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 이후 외세 개입 극복 위한 ‘자유한국인대회 선언문’ 발표···대한애국부인회 만들어 임시정부에 독립운동 자금 전달

2019년 대한민국은 임시정부 수립과 3.1 운동 100주년을 맞았다. 1910년 일본에 나라를 빼앗긴 우리 민족은 끊임없이 항일독립운동을 했다. 1919년 3월 1일 전국 방방곡곡에서 남녀노소 모두 일어나 만세운동을 했다. 다음 달인 4월 11일 독립운동가들은 중국 상하이에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수립했다. 당시 대한민국 임시헌장 제1조는 ‘대한민국은 민주공화제로 한다’다. 이는 우리 민족의 자주 독립과 민주주의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보여준다. 시사저널e는 임시정부 수립과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국가보훈처 자료를 바탕으로 독립운동에 헌신했던 사람들의 삶을 기사화한다. 특히 대중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독립운동가들을 중심으로 조명한다. [편집자 주]

김순애 선생. / 사진=국가보훈처
김순애 선생. / 사진=국가보훈처

김순애(金淳愛) 선생은 2차 세계대전 종전 이후 열강들이 한국을 국제 감시 아래에 두기로 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전 세계에 한민족의 완전 독립과 임시정부 승인을 촉구했다. 이것이 자유한국인대회 선언문 발표다. 광복 이후의 외세 개입과 정치적 혼돈을 극복하기 위해서였다. 선생은 선언문 발표 이전에는 대한애국부인회를 만들어 임시정부에 독립운동 자금을 전달하고 한반도 지도와 태극기 등을 만들어 해외 각지에 보급했다. 또 동포 여성들을 교육해 독립운동에 참여하도록 했다.

선생은 1889년 5월 12일 황해도 장연군 대구면 송천리에서 태어났다. 선생은 서울로 가 새문안교회를 다니면서 정신여학교에 입학했다. 여기서 신학문을 배웠다. 1910년 경술국치(庚戌國恥) 당시 선생은 부산 초량소학교 교사로 지냈다.

이때 선생은 일제의 한국역사 교육 금지 조치에도 자신의 하숙집에서 학생들에게 비밀리에 우리 역사를 가르쳤다. 선생의 이러한 역사 교육이 일본이 교사에 들켜 신변의 위협을 받았다.

이에 선생은 친오빠 김필순(金弼淳)과 1912년 만주 통화현(通化縣)으로 망명했다. 선생은 1919년 1월 남경에서 독립운동가 김규식(金奎植)과 결혼했다. 

◇ 국내외에 한국대표 파리강화회의 파견 알리고 독립운동 봉기 촉구

결혼 후 선생은 상해로 갔다. 1918년 11월 여운형(呂運亨), 서병호(徐丙浩), 김철(金澈), 조소앙(趙素昻), 조동호(趙東祜) 등이 만든 신한청년당(新韓靑年黨)에 가입해 이사로 선임됐다. 신한청년당은 1919년 1월 18일부터 개최되는 파리강화회의에 한국 민족대표를 파견해 일제 식민지 통치의 실상을 폭로하고 선전하면서 한국의 독립을 호소하려고 준비했다.

이를 위해 신한청년당은 미국 버지니아주에 위치한 대학(Roanoke College)을 졸업한 김규식을 1919년 1월 파리강화회의에 파견하기로 했다. 또 김순애 선생 등 밀사를 국내와 만주 지역에 비밀리에 보내기로 했다. 국내와 만주에서 일시에 거족적 독립운동 민족 봉기를 일으켜 우리 민족 전체가 진정으로 일제의 식민통치를 거부하고 민족독립을 염원한다는 사실을 전 세계에 보여주기 위한 것이었다. 파리강화회의에 참가한 각국 대표들에게 한국 문제에 대한 각성을 촉구하고, 한국대표의 독립 외교활동을 지원해 민족독립을 달성하려는 목적이었다.

