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AI 메가 트렌드와 대한민국의 도전’
국내외 석학·산업계 전문가 참여
AI 패권 경쟁 시대 전략 모색

제11회 인공지능 국제포럼(AIF 2025) 포스터. / 사진=시사저널e
제11회 인공지능 국제포럼(AIF 2025) 포스터. / 사진=시사저널e

[시사저널e=정용석 기자] 자율주행차부터 스마트 팩토리, 금융 서비스까지 인공지능(AI)이 산업의 ‘게임 체인저’로 부상했다. 기술이 기회이자 위협으로 동시에 다가오는 상황에서 한국이 취해야 할 전략을 논의하는 자리가 열린다.

시사저널e는 오는 18일 서울 그랜드하얏트호텔에서 ‘제11회 인공지능 국제포럼(AIF 2025)’을 개최한다. 이번 포럼은 학계와 산업계를 대표하는 국내외 전문가들이 참여해 AI 기술의 발전 방향과 산업 적용 사례를 논의한다.

행사는 고동진 국민의힘 의원의 축사로 시작한다. 삼성전자 대표이사 출신으로 현재 국회 AI·반도체 특별위원장을 맡고 있는 고 의원은 AI를 국가 핵심산업으로 키워야 한다는 입장을 전할 예정이다.

첫 번째 기조연설은 김진형 KAIST 전산학부 명예교수가 맡는다. 김 명예교수는 ‘AI 기회와 위협 : 패권 경쟁 속 우리의 선택’을 주제로, 글로벌 기술 패권 경쟁 심화 속에서 한국이 어떤 전략을 취해야 하는지를 짚는다. 이어 찰리 다이(Charlie Dai) 포레스터 AI APAC 총괄 수석 애널리스트가 ‘불확실성 속에서 살아남는 기업 AI 전략’을 통해 글로벌 기업들의 AI 활용 방향을 제시한다.

세션 발표는 산업 현장의 경험과 비전을 공유하는 자리로 꾸려진다. 유병용 오토노머스에이투지 부사장은 ‘자율주행과 AI’를 주제로 미래 모빌리티 산업의 변화를 조망한다. 이덕만 포스코홀딩스 AI로봇융합연구소 센터장은 ‘포스코의 인텔리전트 팩토리 여정과 함께하는 인공지능’을 통해 제조업 혁신 사례를 소개한다.

김태윤 SKT 파운데이션모델담당 부사장은 ‘A.X : SKT 자체 LLM 소개 및 발전 방향’을 통해 통신업계의 초거대 언어모델 전략을 공개한다. 권순일 업스테이지 부사장은 ‘기업의 AI 도입 변화 트렌드’를 발표하며 산업 전반에서 나타나는 AI 도입 패턴을 짚는다. 마지막으로 김홍종 케이뱅크 데이터&AI 팀장은 ‘생성형 AI로 변화하는 은행’을 주제로 금융권의 변화를 공유한다.

이번 포럼은 이달 18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20분까지 서울 그랜드하얏트호텔 산수룸에서 열리며, 유튜브 ‘시사저널e(youtube.com/시사저널e)’ 채널에서 생중계된다. 행사 중 실시간 대화창을 통해 질문한 참가자 중 100명을 추첨해 1만5000원 상당의 스타벅스 기프티콘을 증정한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