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시장 새로운 먹거리로 부상···'미래의 황금알' 기대
자산시장 불확실성 지속 따른 리스크 관리와 투자자 보호 우려 제기
NH농협은행, Sh수협·전북은행과 토크증권 생태계 구축 컨소시엄 결성
"문제점 모색 아직 미진··· 시장 발전과 투자자 보호 양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관건"

그래픽=정승아 디자이너
그래픽=정승아 디자이너

[시사저널e=김태영 기자] 금융당국이 토큰증권(STO) 시장 조성에 속도를 내면서 발행·유통 과정에서 핵심 역할을 담당할 금융사들의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토큰증권 제도권 도입을 앞두고 다양한 업종 간 합종연횡이 본격화되고 있다. 자본시장의 새로운 먹거리로서 '미래의 황금알'이 될 것이라는 기대가 나오는 반면 자산시장의 불확실성 지속에 따른 리스크 관리와 투자자 보호에 대한 우려도 제기된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NH농협은행은 Sh수협은행, 전북은행과 함께 은행권 중심의 토큰증권 생태계 구축을 위한 컨소시엄을 결성했다. 해당 컨소시엄은 ▲분산원장 인프라 구축 ▲토큰증권 생태계 조성 및 활성화 방안 연구 ▲투자자 보호강화 등 은행권 중심의 토큰증권 시장 활성화 및 조각투자기업 지원에 공동 참여할 예정이다.

토큰증권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토큰 형태로 발행된 증권을 의미한다. 주식과 채권은 물론 부동산과 비상장주식, 금·은, 미술품·수 집품, 와인·와이너리, 각종 지적재산권, 크라우드펀딩, 선박·항공금융 등 투자 대상이 다채롭다. 평소 일반투자자들의 개별 접근이 어려웠던 자산들이 주요 대상이다. 

금융당국의 토큰증권 가이드라인 발표 이후 시중은행이 중심이 돼 컨소시엄이 추진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앞서 금융위원회는 지난 2월 토큰증권의 증권성 판단 원칙과 발행 및 유통 규율 방안 등을 담은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 

NH농협은행은 5대 시중은행 중 유일하게 가상화폐거래소와 제휴를 통해 실명 입출금 서비스를 체결하는 등 가상화폐 서비스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을 이어오고 있다. 지난달에도 2018년부터 제휴관계를 맺어온 빗썸과 1년의 서비스 계약 연장을 하는 등 아직 법제화가 이뤄지지 않았지만 제도권 편입을 시도하는 가상화폐서비스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모습을 보여왔다. 

비교적 보수적인 입장을 보여왔던 은행권에서도 농협은행을 중심으로 컨소시엄이 출범하면서 토큰증권 시장 선점을 위한 합종연횡이 확산되는 모습이다. 앞서 일찍이 대형 증권사들은 토큰증권 시장에 대한 제휴와 인프라 구축에 힘을 모으고 있다. 약 2년 전부터 관련 부서나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협업 기업을 물색하는 등 사업 준비에 들어갔다. 최근 토큰증권의 제도권 편입이 가시화하면서부터는 준비에 더 박차를 가하고 있다.

자기자본 기준 국내 최대 증권사인 미래에셋증권은 증권사 중 가장 먼저 디지털자산 비즈니스 전담 조직을 꾸린 데 이어 HJ중공업, 한국토지신탁과 토큰증권 사업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 또한 음원 수익 공유 플랫폼 '핀고'를 운영하는 핀고컴퍼니와도 협력하기로 했다.

신한투자증권은 토큰증권 얼라이언스를 구축, 바이셀스탠다드 등 다양한 업체는 물론 블록체인 기업 람다256과 협업을 추진하고 있다. 유진투자증권과 SK증권은 한국해양자산거래와 선박금융 토큰증권 사업을 추진함은 물론 바른손랩스와 토큰증권 거래소 연내 설립도 추진하고 있다. 키움증권, 한화투자증권, KB증권, NH투자증권도 적극적으로 여러 조각투자업체와 협업을 진행하며 관련 시장 선점에 적극 나서고 있다.

이처럼 각 금융사별 전략이 뚜렷하게 드러나지는 않았지만 시장 선점을 위한 금융사들의 행보가 본격화하면서 시간이 갈수록 윤곽이 그려지고 있는 모습이다. 물론 우려가 없는 것은 아니다. 일각에서는 올해 증권업계 전망에 대해 전반적으로 비우호적인 의견이 지배적인 가운데 상품 운용에 있어 부담이 지속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긴축기조가 지속되고 경기침체 우려 확산과 증시거래 부진이 이어지면서 보유 금융자산의 가치 하락 위험이 상존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특히 투자자 보호는 반드시 검토되어야 할 문제다. 도입 기준이 투자자 보호의 관점에서 해법이 도출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과도하게 규제를 풀 경우 시장이 투기로 몸살을 앓을 수 있다는 걱정도 많다. 불확실성이 커지면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업계 관계자는 "토큰증권을 자본시장 내에서 규율하기 위한 논의가 초기 단계인 만큼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등에 대한 모색은 아직 미진한 상황"이라며 "실체가 존재하는 만큼 시장 발전과 투자자보호가 양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관건"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