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바람 세차고 눈보라 쌓여도 님 향한 굳은 마음 변할 길 없어라”
독립단체 통일전선 위해 목숨 걸고 전령 역할 해내
한국 여성의 존귀한 존재성 강조

[시사저널e=이준영 기자] 

2020년 대한민국은 임시정부 수립과 3.1 운동 101주년을 맞았다. 1910년 일본에 나라를 빼앗긴 우리 민족은 끊임없이 항일독립운동을 했다. 1919년 3월 1일 전국 방방곡곡에서 남녀노소 모두 일어나 만세운동을 했다. 다음 달인 4월 11일 독립운동가들은 중국 상하이에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수립했다. 당시 대한민국 임시헌장 제1조는 ‘대한민국은 민주공화제로 한다’다. 이는 우리 민족의 자주 독립과 민주주의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보여준다. 시사저널e는 임시정부 수립과 3.1운동 101주년을 맞아 국가보훈처 자료를 바탕으로 독립운동에 헌신했던 사람들의 삶을 기사화한다. 특히 대중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독립운동가들을 중심으로 조명한다. [편집자 주]

오광심 선생 / 이미지=국가보훈처
오광심 선생 / 이미지=국가보훈처

오광심(吳光心) 선생은 한국광복군 총사령부에서 여자 대원으로 활동했다. 독립단체들의 통일전선을 위해 목숨을 걸고 전령 역할을 해냈다. 광복군 기관지 ‘광복’을 간행해 국내외 동포들의 항일 의식을 고취했다. 선생은 평등한 여성의 권리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했다. 여자가 없으면 우리 민족을 구성하지 못할 것이라고 하면서 한국 여성의 존귀한 존재성을 강조했다. 남녀평등과 여권을 위해 여자도 남자와 동등하게 국가와 사회의 임무를 져야만 한다며 독립운동의 참여를 주장했다. 선생은 임시정부 군무부의 병사 모집 업무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선생은 한국이 일제에 의해 강제로 병합되던 해인 1910년 3월 15일 평안북도 선천군(宣川郡) 신부면(新府面) 용건동(龍建洞)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선생은 부모를 따라 남만주로 이주했다. 남만주에 있는 화흥중학(化興中學) 부설 사범과에 입학했다. 화흥학교는 1927년 민족주의 독립운동단체인 정의부(正義府)에 의해 설립된 학교로 학생들에게 철저한 민족주의교육을 했다. 선생은 이 학교에서 민족의식을 키웠다.

◇ 교사로서 민족교육 활동

선생은 화흥학교를 졸업하고 1930년 통화현(通化縣) 반납배(半拉背)에 있는 초등학교인 배달학교(倍達學校)에서 교사가 됐다. 20세 때였다. 이 학교는 남만주의 한인 자치단체이자 독립운동기관이었던 한족회(韓族會)에서 설립한 민족주의 학교였다.

1931년에는 재만 항일근거지인 유하현(柳河縣) 삼원포(三源浦)에 있는 동명중학(東明中學) 부설 여자국민학교로 옮겨 2세 여학생들의 민족교육에 전념했다. 동명중학도 화흥학교와 마찬가지로 한인 자제들에게 민족교육을 시행하는 정의부 소속 학교였다.

◇ 교직 접고 독립운동 전념···일생의 배필 김학규 만나

선생은 배달학교 교사 시절인 1930년부터 조선혁명당에 가입해 본격적인 독립운동을 했다. 1931년 만주사변으로 정세가 급하게 돌아가자 교직을 접고 오로지 독립운동에 전념했다. 조선혁명당 산하 조선혁명군에 가담해 사령부 군수처(軍需處)에서 복무했다. 유격대 및 한·중연합 항일전에도 참여해 주로 지하연락 활동을 맡았다.

오광심 선생과 남편 김학규 선생
오광심 선생과 남편 김학규 선생

지하연락 활동 중 조선혁명군 참모장인 백파(白波) 김학규(金學奎)를 만나 부부의 연을 맺었다. 선생은 김학규의 부인이었을 뿐만 아니라 그의 참모이자 평생의 동지가 됐다.

