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드코로나 시대 맞아 인력 공개채용
중국 노선 회복 불투명, 지난달 회복률 3.4% 그쳐
아시아나 합병서도 중국 입장 불분명

/ 그래픽=정승아 디자이너
/ 그래픽=정승아 디자이너

[시사저널e=박성수 기자] 대한항공이 내년부터 변곡점을 맞이할 전망이다. 최근 위드코로나 시대를 맞아 해외 여행객이 급증하면서 화물사업에 이어 여객부문까지 정상화 궤도에 오를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아시아나항공과의 합병까지 이어지며 초대형 항공사가 출범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19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이달 코로나19 이후 중단했던 일반직 공개채용을 재개하기로 했다. 대한항공은 이달 말까지 신입·경력직 지원서를 접수하며, 채용 규모는 100여명 수준이다. 대한항공이 일반직 사원을 채용하는 것은 2020년 코로나 사태 이후 처음이다.

또한 일반직 사원과 함께 100여명 이상의 신입 객실승무원과 운항승무원, 연구개발 인력 등을 채용할 방침이다.

대한항공이 다시 인력채용에 나선 것은 최근 국제선 여객이 빠른 속도로 늘고 있어서다. 국토교통부 항공정보 시스템 ‘에어포탈’에 따르면 지난달 국제선 여객은 309만5712명으로 전월대비 22% 늘었다. 올해 1월(36만명)과 비교하면 9배 가까이 늘어난 셈이다.

/ 그래픽=정승아 디자이너
/ 그래픽=정승아 디자이너

일본과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여객 수요가 빠르게 회복되고 있으며, 내년 상반기까지도 증가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국토부는 올해 동계 스케줄(올해 10월30일~내년 3월25일)동안 162개 노선, 주 2711회 규모의 국제선 운항을 인가했다. 이는 코로나19 이전 대비 58% 수준으로 추후 수요를 고려해 추가 증편도 추진할 방침이다.

인천공항공사도 지난달 열린 국제항공운송협회(IATA) 주관 슬롯 조정 회의에서 내년 하계 운항 일정을 결정했으며, 예상 운항 횟수는 26만3004회로 코로나19 이전(23만3650회)보다 12.5% 늘었다.

국토부는 지역별로 동남아·미주·유럽 노선은 코로나19 대비 약 70%, 대양주·중동노선은 90% 이상 회복될 것으로 내다봤다.

문제는 중국이다. 중국 노선의 경우 다른 지역 대비 회복률이 현격히 떨어진다. 지난달 중국 노선 여행객은 5만2091명으로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11월(152만여명)과 비교하면 3.4% 수준에 불과하다. 전체 국제선 회복률(42%)과 비교하면 한참 낮은 수준이다.

대한항공의 경우 지난 2019년 중국 노선 매출 비중이 12%로 일본(9%)보다 높았을 정도로 중요 노선이라 국제선 정상화를 위해선 회복이 절실하다.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중국 노선 여행객은 1850만명으로 일본(1896만명)에 이어 단일 국가 중 2위를 차지했다.

최근 중국 정부가 ‘제로 코로나’를 풀고 방역 조치를 완화하기로 했으나, 아직까지 국경 봉쇄 조치는 계속되고 있어 향후 여객 수요 전망이 쉽지 않다. 또한 제로 코로나 폐지 이후 확진자 및 사망자가 급증하고 있어 다시 봉쇄에 나설 가능성도 있다.

이와 함께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합병을 위해선 중국 정부의 허가가 필요한데, 아직까지 중국 정부는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양사가 통합하기 위해선 해외 경쟁당국으로부터 기업결합 승인을 받아야 하며, 현재 남은 곳은 미국, 중국, 유럽연합(EU), 영국, 일본이다.

앞서 영국 정부는 “대한항공이 제출한 수정 제시안이 수용할 만한 합리적인 근거가 있다고 판단했다”라고 밝히며 양사의 합병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을 표했다. 또한 미국 정부의 경우 양사 합병에 대해 시간을 두고 추가 검토하겠다고 밝혔으며, 업계에선 합병 불허가 아닌 만큼 최종적으로는 승인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영국이 합병을 승인한다면 미국과 EU도 상황이 비슷하기 때문에 합병을 승인할 가능성이 높다. 일본의 경우 저비용항공사(LCC)들이 운항하는 노선이 많아 상대적으로 독점 우려가 낮기 때문에 반대할 가능성이 낮다.

다만 중국의 경우 자국 우선주의가 강한데다, 정치적 요소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향방을 점치기 쉽지 않다. 그동안 중국은 자국 항공산업 육성 및 보호를 위해 해외 항공사에게 운수권과 슬롯을 배분하는데 있어 보수적인 입장을 유지했으며, 이번에도 통합항공사 출범에 반대할 가능성이 있다.

업계 관계자는 “다른 국가들의 경우 합병 관련 상당한 진척이 있었지만 중국은 별 대응 없이 제자리걸음 수준인 것으로 안다”며 “중국은 정부의 힘이 막강한 만큼 양사 합병과 관련해 경제적인 논리보다 정치적 이슈나 미국과의 관계 등을 통해 사안이 결정될 가능성이 높다”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