이 아닌 가맹점의 실질적인 수익성 향상을 돕는 상생안을 운영하고 있다”면서 “내년도 상생안이 확정되면 개별 가맹점에 충분한 안내, 동의를 얻어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