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조직쇄신 능력 평가에도 낙하산 논란 부담…박, 내부인물 명분 불구 '엘시티' 등 후유증 우려

(왼쪽부터) 박재경 BNK금융지주 회장 직무대행, 김지완 전 하나금융지주 부회장.
BNK금융지주가 차기 회장 후보자 선정을 21일로 연기한 가운데  내부에선 외부 인사 영입으로 조직을 혁신해야 한다는 목소리와 낙하산은 안 된다는 목소리가 대립하고 있다. BNK금융 임원추천위원회도 이를 두고 의견이 팽팽히 맞서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BNK금융은 17일 오전 10시 박재경 BNK금융그룹 회장대행, 정민주 BNK금융경영연구소 대표, 김지완 전 하나금융지주 부회장 등 3명을 대상으로 차기 회장 면접을 진행했다. 그러나 발표 예정 시간이 지나도록 결론을 못 내리고 21일 재논의하기로 했다.

BNK 내부 관계자는 "김지완 전 부회장과 박재경 직무대행 중 누구를 회장으로 선출하느냐를 놓고 의견이 반반으로 갈렸다"며 "지난 정부 BNK금융 엘시티 특혜 대출 의혹과 주가조작 의혹으로 조직 이미지가 추락하면서 적폐 청산과 혁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진 것"이라고 말했다.

최종후보자로 선정되기 위해서는 임원위원 6명 가운데 과반수를 넘는 4표 이상을 얻어야 한다.

임추위는 김영재 부산대 경제학부 교수, 윤인태 법무법인 해인 대표변호사, 이봉철 롯데그룹 경영혁신실 부사장, 문일재 대한석유협회 상근부회장, 김찬홍 명지대 경영학과 교수, 차용규 OBS경인TV 대표이사 등으로 구성돼 있다. 임추위원들은 박재경 대행과 김지완 전 부회장을 놓고 의견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한 금융권 고위 관계자는 "BNK내부에서는 박 직무대행에 대해 내부인물이라고 선호하면서도 금융당국이 엘시티와 주가 조작 등으로 조사가 나올 경우 박 직무대행과 임원 등이 조사 대상에 오를 것이라는 염려도 크다"며 "이 문제는 회장 인선에 낙하산보다 더 중요한 문제가 될 수 있다. BNk금융 권력 시스템 문제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박 직무대행이 주가조작 혐의로 구속된 성세환 전 회장라인이라는 점도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BNK금융지주 역사상 처음으로 회장직 공모를 외부까지 오픈한 것도 이런 상황에서 조직 혁신과 내부 혼란 수습, 조직 이미지 개선을 도모하기위한 취지라고 분석하고 있다.

김 전 부회장을 지지하는 임추위원들은 BNK금융이 구태를 청산하고 미래를 기약할 수 있는 쇄신을 이루기위해서는 나이나 출신에 상관없이 외부인사를 영입해야 한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김 전 부회장이 금융권에서 '직업이 사장'이라는 별명이 붙을 정도로 최고 경영자 경험이 많다는 장점이 있다"며 "조직운영 경험을 보면 BNK 내부자들도 문제를 삼기 어렵다"고 말했다.

김 전 부회장은 1977년 부국증권에 입사한 이후 35살에 임원에 올랐다. 부국증권, 현대증권, 하나대투증권 사장직을 계속 맡으며 사장만 14년을 지냈다. 최근 경력도 하나금융지주 자산관리 부회장이다. 부산은행 노조에서 은행 경력이 없다고 하지만 은행지주 부회장 경력과 최근 금융권에서 중점을 두고 강화하고 있는 자산관리 부회장 경력은 은행 경력을 대변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노조에선 김 전 부회장이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부산상고 동문이라며 여권성향 인사로 분석한다. 참여정부는 물론 현 정부와도 인연이 깊다는 주장이다. 노조는 김 전 부회장이 새 정부에 줄을 댔다며 낙하산 인사라고 반대하고 있다.

하지만 김 전 부회장 측근 관계자는 "전 정부와 가까웠던 BNK금융 내부 관계자들이 현 정부와 가까운 인사에 대해 노골적으로 반대하는 모양새"라며 "현 정부와 가까운 인사가 회장에 오르는 것이 BNK금융에 어떤 안 좋은 영향을 주는지 이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BNK금융은 오는 21일 오후 후보자에 대해 재논의한 뒤 후임 회장을 선출하기로 했다.  내달 8일 주주총회와 이사회를 열어 회장을 최종 임명할 계획이다.

한 금융권 고위 관계자는 "순혈주의를 고집할 이유는 없다"며 "이번이 BNK금융을 혁신할 기회라고 봐야 한다. 회장 후보 능력을 다방면으로 평가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