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략자 일제에 항거해 진주성 점령
일제 공격에 해산됐으나 관직 버리고 다시 의병 일으켜

2020년 대한민국은 임시정부 수립과 3.1 운동 101주년을 맞았다. 1910년 일본에 나라를 빼앗긴 우리 민족은 끊임없이 항일독립운동을 했다. 1919년 3월 1일 전국 방방곡곡에서 남녀노소 모두 일어나 만세운동을 했다. 다음달인 4월 11일 독립운동가들은 중국 상하이에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수립했다. 당시 대한민국 임시헌장 제1조는 ‘대한민국은 민주공화제로 한다’다. 이는 우리 민족의 자주 독립과 민주주의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보여준다. 시사저널e는 임시정부 수립과 3.1운동 101주년을 맞아 국가보훈처 자료를 바탕으로 독립운동에 헌신했던 사람들의 삶을 기사화한다. 특히 대중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독립운동가들을 중심으로 조명한다. [편집자 주]

이미지=시사저널e

노응규(盧應奎) 선생은 일제의 침략과 국모 시행 등에 맞서 의병을 일으켰다. 일제에 의해 몇 차례나 의병이 해산됐으나 선생은 포기하지 않고 계속 의병을 다시 일으켰다. 선생은 의병 활동 중 일제에 붙잡혀 옥중에서 순국했다.

선생은 1861년 3월 15일 경남 안의군 안의면에서 태어났다. 선생은 한학을 익혔고 유학을 공부했다.

선생은 1876년 개항 이후 일제와 외세가 밀려와 내정 간섭과 경제적 침탈을 자행하는 것을 보고 나라의 앞날을 걱정했다. 선생은 30세 즈음에 위정척사론(衛正斥邪論)자인 이항로의 제자 최익현(崔益鉉)을 찾아 위정척사사상(衛正斥邪思想)을 수용했다. 성리학적 민족의식을 키워나갔다.

당시 일제는 1894년 7월 경복궁에 난입해 친일정권을 수립하는 갑오왜란(甲午倭亂)을 일으키고 우리나라 땅에서 청일전쟁을 도발했다. 또한 반(反)외세·반(反)봉건의 기치 아래 전개된 동학농민혁명운동을 무력으로 탄압했다. 일제는 정치·경제적 주도권을 장악해 우리나라를 식민지화해 갔다. 일제는 1895년 10월 배일파의 핵심인물인 명성황후를 시해하고 친일정권을 사주해 을미개혁의 일환으로 단발령을 강제 시행했다.

◇ 항일 의병 일으켜 진주성 점령

노응규 선생은 국모의 원수를 갚고 국왕을 보위하며 성리학적 사회 질서를 지키기 위해 의병을 일으켰다. 1896년 2월 19일 선생은 경남 안의에서 의병을 일으켜 승려 서재기(徐再起)를 선봉장으로 삼고 문인 및 지사들과 함께 의진을 편성했다.

선생과 의병들은 곧바도 경상남도의 행정·교통·문화 중심지며 지리적 요충지인 진주(晋州) 공략에 나섰다. 곧바로 의병들은 진주성을 함락시켰다. 당시 진주부 관찰사와 경무관은 대구로 도망갔다.

선생과 의병들이 진주성을 함락시키자 진주부민들도 봉기에 나섰다. 여러 의병들이 선생과 합세해 규모가 수천명으로 늘었다.

노응규 선생을 총대장으로 하는 진주의병진은 진주성을 거점으로 삼고 인근의 여러 지역을 장악해 나갔다. 2월 27일 단성(丹城)을 장악하고, 하동(河東)·고성(固城)·함안(咸安) 등으로 세력을 확대했다. 대구로 도망갔던 경무관 김세진이 대구진위대 병사들과 일본군을 이끌고 공격해 오자 의병들은 이를 두 차례 격퇴했다.

당시 진주의병진은 친일파들을 처단했다. 치안과 행정에도 힘썼다. 행정제도를 구제(舊制)로 환원시키고, 능력이 있는 자들을 지방 행정관리로 임명했다. 인근 여러 고을에도 전령을 보내 향리 등 관속을 새로 임명해 공무를 평상시처럼 집행했다. 

