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환경 안정 정책으로 ‘원자재 가격 등 물가 안정', 꼽아

1일 부산항 신항에 컨테이너 선박이 입항해 수출화물과 환적화물을 선적하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1일 부산항 신항에 컨테이너 선박이 입항해 수출화물과 환적화물을 선적하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시사저널e=엄민우 기자] 지난해 급증했던 수출 증가율이 올해는 둔화할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 수출 주력업종 기업들을 상대로 '2022년 수출전망 조사'를 한 결과 올해 수출은 작년 대비 3.2%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고 2일 밝혔다. 작년 1∼11월 수출 증가율이 26.6%인 것에 비하면 크게 낮은 수치다. 업종별로 보면 일반기계·선박 8.1%, 전기·전자 5.4%, 바이오헬스 2.2%, 철강 2.1%, 석유화학·제품 1.7%, 자동차·부품 1.1% 순이다.

조사 대상 기업 중 58.7%의 기업은 올해 수출이 작년 대비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고, 41.3% 기업은 감소할 것으로 봤다. 수출 증가를 꼽은 기업들 대다수(73.2%)는 세계 경제 정상화 및 위드 코로나 전환에 따른 교역 활성화를 수출 증가 전망 이유로 지목했다

반면, 올해 수출이 작년 대비 감소할 것으로 전망한 기업들은 기업규제, 인건비 상승 등 국내 제도적 요인으로 인한 수출 경쟁력 악화(28.9%) 수출 대상국의 경제 상황 악화(27.6%) 미중갈등, 한일갈등 등 외교문제(16.4%) 글로벌 공급망 훼손에 따른 생산 차질(13.2%) 높은 작년 수출 실적으로 인한 역기저효과(16.4%) 등을 원인으로 꼽았다.

과반(52.7%)의 기업들이 올해 수출 채산성이 작년 수준일 것으로 전망했으나, 수출 채산성이 악화될 것으로 응답한 기업(29.3%)이 개선될 것으로 응답한 기업(18.0%)보다 많았다. 수출 채산성은 수출을 통해 기업이 벌어들이는 이익 수준을 뜻한다.

수출 채산성이 악화될 것으로 전망한 기업들은 원유, 광물 등 원자재 가격 상승(47.4%) 해운 운임 증가 등 물류비 상승(26.3%) 환율 변동성 상승(11.4%) 인건비 상승(6.1%) 금리 인상 등으로 인한 이자비용 상승(0.9%) 등을 부진 요인으로 지적했다.

기업들은 올해 수출 환경의 위험 요인으로 원자재 가격 상승(36.4%) 코로나19 재확산(33.8%) 미중갈등, 한일갈등 등 외교 현안(13.5%) 원/달러 환율 변동성 확대(5.1%) 보호무역주의 확대(3.1%) 등을 꼽았다.

이와 더불어 기업들은 국내 기업 수출 경쟁력 강화를 위해 원자재 가격 등 물가 안정(55.1%) 미중갈등, 한일갈등 등 외교 현안 대처(15.8%) 금융지원, 세제지원 확대(10.7%) 신흥시장 발굴, 수출처 다변화 지원(8.7%) 등의 정부 정책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11월 24일부터 12월 22일까지 매출액 상위 1000개 기업 가운데 12대 수출 주력업종 기업을 대상으로 이뤄졌으며 조사에 응한 기업은 150곳이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