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엔솔·삼성SDI·SK온, 올 2분기 영업익 급락
우선순위 따라 시설투자 속도·규모 수정
이차전지 생산라인 ESS로 전환해 생산능력 최대한 유지

/그래픽=정승아 디자이너

[시사저널e=유호승 기자]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 SK온 등 국내 배터리 3사가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으로 인한 수요약세 장기화에 대응전략 마련·실행에 총력을 기울이는 중이다. 시설투자(CAPEX) 속도나 규모를 조절하거나 생산라인 변화, 고정비 절감 및 비용혁신 등으로 캐즘 회복 등의 ‘보릿고개’가 끝날 때까지 손실을 최소화하겠다는 목표에서다.

LG에너지솔루션의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은 1953억원으로 전년 동기(4606억원) 대비 57.6% 감소했다. 같은 기간 삼성SDI는 2802억원(-37.8%), SK온은 영업손실 4601억원을 기록해 11분기 연속 적자 상태다.

3사의 실적이 하락한 이유는 배터리 판가와 연동된 메탈 등 주요 원재료 가격이 떨어졌기 때문이다. 메탈은 물론 탄산리튬 등의 현재 가격은 연중 최저 수준이다. 배터리 업계는 메탈 가격에 연동한 판가를 기반으로 양극재·음극재 등 소재 기업과 납품 계약을 맺는다.

원재료 가격이 높아지면 완성품인 배터리 판매가도 오르는 구조인데, 현재는 반대 상황이다. 전기차 수요의 급락에 배터리는 물론 리튬 및 메탈 등의 가격도 하락세여서다. 이로 인해 국내 배터리 3사는 전기차 시장이 회복될 때까지 어려움을 이겨낼 다양한 방안을 강구해 실행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올해 매출 목표를 기존 4~6% 성장에서 20% 이상 감소로 변경했다.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수혜 규모도 올해초 제시한 45~50GWh(기가와트시)에서 30~35GWh로 수정했다. 급변하는 시장 상황에 따라 이차전지 생산량을 줄이면서 AMPC(첨단제조생산세액공제) 혜택도 감소할 전망이다.

LG에너지솔루션 관계자는 “고금리 기조 장기화로 소비심리가 위축됐고 주요 완성차 기업의 전동화 체제 전환 속도 역시 느려지면서 어느 때보다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라며 “매출 목표는 물론 진행 중인 대규모 투자 계획에도 변화를 줬다”고 말했다.

LG에너지솔루션의 에너지저장장치(ESS). / 사진=LG
LG에너지솔루션의 에너지저장장치(ESS). / 사진=LG

LG에너지솔루션의 올해 CAPEX 예정 규모는 11조원으로 삼성SDI·SK온 등 3사 중 가장 많다. 2022년에는 6조3000억원, 지난해에는 11조원을 집행한 바 있다.

당초 올해 계획 자금은 미국 미시간주 공장 증설과 제너럴모터스(GM)와 현대차, 스텔란티스 등 글로벌 완성차 기업과의 합작 프로젝트(JV) 등에 쓰일 예정이었다. 그러나 실적 등 악화된 상황으로 신규 증설 등은 소극적으로 접근하고 기존 전기차 생산라인은 에너지저장장치(ESS)로 전환해 유휴 거점이 생기지 않도록 관리하고 있다.

전기차용 배터리와 달리 ESS의 글로벌 수요는 증가세다. 인공지능(AI) 및 데이터센터 등으로 전력 사용량이 급증하면서 판매량도 늘어나는 추세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글로벌 ESS 시장은 전년 대비 27% 늘어난 400억달러(약 54조7200억원), 2035년에는 800억달러(약 110조원) 규모로 될 전망이다.

배터리 3사 중 이익 규모가 가장 큰 삼성SDI는 투자 규모는 기존처럼 유지하면서, 매출 극대화 및 수익성 개선을 위한 비용 구조 혁신에 집중한다. 상대적으로 수요가 여전한 중저가 전기차 배터리와 PHEV(플러그인하이브리드) 이차전지와 ESS 사업을 확대할 방침이다.

SK온은 전사 차원의 원가 절감 활동으로 경쟁력 강화에 나선다. 공장 라인도 경쟁사처럼 ESS 등으로 전환하는 동시에 전기차 배터리 양산 일정을 조정한다. 아울러 흑자전환까지 전 임원의 연봉을 동결하고 복리후생 제도와 업무추진비도 대폭 축소한다.

배터리업계 관계자는 “전기차 캐즘 기간이 최대 3년에 달할 것이란 예측까지 나오면서 시장 회복 시기가 언제일지 가늠하기 어렵다”며 “시장 회복 시기가 도래할 때까지 최대한 몸집 줄이기는 물론 생산라인 ESS 전환 등으로 버텨야할 시점”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