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국제공항공사 임원추천위, 신임 사장 재공모···1차 공모 때보다 13일이나 늘려
1차 땐 ‘사장 내정설’·2차는 ‘낙점자 교체설’···구본환 전 사장 해임 과정서도 의혹 난무
CEO 공석 상태, 해 넘길 듯···코로나19 경영 위기·비정규직의 정규직화 등 과제 산적

지난 11일 오후 인천국제공항 1터미널 입국장 모습. / 사진=연합뉴스
지난 11일 오후 인천국제공항 1터미널 입국장 모습. / 사진=연합뉴스

[시사저널e=이승욱 기자] 전임 사장 해임 과정에서 이른바 ‘인국공 사태’ 논란을 빚었던 인천국제공항공사의 후임 사장 선임을 두고 뒷말이 무성하다. 이달 초 1차 사장 공모가 무산된 후, 재공모 수순 밟고 있는 가운데 공모 기간이 길어지면서 배경에 의문이 일고 있는 것이다. 재공모와 공모 기간 연장으로 산적한 과제를 풀어야 할 후임 사장의 선임은 해를 넘길 가능성이 더 커졌다. 

19일 인천공항공사 임원추천위원회는 자사 인터넷 홈페이지에 신임 사장 공고를 게시했다. 이날 인터넷상에 공개된 사장 공모 내용에 따르면 임원추천위원회는 지난 5일 1차 공모 때와 마찬가지로 공모 신청자들의 지원서, 자기소개서, 각종 증명서 외에 A4용지 5매 정도로 작성한 직무수행계획서를 제출하도록 했다.   

앞서 인천공항공사 임원추천위원회가 1차 공모를 접수 마감한 결과, 공모 신청자 3명 중 2명이 서류 미비로 부적격자로 분류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후보자를 5배수로 추천해야 한다는 기획재정부 지침을 어긴 셈이 돼 재공모가 불가피했다.  

하지만 앞서 1차 공모 때와 달리 사장 공모 기간을 이날부터 내달 10일까지 3주 정도로 늘려 제시했다. 지난 1차 공모 당시 신청 접수 기간을 8일로 잡아 공고한 것 것보다는 무려 13일이나 기간이 늘어난 것이다. 

신임 사장 공모 기간이 늘어난다고 것이 무조건 문제는 아니다. 현행 공공기관운영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 따르면, 공기업이 임원 후보자를 공개모집하는 경우 자사 인터넷 홈페이지와 1개 이상 일간지에 공고하도록 하고, 모집 기간은 ‘1주 이상’으로 해야 한다는 규정만 있을 특별한 최장 기간 규정이 따로 명시돼 있지는 않다. 

사장 추천 공모 기간이 불과 보름 새 8일에서 21일로 일정이 마치 고무줄처럼 ‘줄었다, 늘었다’를 반복하면서 그 배경을 두고 다양한 이야기들이 나온다. 

애초 1차 공모 당시에도 공고 기간은 상대적으로 짧게 잡으면서 사장 내정설이 제기되기도 했다. 일반적인 공기업 사장 공모 기간보다 단기간 이뤄지는 공모 절차를 두고 이미 후임 사장을 낙점한 상태에서 공모 절차는 형식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  

업계와 일부 언론은 일찌감치 후임 사장 선임을 앞두고 국토교통부 관료 출신과 지방경찰청장 출신, 정치권 인사 등이 후임 사장 물망에 올렸다. 다만 본인 스스로 사장 공모 의지를 비추거나 인정한 사례는 아직 없다. 

2001년 인천공항 개항 후 취임한 사장 8명 중 5명이 상위 부처인 국토교통부 관료 출신이라는 점에서 관료 출신 낙점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했다. 하지만 인천공항공사 노조 등은 관료 출신의 낙하산 인사에 대해 원칙적으로 반대 입장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1차 때와 달리 공모 기간이 크게 늘면서 이번에는 낙점 후보자가 교체되는 것이 아니냐는 억측도 제기된다. 추천자를 5배수로 해야 한다는 규정을 맞추기 위한 고육지책이라는 분석도 있다.  

인천공항공사 관계자도 “사장 공모와 관련해 구체적인 신청자 수나 내용 등을 외부에 알릴 수는 없다”면서 “다만 임용추천위원회가 좀더 많은 인적 풀을 확보하기 위해 공모 기간을 길게 한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고 말했다.   

인천공항공사 후임 사장 공모 과정을 두고 여러 뒷말이 나오는 것은 이미 앞서 지난 9월 전임 사장의 해임 과정에서부터 잡음이 적지 않았기 때문이다. 구본환 전 사장이 본인의 해명과 반박에도 불구하고 해임되면서 여러 의혹들이 제기된 바 있다. 

당시 국토부는 구 전 사장을 상대로 한 내부 감사 결과 관련 법규를 위반한 점을 근거로 해임 건의안 상정을 기재부에 요청했다. 국토부 측은 구 전 사장이 태풍 위기 상황에서 부실 대응하고 행적을 허위 보고하는 한편, 인사운영 과정에서 공정성을 훼손하는 등 충실 의무 위반을 다하지 못했다는 점을 해임 사유로 밝혔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정부가 추진한 인천공항공사의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추진 과정에서 이른바 '인국공 사태'가 빚어진데 대한 책임을 묻는 차원의 해임이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됐다. 정부의 정책 실패를 구 전 사장에게 책임을 떠넘기는 일종의 ‘꼬리 자르기’라는 야당과 일부 언론의 공격이 있었다.  

구 전 사장도 국토부의 해임 사유와 달리 자신은 “위기 대응 메뉴얼 등 관련 규정을 위반한 사실이 없다”면서 맞섰다. 구 전 사장이 해임 사유에 대해 법리적으로도 부당하다고 항변하면서 해임 사태는 장기간 논란을 빚으면서 다양한 의혹을 낳았다.  

전임 사장 해임 과정에서부터 후임 사장 선임까지 논란이 반복되면서 인천공항공사 수장의 공석 상태는 해를 넘길 수 있다는 전망이 기정사실화하고 있다.  

구 전 사장이 해임된 지난 9월 29일 이후 인천공항공사 임원추천위원회가 해임 39일 만인 지난 6일 후임 사장 공모에 나서면서 이미 연내 후임 사장 선임 일정이 빠듯한 양상이었다. 

통상 공기업의 사장 선임은 서류 접수 면접, 공공기관운영위원회와 주주총회 의결 절차를 거쳐 주무장관의 제청에 이어 임면권자인 대통령이 임명한다. 앞서 전례로 봤을 때 사장 선임은 일반적으로 2개월 정도 소요되고, 길면 3개월 정도 걸린다. 

또 임용추천위원회의 사장 후보자 추천에 대해 제청권자와 임면권자가 재검토를 요구할 수 있도록 법률상 규정돼 있는 만큼, 만족스러운 인물 추천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선임 절차는 더 길어질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여행객 감소로 인한 경영 악화 우려와 함께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논란 등 당면 과제가 산적한 상황을 맞이한 인천공항공사 안팎에서 사장 장기 공백 사태에 대한 우려를 키우고 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