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차 바람 속, 하이브리드車 입지 흔들···전기車·수소車·PHEV 등 개발·생산 본격화 영향
국가 차원 지원·혜택 등 축소 분위기 소비자 이탈···환경부, 2030년 하이브리드車 친환경차 제외 방안 검토

기아-GS칼텍스 협업으로 설치된 전기차 초급속 충전기 예상도. /사진=기아
기아-GS칼텍스 협업으로 설치된 전기차 초급속 충전기 예상도. /사진=기아

[시사저널e=이창원 기자] 최근 친환경차 바람 속에서도 하이브리드 차량의 자동차 시장 내 입지가 흔들리고 있다. 자동차 기업들이 전기·수소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등 차량에 대한 개발·생산을 본격화하면서다.

또 유럽, 미국, 중국 등 주요 국가들이 하이브리드 차량에 대한 혜택·지원 등을 축소하고 있고, 한국도 2023년부터 하이브리드 차량을 친환경차 목록에서 제외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소비자들의 하이브리드 차량 구매를 망설이게 하고 있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1~2월) 국내 수입차 하이브리드·PHEV 차량의 판매량은 1만1664대로 전년 동월 대비 347.4% 급증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이브리드·PHEV 차량의 비중도 26.1%(하이브리드 18.8%, PHEV 7.3%)로 지난해 7.6%에 비해 가파른 상승 추이를 보이고 있다.

하이브리드차의 경우 302.5% 증가하긴 했지만, PHEV의 증가세(528.8%)에는 미치지 못했다. 이와 같은 수치에 대해 하이브리드차가 조만간 PHEV로 상당부분 대체될 징조라는 분석이 나온다.

당초 하이브리드차는 전세계적인 환경규제 강화 분위기 속에 디젤차 등 내연기관자동차를 대체하는 친환경차로 각광을 받아왔다. 특히 전기·수소차 등으로의 전환 과정에서 하이브리드차는 전기·수소차 상용개발 과도기의 빈자리를 채웠다.

하지만 국내외 완성차 기업들이 전기차 전용 모델들을 잇따라 출시하고 있고, 테슬라를 필두로 한 전기차 기업들이 전기차 시대의 포문을 열며 하이브리드차를 쇠락의 길로 이끌고 있는 모습이 관측되고 있는 것이다.

또 하이브리드차에 대한 국가 차원의 지원·혜택이 축소되면서, 소비자들의 발걸음은 전기·수소차, PHEV 등으로 빠르게 옮겨지는 분위기다.

환경부는 대기환경보전법 시행령상 ‘저공해 자동차’ 범주에 오는 2023년부터 하이브리드차를 제외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현재 저공해차는 1종 전기·수소·태양광차, 2종 하이브리드차·PHEV, 3종 액화석유가스(LPG)·휘발유차(배출가스 세부 기준 충족) 등으로 분류되고, 이 중 1·2종이 친환경차로 통칭되고 있다.

하이브리드차는 휘발유·경유 등으로 엔진을 가동한 후 주행하며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식인 만큼 배터리 방전 시 휘발유 엔진이 가동되는 PHEV에 비해 온실가스를 더 많이 배출해 친환경차에서 배제돼야 한다고 환경부는 보고 있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한정애 환경부 장관은 지난 10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를 통해 “세계적 추세를 보면 하이브리드차는 PHEV와 그냥 하이브리드로 나뉘는데 전 주기적(생산, 운행 등)으로 봤을 때 어느 것이 온실가스가 더 적게 배출되는지에 대한 연구용역이 진행 중”이라며 “관련 연구용역 결과가 나오면 결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정부는 지난 2019년 11월 ‘미세먼지 관리 종합계획(2020~2024년)’에서 하이브리드를 2023년엔 제외하는 내용을 포함시킨 바도 있다.

하이브리드차가 친환경차에서 제외될 경우 하이브리드차량 소유주는 공영·공항주차장 이용료 50~60% 할인, 서울 남산터널 등 혼잡통행료 면제 등 기존의 혜택을 받을 수 없다.

하이브리드차는 친환경자동차법상 ‘환경친화적 자동차’ 기준에는 포함돼 개별소비세(100만~400만원 한도) 감면, 취득세(40만~140만원 한도) 감면 등 혜택은 당분간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지만, 이 또한 저공해차 기준 변화 여부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상황이다.

아울러 현재 하이브리드차에 대한 구매 보조금, 고속도로 통행료 50% 감면 등 혜택은 이미 제외된 상태다.

상황이 이러한 데다 전기·수소차 등 상용화에 한계로 지적되는 충전 인프라 등 문제도 정부가 적극 나서는 분위기가 관측돼 하이브리드차의 입지는 더욱 좁아지고 있다. 환경부는 전기차 급속 충전기를 오는 2030년까지 2만기까지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밝히고 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