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오션플랜트 지난해 4분기 실적, 시장 기대치 하회
고금리에 프로젝트 수익성 저하···해외 저가 제품 국내 시장 진입도
"해상풍력특별법 통해 인허가 불확실성 제거해야"

서남권해상풍력 실증단지. /사진=연합뉴스
서남권해상풍력 실증단지. /사진=연합뉴스

[시사저널e=정용석 기자] 국내 대다수 해상풍력 사업이 입지 선정 과정에서의 인허가 지연, 정책 및 제도의 불확실성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서 수익성에도 경고등이 들어왔다. 이에 하부구조물 등을 공급하는 해상풍력 기자재 업체들도 판가 하락으로 지난해 4분기 악화한 성적표를 받아들였다. 

해상풍력 업계는 정책 드라이브를 통한 해상풍력발전 사업 촉진이 필요한 때라고 입을 모으지만, 입지 선정 및 인허가를 단축해 주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해상풍력특별법은 여전히 국회에 계류 중이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SK오션플랜트는 지난해 4분기 매출 2112억원, 영업이익 105억원을 기록하며 시장 기대치를 하회하는 실적을 냈다. 고금리 기조에 해상풍력 수익성이 악화하자 하부구조물을 생산하는 SK오션플랜트 수익성도 악화한 것이다. 

해상풍력 업황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회사의 올해 실적 전망도 낮아지고 있다. 신한투자증권은 올해 SK오션플랜트가 매출 1조300억원, 영업이익 773억원을 거둘 것으로 전망했다. 회사가 제시한 매출 1조원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하면서도 영업이익률은 하락할 것이란 분석이다. 

최근 개발 업체들의 제품 가격 인하 요구로 기존에 추진하던 계약 절차도 예상보다 오래 걸리고 있다는 후문이다. 박광래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해상풍력 업황의 불확실성이 SK오션플랜트의 지난해 하반기 실적부터 영향을 미치고 있다”면서 “대규모 수주 달성이 나와야만 산업과 회사의 성장성에 대한 의구심이 해소될 수 있다”고 했다.

앞서 SK오션플랜트는 지난해 9월 안마 해상풍력 프로젝트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으나, 정부의 2023년 풍력 고정가격계약 경쟁 입찰에서 떨어지면서 프로젝트 수주가 올해로 미뤄졌다. 안마 해상풍력 프로젝트는 국내 최초로 500MW 넘는 대형 해상풍력 설치사업이다. 업계 관계자는 “해상풍력 시장 내 중국 쪽이나 그 외 국가의 저가 제품들이 들어오고 있는 것으로 안다”면서 “국내 업체들이 낮은 가격의 해외 업체 제품과 경쟁하기 힘든 구조”라고 귀띔했다.

정부 해상풍력 발전량 상향 목표. /그래픽=정승아 디자이너
정부 해상풍력 발전량 상향 목표. /그래픽=정승아 디자이너

해상풍력 업황의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는 또 다른 요인은 복잡한 인허가 절차다. 통상 해상풍력 발전 사업은 입지 선정과 주민수용을 거쳐 시공·전력 생산까지 10년 이상의 기간이 소요된다. 현재 해상풍력과 관련한 29가지 법률에 관한 인허가는 산업부·해양수산부 등 각 부처에서 개별적으로 받아야 한다. 

업계 관계자는 “첫 관문인 인허가 과정서 예상치 못하게 일정이 지연되는 경우가 많다”고 했다. 상황이 이렇자 수조 원을 베팅한 외국계 개발기업들이 국내 해상풍력 사업에서 손을 떼는 사례도 등장했다. 최근 영국 에너지 기업 셸은 울산의 부유식 해상풍력 프로젝트 ‘문무바람’ 지분을 5500만달러에 전량 매각하기로 했다. 문무바람은 울산 앞바다서 부유식 설비 84개를 설치하는 초대형 해상풍력 프로젝트다. 투자 규모는 6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정책과 제도 미비가 국내 해상풍력 업황을 악화하고 있지만, 이를 해결해줄 법 제정은 안갯속이다. 현재 해상풍력 활성화를 위한 특별법이 발의돼 있으나 여야 정쟁에 후순위로 밀려 있다. 

해상풍력 특별법은 해상풍력 발전 사업을 촉진하기 위해 정부가 입지를 선정해 주고 인허가를 단축해 주는 법이다. 법안이 통과되면 인허가 주체가 단일화돼 현재 5년 이상 걸리는 인허가 기간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는 사업 추진 기간을 단축하기 위해선 해상풍력특별법이 이르면 오는 29일 열리는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되길 기대하고 있다. 해당 법안은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에 계류 중인데, 본회의 안건에 상정되기 위해선 산중위와 법제사법위원회 통과를 거쳐야 한다.

현재의 난개발식 개발을 피하고 어민들과 마찰을 줄이기 위해서라도 특별법 제정은 시급하다는 게 업계 설명이다. 인천시가 27억7000만원을 들여 설치한 덕적도 풍력단지는 태풍과 강풍에 잇따라 파손되면서 전기를 제대로 생산해 보지도 못하고 작동을 멈췄다. 무작정 발전용량을 늘리고자 난개발에 나선 결과다. 

업계 관계자는 “현재 2030년 해상풍력 보급량 목표인 14.3GW 목표량을 1%도 달성하지 못한 상황”이라며 “특별법 제정 없이는 계획적인 사업을 추진하기에 한계가 있어 목표 달성이 요원해 보인다”고 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