1900년 평남 평원군(平原郡)에서 태어난 김학규는 1919년 신흥무관학교(新興武官學校) 속성과를 졸업하고, 1929년 동명중학교 교원 및 교장을 역임하다가 독립운동에 전념하기 위해 교직을 접었다. 선생이 김학규와 결혼할 무렵은 김학규가 조선혁명군 총사령 양세봉의 참모장이자 맹장으로서 활약했다.

1932년 4월 29일 상해에서 윤봉길(尹奉吉) 의사가 홍구공원(虹口公園) 폭탄의거를 했다. 홍구공원 의거 이후 임시정부의 김구(金九) 주석과 중국국민당 장개석(蔣介石) 위원장의 합작으로 하남성 낙양에 독립군 양성을 위한 군관학교 설립이 결정됐다.

김구 주석은 만주에서 악전고투하는 조선혁명군, 한국독립군 등 독립군의 관내지역 이동을 요청했다. 이에 조선혁명군과 한국독립군의 일부 장령들은 후일을 기약하며 1933년 말 관내지역으로 이동했다. 애초 조선혁명군은 관내지역으로 완전한 이동보다는 이 지역 독립운동세력의 도움을 받아 만주에서 항전을 계속하려고 했다. 이에 조선혁명군 사령부에서는 부족한 인력과 물자를 보충받기 위해 임시정부에 원조를 요청하기로 했다. 대표로 김학규가 선발돼 남경(南京)에 파견됐고 선생도 동행했다.

◇ 괴로움 많아도 님 맞을 그날 위하여 끝까지 가리라

선생은 임시정부를 찾아가는 험난한 과정에서 ‘님 찾아가는 길’이라는 제목의 노래를 지어 독립을 향한 의지를 표현했다.

님 찾아가는 길

비바람 세차고 눈보라 쌓여도

님 향한 굳은 마음은 변할 길 없어라

님 향한 굳은 마음은 변할 길 없어라

어두운 밤길에 준령을 넘으며

님 찾아가는 이 길은 멀기만 하여라

님 찾아가는 이 길은 멀기만 하여라

험난한 세파에 괴로움 많아도

님 맞을 그날 위하여 끝까지 가리라

님 맞을 그날 위하여 끝까지 가리라

노랫말 속의 ‘님’은 임시정부이자 나아가 조국광복을 의미했다.

◇ 목숨 걸고 전령 역할 해내다

선생과 김학규가 남경에 도착할 무렵 남경에는 이미 남경 중앙군관학교와 낙양군관학교에서 한인 청년들에 대한 군사훈련이 이뤄지고 있었다. 또한 임시정부를 비록해 의열단(義烈團)·신한독립당(新韓獨立黨)·조선혁명당 등이 효과적인 항일운동을 위해 한국대일전선통일동맹(韓國對日戰線統一同盟)이라는 전선통일을 위한 기구를 두고 활동하고 있었다.

김학규는 관내지역 독립운동단체 간에 통일이 이뤄지면 효과적으로 만주의 독립군을 지원해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 이에 남경 등 관내지역의 제반 상황을 만주의 조선혁명당 본부에 신속하게 보고해야 했다. 김학규는 본부에 제출할 보고서를 작성했다. 김학규의 요청에 따라 이 보고서를 가지고 만주의 당 본부에 가는 임무는 오광심 선생이 맡았다.

그러나 보고서를 휴대한 채 다시 만주로 간다는 것은 매우 위험한 일이었다. 그래서 선생은 아예 이 보고서를 통째로 외웠다. 그리고 선생은 만주의 조선혁명당 본부에 무사히 보고서를 구술로 전달했다. 이를 바탕으로 당 간부 몇 명이 한 한인의 집에서 남경에 보낼 비밀 지령문을 작성했다. 그러나 변절자의 방화로 가옥이 불타면서 겨우 3명만이 살아나왔다. 선생도 그 가운데 한 사람이었다.

선생은 살았지만 심한 화상으로 3개월 동안 만주 산간의 바위굴에서 치료했다. 1935년 1월 선생은 상처가 다 아물지 않은 몸을 이끌고 다시 남경으로 가 조선혁명당과 군이 남경에서 추진하는 단일당 조직운동에 대한 당과 군의 비준서를 전달했다.