신한청년당은 김순애 선생과 선우혁(鮮于爀), 김철, 서병호, 백남규(白南圭) 등을 국내에 보내 독립운동 봉기를 부추기고 파리강화회의에 참가한 민족대표의 활동자금 지원을 요청했다. 여운형은 만주와 노령 연해주로, 조소앙, 장덕수(張德秀)는 일본 동경으로 보내 국외 한인동포들의 독립운동 봉기를 끌어내도록 했다.

선생은 1919년 2월 국내에 몰래 들어가 부산에서 백신영(白信永), 대구에서 김마리아, 서울에서 함태영(咸台永)을 만났다. 이들에게 한국대표의 파리강화회의 파견 소식을 전달하고 국내의 독립운동 봉기를 촉구했다.

그러던 중 선생은 3.1운동을 추진하던 함태영으로부터 이미 국내에서 천도교, 기독교, 불교 등 종교계를 중심으로 거족적인 독립선언대회가 추진되고 있는 사실을 알게 됐다. 이에 선생은 국내의 3.1운동에 동참하려 했으나 함태영이 말렸다. 파리에 가 있는 김규식의 사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그러면 민족의 대업 완수에 지장이 있을 것이라며 선생을 말린 것이다. 이에 선생은 민족대표들의 독립선언일을 눈앞에 두고 다시 중국 만주로 망명했다.

선생은 1919년 2월 28일 헤이룽장성(黑龍江省)에서 활동하고 있던 김필순을 찾아 갔다. 선생은 한인 동포들을 모아 국내의 3.1운동과 같은 독립만세시위운동을 계획했다. 그러던 중 선생은 일제 경찰에 붙잡혀 일본영사관에 감금됐다. 중국 관원의 호의와 알선으로 상해로 탈출했다.

대한애국부인회 만들어 임정에 독립운동 자금 전달

선생은 1919년 7월 이화숙(李華淑), 이선실(李善實), 강천복(姜千福), 박인선(朴仁善), 오의순(吳義順) 등과 함께 ‘여성의 독립운동 참여와 지원’을 목적으로 대한애국부인회(大韓愛國婦人會)를 만들었다.

선생이 회장으로 주도한 대한애국부인회는 김마리아 등 정신여학교 출신 인사들이 비밀리에 서울에서 결성한 대한민국애국부인회, 평양에서 김경희(金敬喜) 등이 만든 대한애국부인회 등 국내외의 애국부인회와 긴밀하게 협력하며 독립운동을 했다.

선생은 이들 단체들과 함께 독립운동 자금을 모집해 임시정부에 전달했다. 이 돈으로 독립운동가들과 그 가족들을 지원했다. 또한 해외 각지에 한국 지도와 태극기 등을 만들어 보급해 우리 민족의 독립의지를 전했다.

1919년 7월 13일 이희경(李喜儆), 안창호(安昌浩), 안정근(安定根) 등의 발의로 임시정부 내무부의 인가를 얻어 ‘독립전쟁으로 인한 전상병(戰傷兵)의 구호’를 목적으로 하는 대한적십자회(大韓赤十字會)가 상해에서 복구됐다. 김순애 선생은 여기에도 참여했다.

이듬해 선생은 대한적십자회의 부설기관으로 간호원양성소를 만들었다. 다수의 간호원을 배출해 독립전쟁에 대비했다.

대한적십자회는 비밀리 국내에 지부를 설치해 임시정부를 지원하기 위한 군자금 모집활동을 전개했다. 또 일제의 ‘간도출병(間島出兵)’ 이후 일본군이 저지른 재만 한인 동포에 대한 학살 만행을 세계 각국의 적십자회에 알려 규탄하는 선전활동을 했다.

대한적십자회는 1920년 4월 스위스 제네바에서 개최된 국제적십자총회에 이관용(李灌鎔)을 대표로 파견해 창립 보고와 함께 참가신청을 했다. 이를 저지하는 일본 정부와 일본적십자회에 항의서를 제출하고 그 내용을 국제적십자총회의 기관지에 게재했다. 선생은 대한적십자회의 독립적 지위와 권리를 보장받기 위한 외교 활동에 노력했다.

