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은행 가계대출 일평균 2102억원↑
작년 8월 이후 10개월 만에 가장 빠른 증가세

한 시민이 서울 시내 은행 앞 대출 홍보물을 지나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한 시민이 서울 시내 은행 앞 대출 홍보물을 지나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시사저널e=고명훈 기자] 가계대출 잔액이 빠른 속도로 불어나고 있다. 5대 주요 은행 가계대출 규모가 최근 3주 새 4000억원가량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최근 서울 아파트를 중심으로 부동산 가격이 큰 폭으로 오르고, 코스피 지수도 3000선을 넘어가면서 ‘영끌’ 투자에 다시 불이 붙고 있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이달 19일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752조749억원이다. 748조812억원 수준이었던 지난달 말 대비 3조 9937억원 증가했다. 하루 평균 약 2102억원씩 증가한 셈이다. 이는 작년 8월(3105억원) 이후 10개월 만에 가장 빠른 속도의 증가세다.

은행권에선 이 속도가 유지될 시 이달 말이 되면 전월 대비 6조3000억원가량 가계대출이 늘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렇게 되면 월간 증가 규모 또한 역대 최대였던 지난해 8월 이후 최대 기록을 경신하게 된다. 현재 일평균 증가액과 전체 월 예상 증가 폭은 작년 7월(하루 2312억원·월 7조 1660억원)에 근접한 상태다.

가계대출 종류별로 살펴보면 주택담보대출(전세자금 대출 포함) 잔액이 596조6471억원으로, 지난달 말(593조6616억원)과 비교해 19일 사이 2조9855억원 증가했다. 이달 말까지 4조7000억원 이상 늘어나 4조2316억원에 달했던 5월 증가 폭을 뛰어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신용대출은 103조3145억원에서 104조4027억원으로 약 1조882억원 증가했다. 신용대출 하루 평균 증가액은 573억원으로, 이미 지난달(265억원)의 두배를 웃돌고 있다. 이 속도가 유지되면 월말까지 1조7755억원 불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2021년 7월(+1조8637억원) 이후 약 4년 만의 최대 증가 폭이다.

내달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시행을 앞두고 대출 ‘막차’ 수요가 급증하면서 전체 가계대출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3단계 스트레스 DSR이 적용되면 대출자가 갚아야 할 원리금(원금+이자) 규모는 늘어나는 반면, 대출 한도는 줄어든다. 금융당국 설명에 따르면 연봉 1억원 수도권 거주자가 받을 수 있는 주담대 한도는 현행 2단계 대비 약 3000만원 감소한다.

최근 아파트값의 오름세도 가계대출 증가에 한몫했다. 한국부동산원이 지난 19일 발표한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6월 셋째 주 서울 아파트값은 전주 대비 0.36% 올랐다. 기존 올해 최대 상승률이었던 지난주(0.26%) 수치를 일주일 만에 넘어섰다. 이는 문재인 정부 때인 2018년 9월 둘째 주(0.45%) 이후 최대 상승 폭이다.

은행권에선 가계대출 증가율이 높은 일부 은행을 중심으로 이미 수요 억제 조치에 들어간 상태다. NH농협은행은 지난 18일 우대금리 조건을 변경한데 이어, 이달 24일부턴 다른 은행에서 ‘갈아타기’로 넘어오는 대면·비대면 주택담보대출 취급을 막기로 했다. SC제일은행은 지난 18일부터 주택담보대출 만기를 최장 50년에서 최장 30년으로 줄였다. 만기가 축소되면 DSR 계산식에 따라 결국 대출 한도가 줄어드는 효과를 노린단 방침이다.

다른 은행들도 가계대출 오름세가 지속 유지될 시 강도 높은 규제를 내놓을 것으로 예상된다. 대출 가산금리를 인위적으로 올리거나, 생활안정자금용 주택담보대출이 다른 용도로 활용되지 못하도록 한도를 축소하는 방안도 검토될 수 있다. 이후엔 1주택 세대의 수도권 주택 추가 구입 목적의 주택담보대출을 막거나, 갭투자(전세를 낀 주택 구입) 차단을 명분으로 서울이나 수도권에서 소유권 이전 조건부(임대인 변경) 전세대출을 중단할 가능성도 있다.

금융당국도 새로운 대출 규제 시행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진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19일 국정기획위원회 업무보고에서 그간 DSR 규제 대상에서 제외됐던 전세자금대출과 정책모기지론 등을 다시 포함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보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은행은 내달 10일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 회의 시점까지 서울 집값과 가계대출 증가세가 안정화되지 않을 경우, 금리 동결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앞서 지난 18일 기자 간담회에서 “최근 수도권 주택 가격이 올라가는 것은 기대심리가 작용하기 때문”이라며 “구체적 부동산 공급안이 수도권에서 나와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