이로써 조선혁명당 대표 김학규와 최동오(崔東吾)는 한국독립당, 의열단, 한국독립당 및 미주 대한인독립단의 통일전선운동에 뛰어들었다. 그 결과 1935년 7월 4일 단일대당인 민족혁명당(民族革命黨)이 창설됐다.

김학규는 민족혁명당 중앙집행위원에 선임됐고 오광심 선생은 민족혁명당에서 부녀부 차장으로 활동했다.

◇ 한국광복군 총사령부서 독립운동···기관지 ‘광복’ 간행

임시정부는 1939년 2월 광서성 유주에 머무는 동안 한국광복진선 청년공작대(韓國光復陣線靑年工作隊)를 조직했다. 대원 총수는 34명이고 이 가운데 11명이 여자 대원이었다.

임시정부 대가족은 1940년에 중국의 전시수도인 중경(重慶)에 최종적으로 안착하게 됐다. 임시정부는 중경에서 마침내 꿈에 그리던 한국광복군을 창설했다.

1940년 9월 17일 중경의 가릉빈관(嘉陵濱館)에서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성립전례식이 진행됐다. 가릉빈관은 중경시를 끼고 흐르는 가릉강(嘉陵江) 기슭에 있는 호텔로 연합국의 중경주재 서방 기자들이 활동하던 일종의 프레스센터였다. 이날 행사에는 김구·홍진·조소앙·조완구 등 임시정부·한국독립당·임시의정원 요인들 전원이 참석했다. 선생도 이날 광복군 창립식에 김정숙·지복영·조순옥 등의 여군과 사복을 입은 신순호·민영주 등과 함께 참여했다.

선생은 주로 한국광복군 총사령부의 사무 및 선전사업 분야에서 활동했다. 광복군 총사령부는 실제적인 항일운동을 하기 위해 전방인 섬서성(陝西省) 서안(西安)으로 이동했다. 이때 여자 광복군 대원인 선생과 지복영, 조순옥도 서안으로 이동했다. 중경의 총사령부 인원은 1940년 11월 17일 중경을 출발해 29일 서안에 도착했다.

선생이 소속된 서안 총사령부의 선전조는 광복군에 대한 홍보와 선전 활동을 전개하기 위해 우선 광복군의 기관지 간행을 추진했다. 원고 작성과 편집은 선생과 지복영, 조순옥 등 여자 대원이 주로 담당했다. 광복군 기관지는 1941년 2월 1일 자로 ‘광복(光復)’이라는 이름으로 간행됐다. ‘광복’은 한국어본과 중국어본의 두 종류로 간행됐다. 중국어본은 현지 중국인들을 대상으로 한 것이었고, 한국어본은 국내외 한인들을 대상으로 했다. ‘광복’ 창간호 한국어판에는 김구 주석과 광복군 총사령부의 이청천·황학수·김학규·이복원·김광 등이 국내외 동포들의 항일 의식을 고취하는 글을 실었다.

선생은 ‘광복’ 창간호 한국어판에 ‘한국 여성동지 들에게 일언(一言)을 들림’이라는 글을 실었다. 이 글에는 선생의 항일독립사상과 평등 여권의 실현 방략이 나타나 있다. 선생은 한국여성의 존재를 20억 세계인 가운데 절반이 되는 10억 세계 여성 인구의 구성으로 보고 “우리 여자가 없으면 세계를 구성할 수 없을 것이며 또한 우리 민족을 구성하지 못할 것이다”고 했다. 한국 여성의 존귀한 존재성을 강조했다.

