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광 발전' 국내 대기업 중심 탄소중립 달성 방안으로 떠올라
중국 저가 공세···국내 태양광 산업 경쟁력 악화
"태양광, 국가 간 기술격차가 크지 않아···정부 정책 추진 뒷받침 돼야"

전남 해남의 '솔라시도 태양광단지'. /한국남부발전
전남 해남의 '솔라시도 태양광단지'. / 한국남부발전

[시사저널e=정용석 기자] 국내 대기업들이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방안으로 태양광 발전단지 설립 계획을 잇따라 발표하면서 국내 태양광 수요 증대가 예상된다. 다만 중국의 저가 공세로 국내 태양광 생태계 경쟁력은 악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국내 산업을 보호할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포스코퓨처엠은 ESG 경영 전략과 성과를 담은 기업시민보고서를 발간하고 2050년까지 배터리 소재 등 전체 사업군에서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특히 태양광 발전설비를 통해 재생에너지 사용량을 늘리겠다는 계획이다. 

태양광 발전설비를 늘리는 기업은 늘고 있다. 지난 5일 사용 전력량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대체하는 ‘RE100(Renewable Energy 100)’ 가입을 선언한 LG전자가 대표적이다. LG전자는 서울 마곡 LG사이언스파크, 미국 뉴저지 사옥 등 국내외 사업장에서 옥상 등에 설치한 태양광 패널로 자체 생산한 에너지를 사용 중이다. 

카카오 또한 최근 RE100에 가입하고 제주 오피스를 운영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전력 100%를 태양광 에너지로 전환했다. 

RE100, 탄소중립 목표 수립 등을 이유로 기업들이 태양광에 주목하면서 국내 태양광 수요가 급증하고 있지만 국내 태양광 업체들은 성장세가 더디다.

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 통계에 따르면 국내 태양광 제조업 내수시장 규모는 2015년 2조2896억원에서 2021년 2조1695억원으로 축소됐다. 2015년 8639명이던 태양광 제조업 고용 인원은 2021년 6654명까지 줄었다.

이는 중국 태양광 기업의 가격 공세 때문이다. 중국 태양광 업체들은 낮은 가격을 무기로 국내 점유율을 늘려가고 있다. 2017년 국내 태양광 셀 시장에서 52%를 차지하던 중국산은 2022년 59%까지 점유율이 높아졌다. 업계는 “중국산 셀이 한국산에 비해 15~20%가량 저렴해 경쟁이 어렵다”고 입을 모은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국내에서 태양광 사업을 접는 기업들도 많다. 한화솔루션과 OCI는 지난 2020년 폴리실리콘의 국내 공장 가동을 멈췄다. 같은 해 SKC는 태양광 모듈에 쓰이는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EVA) 시트 사업을 접었다. LG전자도 지난해 태양광 모듈 사업에서 손을 뗐다.

태양광 업계는 국내 산업 생태계 보호를 위해 세액공제와 같은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업계 관계자는 “풍력과 달리 태양광은 국가 간 기술격차가 크지 않아 정부가 도와주면 국내 기업들이 내수시장서 선전할 수 있다”면서 “미국 인플레이션 방지법(IRA), 유럽 탄소국경제도(CBAM)와 같은 보호 장치 마련이 시급하다”고 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