◇ 부산 공략에 나서다

이후 진주의병진은 일제의 침략 관문이며 경제침탈의 거점인 부산 개항장 공략에 나섰다. 의병들은 3월 29일 부산에서 70여 리 떨어진 김해(金海)까지 진출했다. 당시 의병들은 각자 잠입한 뒤 한 곳에 모여 일시에 관아를 습격하고 관리들을 포박해 김해를 장악했다.

진주의병진은 구포(龜浦)의 일본군 수비대를 공격해 괴멸시켰다. 이후 부산 개항장의 일본인 거류지를 습격하기 위해 4월 11일 김해에서 구포로 건너가는 선암(仙岩)나루터에 모였다.

그러나 사정이 여의치 않아 김해로 돌아가던 길에 일본군 수비대 정찰분대의 공격을 받았다. 의병들은 그들의 공격을 막아냈지만 다음날 다시 일본군이 공격해오자 창원으로 퇴각했다. 이후 부산진공 계획을 포기하고 진주로 회군할 수밖에 없었다.

이후 진주의병진은 진주에 도착한 적군과 진주성에서 전투를 치렀다. 당시 진주성에는 노응규 선생과 60여명의 의병만 있었다. 700여명의 적군이 성벽을 부수고 발포하며 쳐들어오자 선생은 남은 의병들과 성을 탈출했다. 부득이하게 선생은 의병을 해산하고 새로운 항일 방안을 모색해 나갔다.

당시 선생은 안의의 서리들에 의해 아버지와 형이 죽임을 당하고 가산이 몰수되는 어려움을 겪었다. 선생은 청계(淸溪)에 머물면서 흩어진 가족을 모아 집안을 일으켜 세웠다.

노응규 선생은 1902년 10월 규장각(奎章閣) 주사(主事)에 임명돼 관료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1905년 11월 을사늑약 체결 당시 선생은 동궁 시종관(東宮侍從官)의 중책을 맡아 국왕을 보위하고 국권을 수호하는 데 힘썼다.

그러나 당시 일제는 러일전쟁 승전 직후 제국주의 열강의 양해 아래 을사늑약을 체결했다. 우리나라의 자주적 외교권과 통치권을 빼앗아 국권을 강탈했다.

◇ 일제 국권 강탈에 관직 버리고 다시 의병 일으켜

이에 선생은 관직을 버리고 다시 의병을 일으켰다. 선생은 국권 회복을 위한 즉각적인 항일 무장투쟁을 결심했다.

당시 광무황제는 비밀리 선생에게 시찰사(視察使)의 부인(符印)과 암행어사의 마패를 하사해 선생과 의병을 독려했다.

선생은 전북 태인의 무성서원(武城書院)에서 사부(師父)인 최익현이 1906년 6월 4일 거의한다는 소식을 듣고 여기에 합류했다. 최익현 의진은 의병을 일으킨 당일 태인읍을 점령해 군량과 군기를 확보했다. 이어 정읍·순창을 공략했다.

그러나 6월 12일 관군과 일본군의 공격을 받아 중군장 정시해(鄭時海)가 전사하고, 최익현 의병장을 비롯한 13명의 의병지도부가 붙잡히면서 의병들은 해산됐다.

◇ 황간에서 다시 의병 일으키다

선생은 다시 의병을 일으킬 준비를 했다. 1906년 늦가을 충북 황간군 상촌면에서 다시 의병을 일으켰다.

선생과 황간의진은 총기와 화약을 모아 무장을 갖추고 군사훈련을 실시했다. 그곳 주민들도 이러한 의병 활동에 협조해 무기를 제조하고 운반하는 일을 도왔다. 군량미를 지원하기도 했다.

황간의진은 경부철도와 열차, 그밖에 일제 시설물 등을 주요 파괴 대상으로 삼아 전과를 올렸다. 두 차례에 걸쳐 일본군 척후대를 공격해 처단했다.

선생과 의병들은 향후 서울로 진격해 통감부를 공격하고 일제와 친일파를 몰아내고자 했다.

그러나 일본군 밀정에 의해 1906년 12월 8일 선생과 서은구·엄해윤·김보운·오자홍 등 의병지도부가 일제에 붙잡혔다. 의병들도 해산됐다.

이후 선생은 경무청 감옥으로 끌려가 가혹한 심문을 받았다. 그러나 선생은 나라를 빼앗은 일제를 몰아내고 국권을 회복하려는 뜻을 굽히지 않았다. 결국 선생은 1907년 1월 4일 47세에 옥중에서 순국했다.

정부는 선생의 공훈을 기리어 1977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