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 투자자 기회 확대 위해 제도 개선
공모가 관련 논란 계속···현실화 모색해야

금융당국이 IPO(기업공개) 제도 개선에 나섰다. 고액 투자자가 아니더라도 최소 청약 증거금만 납입하면 추첨이나 균등배정을 통해 공모주를 동등하게 배정받을 수 있게 했다. 일반청약자 공모 물량도 현행 20%에서 최대 30%로 늘릴 예정이다. 자산가에게 유리한 복수 계좌를 통한 중복 청약도 제한한다는 계획이다. 

종합하면 일반 투자자들의 공모주 배정 기회를 확대시키겠다는 것이다. 그도 그럴 것이 올해 IPO 시장에서는 공모주 배정에 대한 불만이 많이 나왔다. 초대형 IPO에 자금이 몰리면서 소액 투자자들이 이른바 ‘따상’(공모가 두 배로 시초가 형성 후 상한가) 축제에 소외됐던 것이다. 1억원을 투자했을 때 빅히트엔터테인먼트는 2주, 카카오게임즈는 5주, SK바이오팜은 13주를 받는데 그쳤다.

이 같은 변화는 일반 투자자들에게 기회의 확장 측면에서 긍정적일 수 있다. 그러나 제도 변화가 긍정적인 효과를 내려면 비효율성이 높아진 IPO 시장을 먼저 바로잡을 필요가 있다. 그렇지 않고 일반 투자자들에게 기회를 더 열어주는 것은 ‘따상’을 위한 광풍과 투기를 부추기는 것과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그동안 IPO 시장은 상장 후 고평가와 저평가라는 양면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그렇다보니 상장 직후 주가가 급등락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이를 이용하는 투기성 세력의 놀이터가 되곤했다. 이들이 빠져나간 뒤에는 무관심과 함께 공모주의 저성과가 나타나는 현상으로 이어졌다. 시장의 자연스러운 모습으로도 볼 수도 있겠지만 장기적으로 IPO 시장이 왜곡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간극을 좁혀야 한다는 목소리가 컸다. 

취재과정에서 만난 한 업계 관계자는 그 방법 중 하나로 수요예측에서부터 가격발견 기능을 회복 시킬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수요예측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다고 판단했다. 기관 마다의 분석과 판단에 따라 다양한 가격제시가 이뤄져야 하지만 그렇지 않고 특정 가격에 쏠림 현상이 나타나 공모가가 비정상적으로 형성된다는 것이다. 

특히 최근에는 공모주 투자 열풍에 기관들이 대거 난립하고 있다는 점이 이 같은 문제를 더욱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꼽힌다. 수요예측에 가격 책정 능력이 없는 이른바 허수가 많아진 것이다. 또 다른 관계자를 통해서는 일부 기관들이 자체 분석과 판단없이 단톡방을 통해 수요예측에서 제시할 가격을 합의하는 경우도 있다는 이야기도 들었다.

내년 IPO 시장도 올해처럼 뜨거울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초대형IPO들도 다수 대기하고 있다. 문제가 똑같이 되풀이 되지 않기 위해선 IPO 시장의 비효율성을 낮출 방안이 우선적으로 나와야 할 필요가 있다. IPO 시장을 개선시킬 다양한 제도들이 제시되고는 있지만 첫단추인 공모가가 현실화되지 않는다면 결국 결말은 똑같을 수 있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