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조직 통폐합으로 임원 10여명 감축···구조조정 명분 쌓기
직군별 임금삭감도 추진 전망···노사갈등 가능성↑
[시사저널e=이승용 기자] 기업회생 절차를 밟게 된 쌍용차가 임원 수 줄이기에 나선다. 쌍용차는 임원에 이어 직원 대상 구조조정에도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향후 노조와 갈등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쌍용차는 임원을 30%가량 줄이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임원 축소는 일부 조직을 통폐합하는 과정에 따라 진행될 예정이다.
쌍용차 임원은 지난달말 기준 33명이다. 임원 10여명이 회사를 떠날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예병태 사장과 정용원 법정관리인은 투자유치 실패 책임을 지고 사퇴했다. 쌍용차는 법원으로부터 임원 퇴직금 예산 확보와 자금 집행에 대한 승인 절차를 밟을 예정이다.
쌍용차는 임원을 줄인 다음 노조에도 고통분담 차원에서 구조조정을 압박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과정에서 인건비 삭감 등의 방안도 논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쌍용차는 유동성 위기로 올해 들어 이달까지 직원들에게 임금의 50%만 지급하고 나머지 50%는 지급을 유예하고 있다.
향후 쌍용차 회생계획안에는 직군별 임금삭감안이 담길 것으로 전망된다.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쌍용차 직원 1인 평균 급여액은 2019년 8600만원이었고, 지난해에는 2000만원이 감소한 6600만원이었다.
쌍용차는 반도체 수급난과 협력업체의 납품 거부로 이달 8∼16일에 이어 19∼23일에도 평택공장 가동을 중단했다. 쌍용차는 일단 오는 26일에는 생산을 재개한다는 방침이다. 일부 외국계 부품업체는 여전히 쌍용차 납품을 거부하고 있다. 쌍용차 상거래 채권단은 26일 외국계 부품업체의 납품 재개와 정부의 금융지원을 촉구할 예정이다.
한편 쌍용차 회생 절차는 채권자목록 제출과 채권조사, 조사위원 조사보고서 제출, 관계인 설명회, 회생계획안 제출, 관계인 집회(회생계획안 심의·결의), 회생계획 인가 결정, 회생계획 종결 결정 순으로 진행된다.
조사위원은 쌍용차의 재무상태 등을 평가해 6월10일까지 회사의 회생 가능성에 대한 견해를 보고서로 제출한다. 조사위원이 회생 절차를 지속하자는 의견을 내면 관리인은 7월1일까지 회생계획안을 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