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세권 활성화 추진계획 발표, 내년 이후 확대 시행

역세권 활성화 사업 대상지 요건 / 자료=서울시
역세권 활성화 사업 대상지 요건 / 자료=서울시

 

 

서울시가 시 전역의 역세권을 개발해 도시 기능과 거주 공간을 집약한 컴팩트 시티 조성에 나선다. 올해 하반기 지하철 7호선 공릉역 일대 등 5개 지역에서 시범사업을 실시한 뒤 내년부터 사업지를 늘려나갈 계획이다.

서울시는 27일 역세권 복합개발을 위한 역세권 활성화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컴팩트 시티는 도시 기능과 거주 공간을 집약한 도시 공간 구조를 지칭한다.

이번 계획에서 역세권은 지하철, 국철, 경전철 등의 역 승강장 경계로부터 반경 250m 이내에서 설정된 지역을 뜻한다. 현재 서울 시내에 총 307개 역세권이 있다. 역세권 총면적 55㎢는 서울시의 시가화 면적 370㎢의 15%다.

시는 컴팩트시티 조성배경에 대해 "역세권의 종합적인 육성·관리나 이를 위한 실현수단은 상대적으로 미흡했다"며 "역세권은 여전히 이용도가 낮고 활성화하지 않아 잠재력을 충분히 이용하지 못하는 실정"이라고 배경을 설명했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용적률 인센티브로 역세권 민간 개발을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구체적으로 용도지역을 변경해 용적률을 높여주고, 증가한 용적률의 50%를 공공기여로 받는 방식을 제시했다. 공공기여는 지역의 특성에 따라 필요한 시설을 적절한 비율로 받을 계획이다.

역세권 활성화는 시가 2016년부터 추진 중인 2030 역세권 청년주택과 유사하다. 다만 이번 계획은 주택뿐만 아니라 사무실, 상가 등 지역 맞춤형으로 사업을 추진할 수 있다는 게 차이점이다.

시는 올해 하반기 서울주택도시공사와 함께 공릉역 역세권 등 5곳에서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공릉역 사업지는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거쳐 용도지역을 제3종일반주거지역에서 근린상업지역으로 변경한 뒤 공공임대주택, 상가, 공용주차장 등을 확충할 예정이다. 7월 사업계획안을 수립해 2020년 도시관리계획 및 사업계획 결정, 2021년 착공, 2023년 준공한다는 계획이다.

나머지 4곳은 검토 중이다. 시는 강북 지역 역세권을 중심으로 선정할 예정이다.

권기욱 서울시 도시계획국장은 "도심 내 부족한 주택 공급을 늘려 서울의 주거안정을 도모하고 서울 전역의 지역 균형발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