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상가능성도 부족...한국 신용등급 상향, 투자수요 견조 영향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 9일 금통위 회의장에 들어오고 있다. / 사진=뉴스1
미국이 연내 정책 금리를 올릴 것이라는 전망이 이어지며 한국을 비롯한 주요국 중앙은행들의 완화적 통화정책에 대한 기대감이 떨어지고 있다.

지난 9일 열린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만장일치로 연 1.25%인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지난 6월 한은이 기준금리를 연 1.5%에서 0.25%포인트 낮출 때만 해도 연내 한 차례 금리 인하가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있었지만 9월 금통위를 계기로 이러한 전망은 사라졌다.

유럽 중앙은행(ECB)은 지난 8일 독일 프랑크푸르트 본부에서 개최한 통화정책회의에서 양적완화 연장에 관한 논의 없이 현행 제로 수준인 기준금리를 유지하기로 했다. 예금금리는 마이너스 0.4%, 한계대출금리는 0.25%로 동결했다.

21일 금융정책결정회의를 가지는 일본은행도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이라는 관측이 유력하다. 주요국들의 이러한 움직임은 모두 미국 금리 인상을 지켜보는 행보로 비춰진다.

재닛 옐런 미 연준 의장이 최근 금리 인상 가능성을 나타내면서 미국에선 올해 최소 한 차례 금리 인상이 있을 것이라는 예상이 늘었다. 이에 따라 각국 금융시장에 투자된 외국인 자금이 빠져나갈 가능성이 커져 각국 통화당국은 금리를 내리기 곤란해 진다.

한국도 마찬가지다. 내외금리차가 줄어들면 외국인 투자자들이 한국 금융시장에 투자할 근거가 사라지는 셈이다.

이에 대해 지난 9일 금통위를 전후해 한국이 금리를 올릴 가능성은 없는 것인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됐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금통위 이후 열린 기자회견에서 "한국은 소규모 개방경제로 자본유출을 걱정할 수밖에 없다"며 "기축통화국보다는 금리가 높아야 한다"고 밝혔다. "국내 채권에 대한 외국 투자가들의 투자 수요가 견조한 점이 자본유출 위험을 낮춘다"며 미국이 금리를 올렸다고 한국이 기준금리를 무조건 올릴 수는 없음을 시사했다.

강현철 NH투자증권 이사는 미국 금리 인상과 관련해 "미국이 완만한 속도로 금리 인상을 진행할 전망이어서 우리 금융시장에서 갑작스러운 대규모 자금이탈 같은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미선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미국이 12월에 금리를 인상한다면 그때까지 시장이 불안정하고 환율 변동성이 커질 것"이라며 "신흥국인 한국은 미국 상황을 지켜본 후 금리 결정을 내리는 것이 옳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