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주재소와 통신시설 격파···친일파 처단하고 동포에 대한 의병의 민폐 없애

2020년 대한민국은 임시정부 수립과 3.1 운동 101주년을 맞는다. 1910년 일본에 나라를 빼앗긴 우리 민족은 끊임없이 항일독립운동을 했다. 1919년 3월 1일 전국 방방곡곡에서 남녀노소 모두 일어나 만세운동을 했다. 다음 달인 4월 11일 독립운동가들은 중국 상하이에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수립했다. 당시 대한민국 임시헌장 제1조는 ‘대한민국은 민주공화제로 한다’다. 이는 우리 민족의 자주 독립과 민주주의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보여준다. 시사저널e는 임시정부 수립과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국가보훈처 자료를 바탕으로 독립운동에 헌신했던 사람들의 삶을 기사화한다. 특히 대중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독립운동가들을 중심으로 조명한다. [편집자 주]

채응언 선생 / 이미지=국가보훈처
채응언 선생 / 이미지=국가보훈처

채응언(蔡應彦) 선생은 의병 대장으로 일제 강점 후에도 포기하지 않고 더 힘차게 항일무장투쟁을 했다. 황해·함남·강원도 등지의 일제 주재소와 통신시설을 파괴했다. 일제를 몰아내고 의병의 무장을 강화하는 데 노력했으며 일제 군경기관을 공격했다. 선생은 친일파들을 처단하고 의병들이 동포들에게 민폐를 끼치지 않도록 기강을 잡았으며 군자금 중 깨끗한 돈만 받았다.

선생의 출생 시기는 자료가 없지만 1883년에 출생한 것으로 여겨진다.

국가보훈처에 따르면 채응언 선생은 일제의 침략이 노골화하자 의병에 나서기로 결심했다. 특히 을사조약 및 정미조약이 늑결되자 나라를 팔은 대신에 대한 분노가 커졌다.

선생은 ‘난신적자가 횡행해 권세를 희롱하므로 송병준(宋秉畯)·이완용(李完用)과 같은 7적(賊)·5귀(鬼)의 살점은 2000만 동포가 모두 씹어 먹고 싶어 한다’고 격문을 썼다.

선생이 의병에 투신한 시기는 1907년 중반으로 보인다. 선생은 서태순 혹은 전병무로 지칭되는 의병부대의 부하로 의병운동을 시작했다. 선생은 서태순의 순국 이후 의병장을 이어받았다.

◇ “인민 구하고 국권 회복하기 위해 모든 동포가 함께 의병이 되자”

채응언 선생이 독자적으로 의병을 일으킨 시기도 명확한 자료가 없으나 1908년으로 추정된다.

선생은 의병부대를 재편하면서 격문을 통해 원수를 갚아 3천리 강토를 회복하자고 주장했다. 또한 도탄에 빠진 인민을 구하고 국권을 회복하기 위해 모든 동포들이 함께 의병을 일으키는 나라가 되자고 호소했다.

선생은 ‘결코 무단히 인명 재산을 탈취할 리가 없고 악의악식(惡衣惡食)을 달게 여기고 부하와 침식을 함께 하며 간 곳마다 털끝만치도 범한 바가 없었다’고 자부했다.

이에 선생의 의병부대에는 군자금을 제공하겠다는 요청이 끊이지 않았다.

선생의 의병 부대는 군자금을 기부 받기도 하고, 악질부호의 재산을 징발한 경우도 있었다. 징발한 군수품을 빈민들에게 나누어 주기도 했다.

선생의 의병부대 규모는 300~400명 정도로 추정된다. 부대원들은 대부분 포수이거나 가난한 청장년 농민층으로서 대부분 선생이 의병활동을 벌이던 지역의 주민들이었다.

◇ 황해·함남·강원도 일제 주재소와 통신시설 공격

일제는 선생을 비롯한 황해도 지역에서 활동하는 의병부대를 진압하기 위해 1911년 9월 하순부터 한 달 이상 보병 제2사단을 투입해 진압 작전을 했다.

그러나 이들 의병 부대들은 소수정예의 유격전술로 일제의 탄압을 피했다.

선생의 의병부대는 반일투쟁에 적극적이었다. 특히 일제를 몰아내고, 의병의 무장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했다. 주로 활동지역 내의 일제 군경기관을 공격했다.

이들은 1908년 황해도 안평순사주재소(安平巡査駐在所) 공격을 시작으로 수안헌병파견소(遂安憲兵派遣所)를 습격했다.

