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격자형 개편···3개월 만에 백기
신규 격자형 피드도 선택 가능
연내 추가 기능 개선 준비 중
[시사저널e=장민영 기자] 카카오가 다음 달 카카오톡 친구탭 첫 화면을 기존 목록형으로 되돌리는 업데이트를 단행한다. 지난 9월 격자형 피드로 대대 개편한 지 불과 석 달 만에 이용자 요구를 전격 수용한 것이다.
23일 정보통신기술(ICT)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는 12월 중 친구탭을 원상 복구하는 방식의 업데이트를 통해 격자형 피드는 선택 옵션으로 남겨둘 예정이다. 이용자는 설정에서 과거 목록형과 현재 피드형 중 하나를 고를 수 있게 된다.
카카오는 9월 23일 친구탭을 인스타그램류 피드형으로 바꾸자마자 대규모 항의를 받았다. 메신저 본연의 기능이 훼손됐다는 비판과 1점 테러, 기존 시스템으로 복구(롤백) 문의가 쇄도했다.
이용자들 사이에서 '쉰내나는 인스타그램'이란 혹평이 쏟아지면서 카카오의 주가마저 6만원선이 붕괴되는 등 타격을 입었다. 결국 지난 9월 29일 4분기 내 첫 화면을 친구목록으로 복원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당초 이번 달 복구 가능성도 제기됐지만, 기능 점검과 다른 업데이트 일정을 고려해 12월로 최종 확정했다. 구체적 업데이트 날짜는 정해지지 않았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3분기 실적 콘퍼런스콜에서 “카카오는 이용자 여러분들의 피드백을 수렴하여 4분기부터 예정된 친구탭 개편을 포함해 지속적으로 서비스 개선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국민 메신저 위상에 금이 가는 것을 막기 위한 대응으로 평가된다. 다만 사용자 이탈은 미미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와이즈앱·리테일에 따르면 10월 카카오톡 월간활성이용자(MAU)는 4797만명으로 8월(4819만 명) 대비 0.4% 감소에 그쳤다.
카카오톡은 지난 10월 기준 국내 앱 사용 시간 1위 자리도 지켰다. 이어 디스코드 644만명, 텔레그램 428만명, 페이스북 메신저 158만명, 위챗 118만명, 와츠앱 106만명, 네이트온 55만명 순이다.
와이즈앱·리테일 관계자는 “통계 오차범위를 감안하면 사용자 수 변화는 거의 없었던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카카오는 친구탭 복원 외에도 연내 추가 기능 개선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용자 중심 서비스로 신뢰 회복을 노리는 행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