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반도체 소프트웨어·설계·車반도체 설계 등 가장 낮은 수준
기업 투자에 대한 세제지원 등 실질적 지원 대책 필요성 강조

/자료=전국경제인연합회
/ 자료=전국경제인연합회

[시사저널e=이창원 기자] 국내 인공지능(AI)·차량용 반도체 경쟁력이 선진국에 뒤처지고 있고, 경쟁력이 낮은 분야에서의 인력 부족 문제가 더욱 심각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6일 한국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와 공동으로 진행한 한국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 임원·회원 등 반도체 산업 전문가 100명(학계 60명·산업계 4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국내 인공지능·차량용 반도체 설계 분야와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경쟁력이 선진국 대비 60% 수준에 불과하다고 진단했다.

주요 반도체 기술·밸류체인 분야별 국내 반도체의 기술 경쟁력(최고의 선도 국가·기업 100 기준)은 인공지능 반도체 소프트웨어(56), 인공지능 반도체 설계(56), 차량용 반도체 설계(59) 등은 가장 낮은 수준으로 조사됐다.

또 반도체 후방산업인 장비(60), 부품(63), 소재(65) 등의 기술 수준도 낮은 평가를 받았고, 메모리·시스템·인공지능 등 모든 조사대상 반도체 분야에 걸쳐 설계는 공정보다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취약한 모습을 보였다.

전문가들은 인력 부족 문제와 관련해 기술 경쟁력이 낮은 분야일수록 더욱 심각하다는 점을 지적하기도 했다.

반도체 산업 현장의 전문 인력 수요(100 기준) 대비 국내 수급 현황 조사 결과, 인공지능 반도체 설계(55), 차량용 반도체 설계(55), 인공지능 반도체 소프트웨어(56) 부문의 인력난이 가장 심각한 것으로 인식됐다. 주력 분야인 메모리반도체의 설계(75), 공정(84) 인력도 현장 수요보다 부족하다는 인식이 강하게 나타났다.

아울러 국내 반도체 산업에서 가장 우려되는 점으로는 ‘반도체 고급 기술 인력 수급 및 양성 시스템 부족(14.0%)’을 꼽기도 했다.

이와 관련해 전경련 관계자는 “우리나라의 시스템반도체 사업 부문은 주로 IT용 반도체에 중점을 두고 있어 인공지능 및 차량용 반도체 분야는 상대적으로 열위에 있지만, 자율주행차 등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급진전할 기술 분야에 대한 경쟁력 확보와 시스템반도체 육성 차원에서 반드시 투자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전문가들은 반도체 산업 발전을 위한 실질적인 지원 대책 수립의 필요성을 피력하기도 했다.

특히 ‘중국 정부 차원의 반도체 산업 집중 지원(85.0%)’, ‘TSMC 등 대만 파운드리 기업들의 대규모 투자(85.0%)’가 가장 큰 위협 요인이 될 것으로 진단하면서, ‘기업 투자에 대한 과감한 세제지원’ 등을 촉구했다.

또 주요국의 자국우선주의 심화로 인한 글로벌 밸류체인 불안정(13.5%) ▲국내 반도체 소재·부품·장비의 글로벌 경쟁력 미비(12.3%)도 우려된다면서,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국산화 및 테스트베드 확대, 중장기 인력 양성 계획, R&D 부문의 주52시간 근무제 유연성 강화, 건설·환경·안전(중대재해기업처벌법, 화학물질관리법, 화학물질등록·평가법) 인허가 패스트트랙 등을 반도체 산업 발전법안 등에 반영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박재근 한국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장은 “세계 각국의 자국 반도체 경쟁력 향상을 위한 정부 주도의 지원에 대응해 우리나라 정부도 ‘반도체 산업 발전법’을 발의하고, 중장기적으로 국내 반도체 소자·설계·소재·부품·장비 등 전 분야에 걸쳐 글로벌 경쟁력을 향상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유환익 전경련 기업정책실장도 “우리 반도체 기업들은 메모리 기술 격차를 벌리고 시스템반도체 분야에서 경쟁 기업을 따라잡는데 역량을 총동원해야 하는데, 반도체 산업 주도권을 둘러싼 국제정치적 리스크까지 직면하게 됐다”며 “기업이 체감할 수 있는 지원책을 강력하게 마련하고 빠르게 실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료=전국경제인연합회
/ 자료=전국경제인연합회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