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에 몰린 신도시, 지방 수요 빨아들일 수도 있어…전문가들 “지역경제 활성화 위한 방안 나와야 할 때”

3기 신도시 조성이 지역 간 부동산 양극화를 심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서울 접근성이 좋은 수도권에 주택과 생활기반시설이 생기고 일자리가 늘어나면 지방 부동산시장 침체의 골은 더욱 깊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사진=연합뉴스
3기 신도시 조성이 지역 간 부동산 양극화를 심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서울 접근성이 좋은 수도권에 주택과 생활기반시설이 생기고 일자리가 늘어나면 지방 부동산시장 침체의 골은 더욱 깊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전문가들은 지방 부동산시장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지역경제 활성화가 선제적으로 진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지난 19일 국토교통부는 남양주 왕숙, 하남 교산, 과천, 인천 계양 등 4곳을 3기 신도시로 선정했다. 이와 함께 국토부는 교통망 구축 시간을 2년 앞당기겠다며 신도시에서 서울 도심권까지 30분 내로 접근이 가능하도록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등 광역교통망을 중심으로 신규 택지를 개발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또 김현미 국토부 장관은 신도시 지역에 도시지원시설 용지를 기존보다 2배 이상 확보해 벤처기업시설과 도시형공장 등을 유치하겠다고 전했다. 기업 유치를 통해 신규 고용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모색하는 등 신도시의 자족기능을 강화하겠다는 것이 김 장관의 계획이다.

이처럼 서울과 가까운 수도권의 교통여건과 주거환경이 개선되자 일각에선 지방 부동산 시장이 더 악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3기 신도시는 서울 뿐 아니라 지방의 수요까지 빨아들일 수 있다”며 “수도권 집중현상이 지속되면 지역 간 양극화 현상은 고착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지방 아파트 값은 일부 광역시를 제외하고 지난해부터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부동산 114에 따르면 울산이 2% 하락하며 광역시 중 가장 큰 하락폭을 보였고 지역별로는 경상남도(-2.6%) 경상북도(-2.0%), 충청남도(-1.1%), 제주(-0.6%), 전북(-0.5%) 등 순이었다. 

부동산 업계에서는 9·13 대책과 기준금리 인상, 대출 규제 등으로 인해 똘똘한 한 채 바람이 거세지면 지방 부동산시장은 더 얼어붙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부의 주택 규제 압박이 지속되면 집값 상승 가능성이 높고 거주 수요가 풍부한 인기지역 또는 유망단지로 청약이 쏠릴 수밖에 없다는 것이 업계의 중론이다. 

이에 전문가들은 서울·수도권과 지방의 격차는 더욱 벌어질 것이라며 내수경제를 활성화시켜 지방경제성장을 도모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권 교수는 “지방을 살리겠다고 수도권 수요를 분산시키면 수도권이 죽을 수 있기 때문에 침체된 지방 부동산 문제를 흑백논리로 해결하기엔 한계가 있다”며 “지방 부동산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정부는 내수 경제 활성화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판단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지방 부동산을 살리겠다고 지방 부동산시장 규제를 완화하는 정책이 나오면 규제완화가 자칫 주택의 과잉 공급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지방의 부동산 흐름과 분양권시장 시황에 국한되는 정책이 아닌 지방경제를 살리는 종합적인 대책이 나와야 할 때”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