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계약대출·신용대출, 소득 적을수록 활용 높아져

한화생명 본점 모습. / 사진=연합뉴스
맞벌이 가구(부부가 모두 돈을 버는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765만원, 외벌이 가구는 529만원으로 나타났다. 보험료 지출은 맞벌이 가구보다 외벌이 가구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한화생명은 ‘빅데이터로 바라본 맞벌이와 외벌이’ 분석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전했다.

보험료 지출을 보면 월 소득 대비 보험료 납입액은 외벌이 가구가 더 많았다. 맞벌이 가구는 월 소득의 3.65%(27만9천225원)를, 외벌이 가구는 4.82%(25만4천978원)를 보험료로 지출했다. 한화생명은 “외벌이 가구가 보험의 필요성을 더 느낀 결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소득별로 보면 소득 하위 그룹에선 외벌이 가구가 더 많은 보험료를 납입했다.

한화생명이 분류한 소득 하위 기준(연 소득 기준 맞벌이 7000만원 이하, 외벌이 4000만원 이하)으로 볼 때, 연금보험료는 맞벌이(11만원)보다 외벌이(15만원)가 더 많이 냈다. 저축보험도 맞벌이(20만원)보다 외벌이(25만원)가 더 많았다.

종신보험(15만원)과 CI(중대질병)보험(14만원)의 보험료는 두 집단이 동일했다.

소득 중위 그룹(맞벌이 8000만~1억1000만원, 외벌이 5000만~1억원)의 저축보험 가입은 맞벌이(38만원)보다 외벌이(50만원)가 더 많은 보험료를 납입했다.

소득 상위 그룹(맞벌이 1억2000만원 이상, 외벌이 1억1000만원 이상)에서는 맞벌이 납입보험료가 외벌이 가정보다 많았다. 종신·CI보험은 소득이 높을수록 맞벌이가 외벌이보다 더 많은 보험료를 냈다.

이는 소득이 많은 맞벌이 가정일수록 부부 모두 사망과 중대한 질병을 보장하는 상품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보험계약대출과 신용대출을 활용해 본 경험은 소득 하위 그룹에서는 맞벌이보다 외벌이가 더 많았다. 소득 상위 그룹은 맞벌이 가정이 더 많이 활용했다. 또 보험계약대출과 신용대출은 소득이 높아질수록 활용 경험이 줄었다. 반면 부동산 대출은 소득이 높을수록 더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