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치료제 개발 중도 포기 7곳 달해
기업 전주기 지원 총괄할 ‘컨트롤타워’ 절실

[시사저널e=염현아 기자] 최근 오미크론 하위 변이의 확산으로 코로나19 재유행 가능성이 커졌지만, 국산 치료제 부재에 우려가 커지고 있다. 최근 셀트리온, 종근당 등 국내 대표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치료제 개발을 잇따라 중단하면서다. SK바이오사이언스의 국산 백신 탄생으로 다행히 백신 주권은 확보했지만, 이번엔 국산 치료제 주권 확립에 빨간불이 켜졌다.

지난달 셀트리온이 코로나19 치료제의 개발 중단을 알린 지 일주일 안에 종근당과 크리스탈지노믹스도 뒤따라 개발 중단을 선언했다. 지난해 부광약품, 일양약품, 녹십자에 이어 치료제 개발을 중도 포기한 기업은 7곳 이상에 달한다.

기업들은 치료제 개발 중단의 가장 큰 이유로 임상시험의 어려움을 꼽는다. 치명률이 낮은 오미크론의 하위 변이 확산, 코로나19 백신 처방 확대 등으로 임상시험 환자 모집이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오미크론 변이에는 효과가 낮아 공급이 중단된 셀트리온의 항체치료제 ‘렉키로나’는 이후 오미크론 변이를 표적하기 위한 추가 개발이 진행 중이었지만, 역시 환자 모집의 어려움으로 글로벌 임상 3상을 중단했다.

여기에 코로나19 엔데믹 전환으로 각국 허가당국의 승인 심사도 엄격해지면서 어려움을 더했다. 오미크론 변이의 치명률이 낮아지면서 신속허가 사례도 크게 준 것이다.

정부는 치료제 개발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을 약속했지만, 업계는 실감하지 못하는 분위기다. 실제로 올해 코로나19 치료제 개발 지원에 집행된 정부 예산은 전무했고, 지난해까지 예산이 지원된 기업은 5곳뿐이었다. 지난해 기준 치료제를 개발 중인 국내 기업은 10곳을 훌쩍 넘는다. 그마저도 개발에 성공한 치료제는 셀트리온의 렉키로나가 유일하다. 

보건복지부는 현재 직접 개입이 아닌, 민간 전문가로 꾸려진 사업단을 통해 기업 상황을 파악하고 있다. 여전히 컨트롤타워 부재가 아쉽다. 윤석열 정부는 범부처 컨트롤타워로 '제약바이오혁신위원회' 설치를 약속했지만, 현재 복지부가 장관 공석 등의 이유로 요원해진 상황이다.   

문재인 정부에 이어 윤석열 정부도 '바이오 글로벌 중심국가'로의 도약을 목표로 세운 만큼, 이를 총괄하는 시스템은 필수적이다. 미국 바이오 컨트롤타워 국립보건원(NIH)이 기업들의 연구개발(R&D) 등 전주기 지원이 백신·치료제 개발 성공을 이끈 것처럼, 우리도 컨트롤타워가 절실하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