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7년 무분규 종료·한국GM 동시파업
HD현대重, 임금 협상·합병설 갈등 고조
파업 장기화시 마스가 프로젝트 차질 우려도

올해 완성차 5개사 노조가 파업 없이 임단협을 마무리 지었다. / 사진=김은실 디자이너
 / 사진=김은실 디자이너

[시사저널e=정용석 기자] 국내 자동차 업계를 대표하는 현대차와 한국GM은 물론 HD현대 조선 3사가 임금 및 단체협약 교섭 난항을 이유로 부분파업에 돌입했다. 미국발 관세 대응과 ‘마스가(MASGA)’ 프로젝트 참여 같은 대외 과제가 산더미처럼 쌓인 가운데 생산 차질에 따른 대외 신뢰도 하락 리스크가 수출·통상 트랙까지 번질 조짐이다.

3일 완성차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노조는 이날부터 사흘간 부분파업에 들어간다. 오전·오후 출근조는 3·4일 각 2시간, 5일 4시간 멈춘다. 울산·아산 등 주요 공장에서 조합원 약 4만2000명이 동참한다. 현대차 노조 파업은 7년 만이다.

임단협 쟁점 사안은 ▲기본급 인상(노조 14만1300원 vs 회사 9만5000원) ▲정년 64세 ▲주 4.5일제 ▲성과급·상여 체계 등이다. 회사는 성과급 400%에 별도 1400만원, 전통시장상품권 20만원, 주식 30주 등을 제시했지만 노조는 수용하지 않았다. 노조는 5일까지 진전이 없으면 9일 중앙쟁대위에서 추가 수위를 논의한다.

한국GM 노조는 1~3일 하루 4시간 파업을 진행 중이다. 임단협 이견에 더해 직영 정비소 폐쇄, 부평 유휴부지·서비스센터 매각 방침 등 ‘철수설’ 불식 요구가 겹쳤다. 기아 노사는 8월 상견례 이후 교섭을 이어가며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

현대차 노조 임단협 출정식. / 사진=연합뉴스
현대차 노조 임단협 출정식. / 사진=연합뉴스

◇ 조선으로 번진 불씨···HD현대 3사 공동 행동

파업의 불씨는 조선업계에도 번졌다. 금속노조 현대중공업지부는 전날 4시간 부분 파업에 이어 이날도 파업을 이어갈 방침이다. 4~5일에는 시간을 늘리고, HD현대미포·HD현대삼호와 공동 결의대회를 예고했다.

HD현대중공업 노사는 5월 상견례 이후 20차례 교섭에도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7월 잠정안(기본급 13만3000원 인상·격려금 520만원)은 조합원 투표에서 부결됐다. 정년 연장, 성과급 산식 조정 등이 재 쟁점화됐다.

HD현대중공업과 HD현대미포의 합병 결정도 노사 갈등에 불을 지폈다. HD현대중공업·HD현대미포 합병 발표 후 노조는 “사전 협의 없는 전격 결정”이라며 세부자료 공개·고용보장책을 요구했다. 사측은 “HD현대미포를 ‘마스가’의 중심 조선소로 키우기 위한 결정이며 인력감축 계획은 없다”는 입장이지만, 갈등 불씨는 남아 있다.

HD현대중공업 노조가 지난해 8월 임단협 난항으로 파업을 하는 모습. / 사진=HD현대중공업 노조
HD현대중공업 노조가 지난해 8월 임단협 난항으로 파업을 하는 모습. / 사진=HD현대중공업 노조

◇ 생산 차질 빚을까···대외 신뢰도 ‘빨간불’

완성차 9월 생산 차질은 불가피하다. 지난 2016년 현대차 장기 파업 당시 166시간 동안 생산하지 못한 차량은 11만4000대로 추산된다. 손실 규모만 약 2조5000억원에 달한다. 차량 가격 상승을 감안하면 체감 비용은 더 커진다.

올해 국내 완성차 생산 전망치는 407만대다. 1~7월 누적 242만7382대로 전년 대비 0.4% 감소했다. 현대차에 더해 기아까지 파업 대열에 서면 ‘400만대’ 달성에 빨간불이 켜진다. 부품 납기, 선적 슬롯, 물류 체계 등이 동시에 흔들리는 점도 부담이다. 조선업계 내에서도 부분 파업 장기화 시 수주·인도 일정 지연, 해외 고객 신뢰도 하락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네이버 노동조합 ‘공동성명’이 지난달 27일 경기 성남시 네이버1784 1층 로비에서 최인혁 전 최고운영책임자(COO)의 테크비즈니스부문 대표 복귀에 반대하는 대규모 집회를 개최했다. / 사진 = 네이버 노동조합
네이버 노동조합 ‘공동성명’이 지난달 27일 경기 성남시 네이버1784 1층 로비에서 최인혁 전 최고운영책임자(COO)의 테크비즈니스부문 대표 복귀에 반대하는 대규모 집회를 개최했다. / 사진 = 네이버 노동조합

◇ IT로 번지는 전선···네이버·카카오도 촉각

노란봉투법이 공포 후 6개월 뒤 시행되면 사용자 범위가 원청까지 넓어지면서 플랫폼·콘텐츠 업계로도 파장이 번질 수 있다. 제조업에서 시작된 ‘추계투쟁’의 불씨가 IT·플랫폼으로 번질 개연성도 적지 않다는 평가다.

네이버와 카카오는 수십~수백 개 종속회사를 거느린 지배구조 특성상 자회사 인사·업무 결정에 대한 책임 공방이 커질 가능성이 크다. 네이버 노조는 모회사 직접교섭과 계열사 처우 개선을 압박하고 있고, 카카오 계열에선 분사·CIC 전환 과정의 인력 이동과 고용안정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두 노조는 오는 9일 국회에서 지배구조·고용안정 의제를 논의하는 토론회를 예고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