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가치 극대화, 비은행 강화 준비···주가도 급등
국민 혈세 없었으면 오늘날 우리금융은 불가능
금융 본연의 역할에 집중하는 것이 국민을 위한 길

[시사저널e=유길연 기자] 우리금융지주가 완전 민영화를 달성한지 한 달이 지났다. 정부는 지난달 우리금융의 잔여 지분 9.33%를 민간 자본에 매각하면서 최대 주주 자리에서 내려왔다. 1998년 외환위기로 상업·한일은행이 쓰러지자 정부가 공적자금을 투입해 우리은행(당시 한빛은행)을 설립한지 28년 만에 사실상 민영화가 종료됐다.

우리금융의 민영화는 그룹 전체 임직원들이 흘린 땀으로 가능했다. 공적 자금이 투입되던 당시만 해도 부실 규모가 워낙 커 경영 정상화가 불투명했다. 하지만 임직원들의 노력으로 우리금융은 성장했고 공적자금도 대부분 갚았다. 이번 지분매각으로 지금까지 회수된 공적자금은 12조3000억원으로, 남은 규모는 5000억원 남짓이다.  

완전민영화 달성으로 우리금융 주가는 고공행진이다. 올해 초만 해도 우리금융 주가는 9000원 선에 머물렀다. 하지만 정부가 잔여지분을 매각한다는 계획을 올해 9월에 발표한 이후 주가는 꾸준히 우상향 곡선을 그렸다. 그 결과 주가는 1만3000원 선을 넘어 1만4000원 선도 넘보는 상황이다. 정부의 영향에서 벗어난 만큼 적극적인 주주환원을 펼칠 것이란 기대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우리금융은 더 적극적으로 주주가치 극대화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손태승 우리금융 회장은 정부의 지분 매각이 완료된 직후 “고객과 주주가치 최우선의 경영을 하겠다”고 선언했다. 우선 우리금융은 배당성향을 코로나 전인 2019년 수준으로 돌려 주주에게 돌아갈 몫을 늘릴 것을 준비하고 있다. 

우리금융은 비은행 계열사 인수에도 속도를 내 성장 가도를 달리겠다는 전략이다. 우선 ‘숙원’인 증권사 인수에 집중할 태세다. 지난 3분기 실적발표회에서 중형급 증권사는 인수할 수 있다며 구체적인 전략도 내놨다. 증권사 외에도 보험사 인수에도 나설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하지만 우리금융은 민영화 이후에도 ‘주주’, ‘성장’ 외에도 ‘국민’이란 단어를 기억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국민의 혈세 투입이 없었다면 지금의 우리금융은 존재할 수 없었다. 단순히 공적자금이 다 회수된다고 해서 국민에게 진 빚을 다 갚는 것은 아닐 것이다. 물론 우리금융은 민간 금융사이기 때문에 아무런 조건 없는 지원을 할 순 없다. 다른 금융사처럼 수익을 내고 배당을 해야 한다.  

우리금융이 국민을 위하는 방법은 금융 본연의 역할에 충실 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국가 경제의 ‘혈맥’을 맡고 있는 만큼 자금이 필요한 기업에 대출, 투자 등으로 지원에 노력을 쏟아야 한다. 코로나 터널을 지나오면서 자금이 필요한 중소기업들이 많이 늘었다. 또 아이디어는 있지만 자금 사정이 여의치 않은 기업들도 여전히 많다. 중소기업 자금 지원을 늘려 국가 경제가 살아나 일자리가 창출된다면 국민에게 진 빚을 진정으로 갚을 수 있을 것이다. 

우리금융은 올해 초 디지털·그린뉴딜 관련 기업에 향후 5년 간 43조원을 투입하겠다고 선언했다. 우리 경제의 미래 성장동력이 될 수 있는 기업을 선별해 대규모로 자금을 지원하겠단 계획이다. 우리금융은 지금까지 해오던 것 처럼 이 계획을 차질 없이 진행해야 할 것이다. 

우리금융의 전신인 상업·한일은행은 기업금융으로 이름을 날리던 곳이다. ‘전공영역’에 집중하는 것이 국민을 위한 길일 것이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