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2017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 발표…가구주 노후 걱정은 더 커져

자료=한국은행


# 4인 가구 가구주인 직장인 A씨(남·51세)는 보유 자산이 3억8164만원이다. 이 중 부채는 7022만원으로 주택을 마련하기 위해 낸 빚이다. A씨는 지난해 급여로 5010만원을 받았다. 전년보다 소득이 늘었지만 원리금 상환은 여전히 부담스럽다. 그는 그래도 여유 자금이 생길 때마다 저축과 금융 자산에 투자한다. 노후 대책을 위해서다.

이는 대한민국 가구의 평균적인 경제 상황이다. 21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7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3월 기준 대한민국 자산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늘었다. 소득도 전년 대비 증가했다. 하지만 부채 증가율이 자산과 소득 증가율보다 높아지면서 상환 부담은 여전했다. 게다가 은퇴로 인한 소득 절벽 탓에 대한민국 가구의 노후 생활에 대한 걱정이 늘어만 가고 있다.

◇ 늘어난 가계 부채···부동산 구입이 원인

올해 3월 기준 가구 평균 자산은 3억8164만원으로 지난해 비해 4.2% 증가했다. 이 중 실물자산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1% 증가한 2억8380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체 자산의 74.4%를 차지한다. 금융자산은 9784만원으로 전년 대비 1.5% 늘었다.

가구 평균 자산 증가는 거주주택 자산이 늘어난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실물 자산 중 부동산 자산은 올해 3월 기준 2억6635만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5% 증가했다. 이는 거주주택 자산이 지난해 1억4237만원에서 올해 3월 1억5393만원으로 8.1%로 급증한 영향이 컸다.

자산 증가는 저소득층에서 두드러졌다. 소득 5분위별 자산 변화를 보면 소득 하위 계층인 1분위, 2분위 자산 증가율은 각각 9.4%, 5.7%로 평균(4.2%) 이상으로 늘었다. 반대로 소득 상위 계층인 4분위와 5분위는 지난해 대비 자산 증가율이 각각 4%, 2.7%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다만 5분위 가구의 평균 자산(8억4137만원)은 1분위 가구 평균 자산(1억3073만원)의 6.4배 수준이다.

자산이 늘어남과 동시에 부채도 증가했다. 올해 3월 기준 가구 평균 부채는 7022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4.5% 늘었다. 이 중 금융부채가 4998만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9% 늘었다. 임대보증금 부채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3% 증가했다. 특히 금융부채에서 담보 대출과 신용대출이 각각 5%, 10.3% 뛰었다. 이는 부동산 구입에 따른 부채 발생으로 분석된다.

부채는 소득 상위 계층을 제외한 전 부문에서 증가폭이 컸다. 소득 중간 값인 2분위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부채가 8.4% 증가했다. 소득 3분위와 4분위 역시 부채가 전년 대비 각각 6%, 8.1% 늘었다. 1분위도 6.3% 증가했다. 반대로 고소득층인 1분위 부채가 1.3% 증가하면서 전체 평균은 4.5%로 집계됐다.

◇ 소득 증가율 미미…자산운용 노후 대비 위주로

소득도 증가했다. 다만 소득 증가율은 부채 증가율(4.5%)에는 미치지 못했다. 올해 3월 기준 가구의 연평균 소득은 5010만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2.4% 증가하는데 그쳤다. 소득에서 비소득지출을 뺀 처분가능소득은 4118만원으로 전년 대비 2.4% 증가했다.

빚은 느는데 소득 증가율이 지지부진하자 가구주의 노후 걱정이 많아졌다. 30대~50대 가구주는 가구소득이 3000~5000만원 미만 비중이 가장 높다. 하지만 60대로 접어들면 가구 소득이 1000∼3000만원 미만에서 가장 많이 분포돼 있다. 은퇴 후 소득이 급격하게 줄어든 것이다.

이에 다라 가구주들은 소득이 증가하거나 여유자금이 발생하면 노후 자금 마련에 투입하는 경향이 짙었다. 실제 이들의 금융 자산의 투자 목적은 노후 대책이 57.4%로 가장 많았다. 이는 전년에 비해 2.2%포인트 상승한 것이다. 뒤이어 주택관련(16.6%), 부채상환(8.6%) 순으로 높았다.

이들의 여유자금 운용방법으로 금융자산 투자(43.5%), 부동산 구입(28.9%), 부채 상환(22.4%) 순으로 선호했다. 금융자산 투자 시 선호하는 운용 방법은 예금이 91.8%로 압도적이었다. 이밖에 주식 4.1%, 개인연금 1.8% 순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