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인프라 늘려 온라인 진출기업 1만5000개 육성···2.9조원 규모 무역금융 확대개편으로 자금지원도 개선

글로벌 스타트업을 육성하기 위해 정부가 발벗고 나선다. 정부는 수출지원 제도를 개선하고 해외진출 기반을 조성해 2022년까지 온라인 수출기업 1만5000개와 지방 수출유망 핵심기업 5000개를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해외 혁신거점 22개를 조성해 스타트업 성장을 돕는다.

8일 중소벤처기업부가 발표한 수출‧해외진출지원 대책에 따르면 앞서 수출활력 제고 대책에 반영된 무역금융지원 후속이행 추진상황이 담겼다. 또한 중소벤처기업의 수출 및 해외진출에 대한 중장기 방안 중심이 마련됐다. 

그래픽=이다인 디자이너
그래픽=이다인 디자이너

먼저 정부는 온라인 수출 기반을 조성하고 지원을 확대한다. 글로벌 B2C(기업과 고객 간 거래, Business to Customer) 및 B2B(기업 간 거래, Business to Business) 시장이 온라인 중심으로 빠르게 전환 중이기 때문이다. 국내 온라인수출은 2016년부터 수입을 앞지르기 시작했다.

이에 정부는 전자상거래 공동물류, 통관물류 센터를 구축해 온라인 수출지원 인프라를 확충한다. 또한 온라인 수출지원 제도를 강화하기 위해 내수기업 3000개사가 글로벌 온라인 몰에서 상품판매를 직접 할 수 있도록 역량을 지원한다. 창업수출을 위한 전자상거래 중점대학 5개를 지정해 교육 실습과정을 설치한다. 디지털 콘텐츠 활용한 대규모 온라인 전시관도 구축한다.

유니콘 기업을 위한 글로벌 스케일업도 본격 추진된다. 해외 진출을 위해선 스타트업을 현지 시장을 파악하고 투자자를 만나야 한다.

정부는 인도 구르가온과 미국 시애틀에 스타트업 진출거점을 신설한다. 제조업을 위해 해외사무 공간을 제공하는 수출BI 22개소를 개방형 공간으로 전환한다. 무역관 중 일부 20개소는 창업 지원을 위한 거점으로 지정한다.

중소기업진흥공단, 창업진흥원, KOTRA 등 지원기관, 지방자치단체, 대학 등이 보유한 해외 협력채널 및 재외국민 네트워크 등을 통합해 스타트업에게 제공한다. 스타트업과 현지 혁신주체 간 교류 활성화를 유도하기 위해서다. 해외 협력채널을 상호 연결시키는 공유플랫폼을 구축하고, 수출친구맺기 등 해외 네트워크 활용사업을 확대한다.

대규모 글로벌 성장자본 유치를 위해 글로벌 대기업 및 해외 벤처캐피털(VC) 액셀러레이터와의 매칭도 진행한다. 투자유치를 위해 현지 크라우드펀딩 등 투자정보도 제공한다. 헬스케어 분야는 독일의 베이어(Bayer), ICT‧모바일 분야에는 일본 KDDI와 중국 알리바바, 핀테크분야에는 싱가포르 스탠다드차타드 및 해외 6개국 액셀러레이터 활용 스타트업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자금도 지원된다. 정부는 80억원 규모 바우처 제도를 신설한다. 스타트업이 해외진출에 필요한 사항을 자율적으로 선택해 제공받는 방식이다. 모태펀드 1000억원이 포함된 3000억원 규모 해외 벤처캐피탈 글로벌 펀드를 추가 조성해 해외 VC투자를 유도한다.

스타트업 국제기구 설립도 추진된다. 중기부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 스타트업, 투자자와 네트워킹 활성화 및 해외진출 활성화를 위한 국제기구 설립을 제안할 예정이다. 단기적으로 한-아세안 스타트업 국제기구를 설립하고, 장기적으로 글로벌 규모로 확대 추진할 계획이다. 러시아 등 신북방 지역과 공동기술 개발 및 스타트업에 특화된 기술개발 등 해외진출 연계 기술개발사업도 추진한다.

또한 정부는 케이콘(KCON) 한류 문화행사, 콘서트, 드라마, 예능 등 콘텐츠와 공영 및 대기업 홈쇼핑 해외 채널을 활용해 중소기업의 신흥시장 진출을 확대한다. 신남방과 신북방 국가 맞춤형 국가 마케팅활동도 추진한다.

해외시장 진출 방식 다각화를 위해 자동차부품, 조선기자재, 반도체 등 분야에 글로벌 파트너링(GP) 상담회도 연 32회까지 확대한다. 세계가전전시회(CES)와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등 전시회에 한국관을 통합 운영한다. 중소 및 중견 전문무역상사 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무역보험과 수출마케팅 인센티브도 확대된다.

무엇보다 창업기업, 연구개발(R&D)기업 등 개별로 지원됐던 수출지원책이 집중지원 방식으로 변경된다. 창업, R&D, 판로 등 다른 정책지원을 받은 기업 중 우수기업을 수출유망핵심기업으로 지정해 집중지원한다. 중앙 정부 중심 지원방식에서 지자체 및 수출유관기관 등이 지역 전략 방식으로 자율적으로 사업을 운영할 수 있다. 매년 해외마케팅 및 보증·자금 등 후속지원을 통해 2022년까지 핵심기업 5000개사를 창출한다.

이밖에도 해외진출 지원 기반을 구축을 위한 수출 통합 신청 사이드, 수출금융패키지, 정보제공 및 위조상품 대응 플랫폼이 마련된다.

한편 지난 3월 4일에 발표된 무역금융 공급확대를 위해 2640억원이 추가 출연‧출자됐다. 수출기업들을 위한 무역금융 규모는 약 2조9000억원정도다. 신설‧확대한 무역금융프로그램 8개도 4월부터 이행 중이다.

그간 업계에서는 중소기업과 스타트업 해외 수출이 늘어나고 있음에도 특정 산업과 국가에만 지원이 집중돼있다는 지적이 나왔었다. 업계에서는 해외진출 지원책이 다각화되면서 수출구조가 개편되고 인프라가 생기길 기대 중이다.

박영선 중기부 장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수출상품, 산업‧시장 구조가 빠르게 변해가고 있어 중소벤처기업의 역할이중요해 지고 있다”며 “수출 감소세를 극복하기 위한 무역금융지원과 함께 수출정책을 미비점을 개선했다. 특히 지원제도와 인프라를 재편하고 정비하는데 주안점을 뒀다”고 말했다.

박 장관은 이어 “이번 대책으로 온라인 시장 진출지원 시스템과 지역의 수출유망기업 육성 제도를 잘 정착시키고, 해외 혁신거점 설치나 국제기구 설립 등을 통해 스타트업이 해외진출을 쉽게 도전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중소벤처기업이 중견기업,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토록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