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당 年 소비량 15년째 하락···두자리수 인상률 예측

마트 방문객이 사과 상품을 살펴보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마트 방문객이 사과 상품을 살펴보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시사저널e=최동훈 기자] 국내 1인당 과일 소비량이 가격 부담 때문에 10여년째 감소한 가운데, 과일값이 한동안 더욱 인상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10일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등에 따르면 2022년 1인당 연간 과일 소비량은 55.0㎏으로 2007년(67.9㎏) 대비 19.0% 감소했다.

사과, 배, 복숭아, 포도, 단감, 감귤 등 6대 과일의 1인당 소비량은 2022년 36.4㎏로 2014년 41.4㎏에서 5.0㎏(12.1%) 줄었다. 농가 고령화로 인한 재배면적이 감소하고 기후변화로 수확량까지 줄면서 과일 가격이 크게 오른 탓으로 분석된다.

농산물유통종합정보시스템(농넷)에 따르면 서울의 사과 10개당 평균 소매 가격은 전날 기준 2만5840원으로 지난해 3월 9일 2만450원 대비 26.4%나 인상됐다. 같은 기간 배 10개 가격도 2만7090원에서 46.3%나 증가한 3만9630원을 기록했다.

과일 물가가 꾸준히 올라 가정의 식료품 소비는 더욱 줄었다. 통계청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1인 이상 가구의 식료품·비주류음료 지출액은 지난해 4분기 평균 40만9000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2.4% 증가했다. 하지만 물가 영향을 배제한 식료품·비주류음료의 실질 지출액은 3.9% 감소했다. 물가 인상으로 인해 식료품 구매에 더 많이 지출했지만, 실질적인 소비량은 줄어들었단 분석이다.

과일 소비량 감소는 소비자 건강 관리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단 관측이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과일·채소를 하루 권장량인 500g씩 섭취하는 6세 이상 인구의 비중은 2022년 22.7%로 2015년(38.6%) 대비 15.9%P 하락했다. 10명 중 2명 수준에 그친 셈이다. 가격이 너무 오르다보니 경기도의 복지 증진 사업 중 하나인 어린이 건강과일 공급사업에 비상이 걸리는 등 정책에도 영향을 끼치는 실정이다.

정부는 과일 가격 안정화의 묘수를 마련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중이다. 국내 농가 인구 감소, 품목별 재배 적합 지역 축소 등으로 인해 재배 면적은 줄어들고 있다. 수입산 과일을 들여와 유통량을 늘리면 가격을 조정할 수 있지만, 농가의 반발을 살 뿐 아니라 해외 병해충의 국내 확산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는 실정이다.

한편 알리 등 외국계 전자상거래(이커머스) 업체들이 규모의 경제를 활용해 국내 신선식품 시장을 공략하고 있어 국내 업계의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농림수산식품부는 단기적인 방안으로 지난해 사과, 배 등 일부 품목에 발생한 저온 피해를 예방할 시설 확충을 추진 중이다. 국산 물량의 공급을 늘려 가격 인상 요인을 부분적으로 해소하려는 취지다. 다만 이달 이후 햇 과일이 본격 출하하기 전까지 과일 가격 강세가 불가피할 것으로 내다봤다.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지난 7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긴급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달부터 기온 상승, 일조량 증가 등 기상 여건이 개선되고 출하 지역도 점차 확대돼 시설채소를 중심으로 농산물 수급 상황이 2월보다 나아질 것”이라며 “장바구니 물가 부담을 빠르게 완화하기 위해 우리가 활용할 수 있는 모든 수단과 자원을 총동원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