또한 1910년 4월 28일 함남 안변군 영풍사 마전동순사주재소(馬轉洞巡査駐在所)를 습격해 일본인 순사를 총살하고 무기를 빼앗았다. 일제의 통신시설도 파괴했다.

그해 6월 13일에는 황해도 선암헌병분견소(仙岩憲兵分遣所)를 기습해 일본인 헌병과 헌병보조원을 사살하고 무기를 가져갔다.

6월 22일에는 강원도 남산역·고산역 헌병분견소의 연합토벌대와 전투를 벌였다. 헌병보조원 2명과 일본인 헌병 1명을 처단했다.

◇ 나라가 망해도 의병 투쟁 포기 안 해

일제에 조국이 강점된 후에도 선생과 의병부대는 항일투쟁을 멈추지 않았다.

선생의 의병 부대는 1910년 9월 강원도 이천군 광북수비대를 공격해 성과를 거두었다. 선생은 일제가 병합을 한 이후에도 의병투쟁을 그만두지 않고 더욱 진력해 국권을 회복하려 했다.

선생은 항일 투쟁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인근에서 활동하는 의병부대와 연합해 작전했다. 선생은 주로 강두필(姜斗弼) 의병부대와 연합했다.

또한 선생은 의병활동을 지속하기 위해 군자금이나 군수품 조달에 노력했다. 일제와 내통한 자나 밀고한 세력인 일진회원을 처단하고 밀고한 주민들의 가옥에 불을 지르기도 했다.

채응언 선생은 자신의 의병 부대를 포함해 악행을 저지르는 의병들을 가차 없이 처벌했다. 이에 선생은 국가 대사를 그르치지 않고 후환을 없애기 위한 것이며 사사로운 원한으로 그러한 것이 아니라고 밝혔다.

이 모두 조국 독립과 우리 동포를 위한 행동들이었다.

◇ 조국 독립에 계몽계열, 의병계열 구분 있을 수 없다

채응언 선생의 의병부대는 평남 양덕군 화촌면의 어느 사립학교를 방문해 학생들에게 자신들의 군사훈련을 보여주고, 자신들은 학생들의 체조를 구경했다,

당시 신식학교를 설립해 근대 교육으로 실력을 기르려했던 계몽운동가와 무장투쟁을 지향하는 의병운동가들은 입장이 달라 서로 비판적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생의 의병부대는 신식학교의 학생들에게 의병의 군사훈련을 보여주고, 자신들은 학생들의 체조를 관람한 것이다.

이에 국가보훈처는 “의병계열은 계몽운동에서 추진하는 신식교육을, 계몽계열은 의병의 군사교육을 서로 인정해준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가장 강력하게 항일투쟁을 전개하던 채응언 선생의 의병부대와 가장 대표적인 계몽운동을 추진하는 평안도의 교육운동세력과 그러한 관계가 형성됐다는 점에서 그러하다”고 했다.

선생의 의병부대는 계몽운동 계열에서 추진하는 신교육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봤다. 또한 자신들이 대한제국의 독립을 위하고 우리 동포를 구하기 위해 의병투쟁에 나섰음을 강조하면서 주민들에게 전혀 피해를 주지 않았다는 점을 학생들에게 알렸다.

◇ 부호의 밀고로 체포돼···8년간 의병 투쟁하다 순국

선생은 1915년 7월 5일 군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평남 성천군 영천면 처인리의 부호를 찾아갔다가 성천분대 요파출장소(了坡出張所) 일본인 헌병 전중롱웅(田中瀧雄)에게 체포됐다.

선생으로부터 군자금을 요청 받은 부호가 이 상황을 동네 주민에게 알렸고, 그 주민이 헌병출장소에 밀고함으로써 체포된 것이다.

선생은 재판에서 시종일관 살인·강도죄를 적용하는 점에 문제를 제기했다. 강도·살인죄명으로 교수대에서 죽기는 싫으므로 의적의 명분으로 사형에 처해달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평양복심법원은 선생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고 사형을 확정했다.

결국 선생은 1915년 11월 4일 오후 2시 평양감옥에서 교수형에 처해졌다.

보훈처는 “선생은 사형을 당하기 직전까지도 태연한 모습을 잃지 않았으며 일제가 적용한 강도·살인죄를 받아들이지 않았다”며 “이는 일제의 사법권을 부정하는 것일 뿐 아니라 일제의 지배 정책을 거부한 것”이라고 했다.

정부는 선생의 공훈을 기리어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