이어 선생은 세계 흥망과 민족 존망의 책임이 남녀 모두에게 있음을 강조했다. 스페인 여성들은 자국의 내란이 일어났을 때 여성들이 어깨에 총을 메고 전선에 나가 남자 못지않게 싸웠으며, 중국 여성들도 맹렬하게 항일전투에 참여했다는 사례를 밝혔다. 그런데 한국의 현실을 볼 때 국망 30년 동안 조국광복과 민족의 자유를 위해 국내와 만주 및 관내에서 맹렬한 활동을 한 것은 주로 남자 동지들이고 여성은 극소수에 지나지 않으니 참으로 부끄럽다는 것이다. 그러니 남녀평등과 여권을 찾으려면 여자도 남자와 동등하게 국가와 사회의 임무를 져야만 하며 바로 지금 여자들에게 그 기회가 왔음을 강조했다.

◇ 모병 업무 성공적 수행···새로 들어온 대원 격려

임시정부 군무부(軍務部)는 초모공작(招募工作), 즉 모병 업무를 강화하기 위해 서안에서 제3지대를 편성했다. 1942년 군무부는 선생과 김학규 등에게 서안보다 더 전선과 가까운 산동반도로 가서 모병 업무를 할 것을 맡겼다.

산동반도를 향해 서안을 출발한 김학규 일행은 목적지까지 도달하지 못한 채 그 중간지점인 안휘성(安徽省) 부양(阜陽)에 정착했다. 산동반도의 전세가 매우 급해 더 앞으로 나아가지 못했다. 제3지대는 1945년 일제 패망 때까지 안휘성 부양에 거점을 두고 항일투쟁을 했다. 당시 부양은 지형상 일본군 점령지역과 근접해 있었다. 적후에서의 모병 업무를 전개하는 데에 유리한 지점이기도 했다.

선생은 제3지대에서 지대장 김학규의 참모이자 기밀 담당 비서로 활동했다. 새로운 대원들이 들어올 때마다 선생은 그들을 격려했다. 광복군에 참여했던 대원들의 회고에 의하면 대원들은 선생의 자상한 보살핌과 배려에 최대한의 경의를 표했다.

제3지대의 초기 활동은 지하공작을 통해 적 점령지구에 거점을 확보하는 것이었다. 안휘성을 비롯하여 강소성·하남성·하북성 등이 주요 공작지역이었다. 서파(徐波)·김광산(金光山)·신규섭(申奎燮)이 공작원으로 파견됐다. 그러나 초창기 모병 업무 활동은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모병 업무가 성과를 거두기 시작한 것은 1944년에 들어서면서였다. 그동안 꾸준하게 전개된 지하활동을 통해 적 점령지구에 있는 교포 청년들이 규합하기 시작했다. 이 무렵 국내에서 징집돼 중국전선에 배치된 한인 학도병들이 대거 일본군을 탈출했다. 1944년 1월 20일 ‘반도인 학도육군특별지원병’으로 일본군에 입대한 학도병들이 2월 중순경 서주(徐州) 등 중국 전선에 투입됐고 이들이 연이어 일본군에서 탈출했다.

모병된 교포 청년들과 일본군을 탈출한 학도병들은 광복군 지하 공작원들을 통해 부양으로 집결했다. 1944년 9월 그 숫자는 기존의 기간요원들을 포함해 70여 명에 달했다. 이들은 일정한 교육과 훈련을 거쳐 광복군으로 편입됐다.

제3지대의 모병 업무 활동은 커다란 성과를 거뒀다. 제3지대는 3년여 동안 160여 명의 인원을 모집했다.

◇ 광복 후 교포들 보호하고 안전한 귀국 도와

광복 후 선생은 김학규와 함께 상해로 갔다. 김학규는 상해에 광복군 총사령부 주호판사처(駐滬辦事處)를 설치하고 판사처 처장에 취임했다.

선생은 김학규를 도와 교포들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상해에 있던 3만여 교민들을 안전하게 귀국시키는데 힘썼다.

오광심 선생은 1946년 가을 김학규와 함께 상해에서 만주 심양(沈陽)으로 갔다. 선생은 심양에서 애국부인회를 조직해 위원장으로 활동했다. 1948년 선생은 조국으로 돌아왔다.

정부는 선생의 공훈을 기리기 위해 1977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했다.

한국혁명여성동맹 창립기념(1940. 6. 17) / 이미지=보훈처
한국혁명여성동맹 창립기념(1940. 6. 17) / 이미지=보훈처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