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바이오경제 2.0 추진 방향 발표
바이오의약품 제조 강국 위해 15조원 투입
신소재·에너지·디지털 등 바이오신산업 육성
업계, 세제·인재양성 등 지원 필요성 제기

[시사저널e=최성근 기자] 정부가 바이오 분야 신산업을 집중 지원한다. 기존 의약품 중심에서 벗어나 신소재, 에너지, 디지털 등 새로운 바이오 먹거리를 적극 발굴한다. ‘초격차’ 바이오의약품 제조국 도약을 위해 15조원을 투입하고, 2030년까지 생산 100조원, 수출 500억 달러 규모의 바이오 강국으로 발돋움하겠단 청사진을 제시했다. 업계에서 어려움을 토로하는 세제 등 규제완화도 적극 추진하겠단 방침이다. 

1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최근 글로벌 시장에서 세포 치료제, 유전자 치료제 등 바이오의약품 성장세가 두드러진다. 기후변화에 대응한 친환경 바이오신소재, 바이오 에너지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고, 바이오빅데이터, 디지털의료기기 등 인공지능(AI)‧디지털과 바이오간 융합도 가속화하고 있다. 

이에 바이오 자원에 기반한 공정‧제품‧서비스를 활용한 바이오경제의 중요성도 높아지고 있지만, 국내에선 아직 뒷받침할 기반이 부족한 실정이다. 미국과 일본, 유럽연합 등 경쟁국들이 앞다퉈 지원책을 발표하면서 우리나라도 정부차원의 지원책이 시급하단 지적이 나온다.

이에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날 서울 동대문구 서울바이오허브에서 산업계와 협회, 기관, 하계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바이오경제 2.0’ 추진방향을 발표하고 민관 얼라이언스 발족식을 가졌다. 

이창양 산업부 장관은 “우리 바이오시밀러가 글로벌시장에서 실력을 인정받고 있으나, 바이오의약품 제조를 제외하면 민간투자가 저조해 바이오 경제 전반을 아우르는 미래 비전을 제시하고 포괄적이고 체계적 전략 마련이 시급하다”며 “오늘 발표하는 바이오 2.0 추진 방향은 우리나라가 바이오 경제 선도국으로 나가기 위한 이정표”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바이오경제 2.0 추진방향으로 2030년 세계1위 바이오의약품 제조국 도약, 바이오신소재 산업 육성, 바이오에너지 상용화, 디지털바이오 혁신생태계 구축, 바이오경제 기반 구축 등을 제시했다. 

/ 그래픽=정승아 디자이너
/ 그래픽=정승아 디자이너

◇바이오의약품 분야 민간투자 15조원 지원···“국가바이오파운드리 구축”

초격차 바이오의약품 제조국을 위해 2030년까지 바이오의약품 분야에서 15조원 규모 민간투자를 지원한다. 현재 바이오분야는 백신기술만 국가전략기술로 지정돼 있는데 이를 바이오의약품까지 확대해 바이오의약품에 대한 투자세액공제를 대폭 확대한다. 생산공장 조기 준공에 필요한 부지, 전력 등 인프라도 적극 지원한다. 

원부자재 연구개발(R&D) 기술로드맵을 수립하고, 전략적 외국인 투자유치에 나선다. 이를 통해 현재 5%인 원부자재 국산화율을 2027년 10%, 2030년 15%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국가바이오파운드리를 구축해 바이오 개발‧공정을 표준화‧고속화‧자동화하고, 바이오 기반 제품의 상용화를 가속화하기 위해 한국판 바이오메이드(BioMADE)를 설립한다”며 “이밖에 바이오 국가첨단산업 특화단지 지정을 추진하는 등 바이오 클러스터도 적극 육성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바이오신소재 산업 활성화 방안도 마련했다.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환경표지인증 유효기간을 연장하고 기준도 세분화한다. 생분해성 플라스틱 산업 기반을 마련하고, 바이오매스 등 친환경 섬유와 식품의 기술개발과 사업화도 촉진한다. 현재 바이오납사는 전량(5만톤) 수입하고 있는데 기술개발을 통해 2030년엔 연간 20만톤까지 국내 생산한단 계획이다.

친환경 바이오에너지 상용화 관련해선 석유정제업자의 바이오제품 생산을 위한 석유사업법 개정을 추진하고, 품질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국가‧국제 표준 개발도 나선다. 생산-수요 업계가 참여하는 바이오항공유 및 바이오선박유 실증연구를 올 하반기부터 추진하고, 수소첨가 바이오디젤 실증연구를 통해 신재생에너지연료혼합의무(RFS) 비율을 2030년까지 현재 목표 5%에서 8%까지 상향할 계획이다. 차세대 바이오연료 기술개발에 대한 예비타당성조사도 추진한다. 

19일 서울 동대문구 서울바이오허브에서 바이오경제 2.0 원탁회의가 열렸다. 이 자리에는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을 비롯한 정부 주요인사와 산업계, 협회, 기관, 학계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 사진=최성근 기자
19일 서울 동대문구 서울바이오허브에서 바이오경제 2.0 원탁회의가 열렸다. 이 자리에는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을 비롯한 정부 주요인사와 산업계, 협회, 기관, 학계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 사진=최성근 기자

◇바이오데이터 활용 기반 마련···업계 “글로벌 경쟁사 공격적 투자, 인센티브 절실”

정부는 또 100만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생성형 AI 기반 바이오데이터 개발, 바이오 데이터 국가간 교류 등 바이오데이터 활용 기반 마련 계획도 제시했다. 규제개선, 실증, 인증 등을 통해 2030년 디지털헬스 서비스 50건을 상용화하고, AI 등을 활용한 디지털치료기기 기술도 지원한다. 반도체, 디스플레이, 나노 같은 타기술과 접목한 기술융합형 제품화 성공사례를 2030년까지 50건 이상 창출하겠단 목표를 제시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해외에 없는 갈라파고스 규제를 정비하고 첨단바이오기술 등에 대한 제도공백 해소를 통해 신시장 창출을 지원해 나갈 계획”며 “대규모 생산공정 실습시설 구축, 산학융합형 교육확대 등 바이오헬스 초격차 확보를 위한 핵심 인재를 양성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360조원 규모의 무역금융 활용, 해외인증지원단 등을 통한 인증 컨설팅 제공, 현지 KOTRA 무역관내 K-바이오 데스크 설치, 바이오경제동반자협정(BEPA) 등을 추진해 바이오분야 수출을 지원한단 방침이다. 

업계에선 글로벌 경쟁사들의 공격적 투자에 맞서 국내 바이오기업들도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투자 인센티브 지원이 절실하다고 지적한다. 존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이사는 “의약품 개발과 사업화 성공까지는 리스크가 크고 장기간 동안 대규모 투자가 필수적으로 동반된다”며 “바이오 기업들의 신약을 개발할 수 있도록, 세제 혜택과 규제완화 같은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국내엔 바이오 의약품 전문 인력이 많이 부족하다. 신규채용 후 본격적 업무 투입에 앞서 회사가 자체적으로 수개월의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며 “정부와 교육기관에서 바이오 산업현장에서 필요로하는 기술 교육을 제공하고 인프라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다른 국내 주요 제약바이오 기업 대표이사는 ”세제지원을 강화하면 기업 입장에서 도움이 될 수 있다“며 ”생산시설 직접 투자 외에 간접투자비용에 대한 세제지원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