1920년 9월부터 ‘교육은 우리 민족의 생명이다. 교육이 있으면 살고 교육이 없으면 죽는다’는 취지 아래 상해의 대한인거류민단(大韓人居留民團)을 중심으로 해외 한인교육의 기초를 확립하기 위한 민족교육기금 조성운동이 시작했다.

김순애 선생은 여기에 적극 동참했다. 선생은 당시 여운홍(呂運弘)이 교장으로 있던 상해 한인동포 자제의 민족교육기관인 인성학교의 유지비를 지원하고 교사 신축비를 모금했다.

◇한국애국부인회 재건해 민족통일전선 형성···여성 독립운동 참여 이끌어

이념과 방략상 갈등으로 핵심 요인들이 탈퇴해 왜소화된 임시정부를 독립운동의 최고 영도기관으로 확대 개편하기 위한 국민대표회의가 1923년 1월부터 5월까지 상해에서 열렸다. 선생도 대한애국부인회 대표로 국민대표회의에 참석해 이념과 정파를 초월한 독립운동세력의 통합과 그 최고 통할 지도기관을 창출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러나 국민대표회의는 독립운동세력의 화합과 통합을 이끌어내지 못하고 끝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생은 상해에서 독립운동자들의 옷 세탁을 맡고 삯바느질도 하고, 하숙도 하고, 와이셔츠 공장도 경영하면서 임시정부에 필요한 자금을 어렵게 모아 지원했다. 임시정부의 명맥을 지키고 유지하기 위해서였다.

이 시기 임시정부가 자금난으로 어려움에 처하자 선생은 1926년 7월 안창호, 송병조(宋秉祚), 김보연(金甫淵), 조상섭(趙尙燮), 박창세(朴昌世), 엄항섭(嚴恒燮) 등이 조직한 임시정부경제후원회에 참여해 지속적으로 임시정부의 재정 지원 활동을 했다.

이후 선생은 1930년 8월 상해에서 김윤경(金允經), 박영봉(朴英峰), 연충효(延忠孝) 등과 함께 한국독립당(韓國獨立黨) 산하의 여성 독립운동단체인 ‘한인여자청년동맹’을 만들었다. 선생은 이 동맹의 집행위원으로서 한국독립당과 임시정부의 독립운동을 지원하고 3.1운동 기념일에는 항일 격문과 전단을 제작해 배부했다.

임시정부와 요인들은 1932년 4월 29일 윤봉길 의사의 훙커우 공원 의거로 일제의 추적이 심해져 상해를 떠났다. 항주(1932), 진강(1935), 장사(1937), 광동(1938), 유주(1938), 기강(1939) 등지를 떠돌다 중국 국민당의 후원으로 1940년 9월 중경(重慶)에 정착했다. 임시정부 요인들은 민족의 모든 역량을 대일 항전에 모으기 위해 민족통일전선의 형성에 나섰다. 이에 각각의 사회단체들도 주의와 정파를 뛰어 넘어 통합운동을 추진했다.

1943년 2월 23일 각 정파의 여성들 또한 중경에서 한국애국부인회 재건대회를 열어 여성 차원에서 민족통일전선을 형성했다. 이 대회에서 선생은 주석, 박순희 부주석, 최소정, 김운택, 연미당, 강영파, 권기옥, 정정화 등이 각부 주임으로 선출됐다. 재건 한국애국부인회는 “국내외 부녀는 총단결해 전민족해방운동과 남녀 평등이 실현되는 민주주의 신공화국 건설에 적극 참가하여 분투하자는 행동강령을 선포했다.

각종 매체를 통해 국내외 동포 여성들에게 민족적 각성을 촉구하며 독립운동 참여를 호소했다. 의연금품을 모아 무력항쟁을 준비하는 광복군을 위문했다.

또 연합군측으로부터 인계 받은 동포여성들을 교육해 독립운동에 참여하도록 했다. 해외 각지의 한인여성단체들과 긴밀히 연계하면서 임시정부의 독립운동을 도왔다.

