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수입 철강·알루미늄에 관세 폭탄 발표
“추후 발표 대기, 구체적 조치 나오면 국가 차원서 대응해야”
[시사저널e=유호승 기자] 포스코와 현대제철 등 국내 철강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모든 수입 철강·알루미늄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했기 때문이다.
북미 시장은 우리나라 철강 수출량의 10% 이상을 차지하는 핵심 시장이다. 글로벌 경기불황과 중국산 철강재의 국내 시장 대규모 침투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철강업계에 ‘폭탄’이 떨어지는 셈이다.
10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전용기인 에어포스원에서 취재진과 만나 “캐나다를 포함해 미국으로 들어오는 모든 철강에 25%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며 “알루미늄에도 같은 수준의 관세를 적용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11일이나 12일 기자회견을 통해 상호관세에 대한 입장도 밝히겠다고 언급했다. 상호관세는 상대국이 자국 제품에 부과하는 관세 수준과 동일하게 수입품에 관세를 부과하는 방식이다.
현재 우리나라와 미국 간에는 자유무역협정(FTA)으로 화물용 차량 등 일부 민감 품목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품목에서 관세가 철폐된 상태다.
트럼프 1기 행정부는 철강에 대해 고관세로 우리나라를 압박한 바 있다. 무역확장법 232조를 거론하며 한국산 철강재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려 했다. 당시 정부와 협회, 철강업계 등의 노력으로 대미 수출량을 ‘263만톤(t)’으로 제한하는 쿼터제가 시행됐다. 제한 물량까지는 무관세가 적용돼, 관세 부과 폭탄을 피했다.
그러나 현재는 상황이 다르다. 철강·알루미늄에 대해 국가와 상관없이 모든 수입품에 25% 관세를 일괄적으로 부과하겠다고 트럼프 대통령이 엄포를 놓으면서 국내 철강업계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쿼터제 시행 국가에도 25% 관세가 일괄적으로 적용될지 자세한 내용이 발표되지 않아 미국 측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관세 폭탄이 현실화된다면 정부와 철강협회, 관련 기업이 힘을 모아 대응책을 마련해 미국 정부에 우리 입장을 전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