◇“전후 한국의 완전독립 촉구하고 외세 감시 반대”···'자유한국인대회 선언문' 발표

이후 김순애 선생은 미국과 영국 최고 지도자들이 워싱턴에서 회담을 갖고 2차 세계대전 종전 이후의 세계 평화 문제를 논의한 과정에서 한국을 국제 감시 아래 두기로 했다는 소식을 들었다.

이에 1943년 5월 10일 한국애국부인회, 한국독립당, 조선민족혁명당, 조선민족해방동맹, 무정부주의연맹, 한국청년회 등은 공동으로 재중국 자유한국인대회(自由韓國人大會)를 열었다. 이때 선생은 한국애국부인회 대표로 한국독립당의 홍진(洪震), 조선민족혁명당의 김충광(金忠光), 조선민족해방동맹의 김규광(金奎光), 무정부주의연맹의 유월파(柳月波), 한국청년회의 한지성(韓志成)과 함께 주석단의 일원으로 이 대회를 이끌었다.

여기서 선생을 비롯한 단체의 대표들은 어떤 외세의 압박과 간섭도 반대할 것을 결의했다. 이들은 ‘한국은 마땅히 독립국이 돼야 하고, 한민족은 마땅히 자유민이 돼야 한다’는 ‘자유한국인대회 선언문’을 발표했다.

이들은 아래의 ‘각 동맹국 영수들에게 보내는 전문’을 발송해 한국 민족의 완전 독립과 임시정부의 승인을 촉구했다.

1. 우리는 우리 민족의 영구한 생존발전과 전인류의 진정한 평화와 행복을 찾기 위해 우리 국가의 완전독립을 주장한다.

2. 전후 한국을 국제 감시해야 한다는 것은 우리 민족의 요구에 위배되며, 또 동맹국의 대(對)일본 작전방침에 해로우며, 또 루즈벨트·처칠 선언의 기본정신에도 배치되는 것이므로 이것을 절대로 반대한다.

3. 우리는 동맹국의 승리와 일구(日寇)의 멸망을 확실히 믿음으로 단결하고 노력해 일본을 반대하는 대혁명을 일으키려 한다.

4. 동맹 각국들은 우리 민족의 역량을 인정하여 적극적으로 물자를 원조하고 우선 임시정부의 국제적 합법적 지위를 승인해 주기 바란다.

이들은 또 동포들에게 임시정부의 깃발 아래 단결해 우리 민족의 완전 독립과 철저한 해방을 획득하자고 주장했다. 아래와 같은 ‘각 지방 동지와 동포들에게 보내는 공개장’을 발표했다.

“친애하는 동지 동포 여러분! 우리들은 실로 각 동맹국의 원조를 필요로 한다. 이 위에 가장 필요한 것은 우리 민족의 공고한 단결과 자력 갱생이다. 이러한 역량을 가져야만 완전 독립과 철저한 해방을 획득할 수 있는 것이다. 일어서라! 우리 임시정부의 깃발 아래로 어느 한 사람이나 한 단체라도 모두 모이라! 그리하여 승리적인 전도(前途)를 향하여 용감히 전진하자!”

선생과 이들 단체의 대표들은 우리 민족의 완전 독립과 임시정부 중심의 독립운동을 국내외에 촉구했다. 이는 광복 이후의 외세 개입과 정치적 혼돈을 극복하기 위해서였다.

선생은 꿈에 그리던 8·15 광복 이후 1945년 11월 23일 임정요인 1차 환국 때 김구, 김규식, 이시영(李始榮), 김상덕(金尙德), 엄항섭, 유동열(柳東說) 등과 같이 고국 땅을 밟았다. 이후 1946년부터 1962년까지 모교인 정신여자중고등학교 재단 이사장과 이사 등으로 지내며 여성 교육에 힘썼다. 선생은 1976년 5월 17일 87세에 세상을 떠났다.

정부에서는 선생의 공훈을 기리어 1977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