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 제조‧신세계 유통 1위 노하우 결합
양사 물류 인프라 결합, 배송 효율 강화
[시사저널e=한다원 기자] 범삼성가로 분류되는 CJ그룹과 신세계그룹의 합종연횡이 주목된다. 서로 간 사업영역을 철저히 분리해왔던 양사는 ‘물류’로 본격 협업에 나섰다. 쿠팡과 중국 이커머스의 공세가 심화되자 사업 접점이 많은 양사가 시너지를 내겠다는 전략이다.
유통 1위 신세계그룹과 글로벌 생활문화기업 CJ그룹은 지난 5일 CJ인재원에서 ‘CJ-신세계 사업제휴 합의서 체결식’을 가졌다. 체결식에는 신세계그룹에서 임영록 경영전략실장, 한채양 이마트 대표, 위수연 신세계프라퍼티 콘텐츠본부장이, CJ그룹에선 김홍기 지주사 대표, 신영수 CJ대한통운 대표, 허민회 CJ CGV 대표가 참석했다.
CJ와 신세계는 이번 MOU를 통해 ‘물류 협업’에 나선다. 이들은 가장 먼저 ‘이커머스’인 G마켓과 SSG닷컴에 적용할 방침이다. 즉 G마켓과 SSG닷컴은 물류 전문기업인 CJ대한통운의 배송 네트워크를 활용해 운영 효율을 높여 고객 편익을 증대한다.
우선 G마켓은 이르면 7월부터 CJ대한통운을 통해 익일보장 택배를 시작한다. G마켓이 CJ대한통운의 오네(O-NE) 서비스 도입으로 내일도착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O-NE 서비스가 도입되면 G마켓의 기존 스마일배송보다 주문할 수 있는 시간이 확대될 수 있다. 그간 오후 8시까지 주문해야 다음날 도착이 예정됐다면, 이제는 자정까지 주문하면 다음 날 받을 수 있게 된다.
이번 협업을 계기로 G마켓과 CJ대한통운은 셀러를 대상으로도 도착보장 서비스 협력을 확대할 계획이다. 셀러가 도착보장 모델에 동의하면 다양한 프로모션 혜택을 주는 식이다. 셀러는 판매를 늘릴 수 있고 고객은 더 많은 상품을 빨리 받을 수 있다.
SSG닷컴은 물류 시스템 고도화를 위해 쓱배송과 새벽배송, 물류센터 등 시스템 운영의 상당 부분을 CJ대한통운이 맡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특히 김포 NEO센터 두 곳과 오포에 지은 첨단 물류센터를 CJ대한통운에 단계적으로 이관하는 방안에 대해 협의 중이다.
아울러 SSG닷컴은 물류 비용 절감으로 그로서리 분야를 더 강화한다. SSG닷컴은 그로서리 분야에서 이마트 상품 선별과 소싱 등 1등 대형마트 역량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다른 온라인몰 대비 만족도가 높다.
CJ대한통운은 대폭 늘어난 물류 물량으로 ‘규모의 경제’를 실현한다. CJ대한통운은 신세계와 전방위적 물류 협력을 통해 국내 최대 규모 물류협력을 할 예정이다. 이번 물류협력을 모범사례로 삼아 CJ대한통운은 1PL(자사물류)의 3PL(제3자물류) 전환을 본격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양사는 협업이 본격 이뤄지면 고객은 ‘상품’ 부문에서 변화를 체감할 수 있다는 관측이다. CJ제일제당과 이마트로 대표되는 제조와 유통 선도기업들이 힘을 합친다면 뛰어난 품질과 합리적 가격을 갖춘 상품이 나올 수 있다는 것이다.
대표적으로 지난해 8월 이마트·SSG닷컴·G마켓은 CJ제일제당의 신제품 13종을 선론칭해 판매했다. 오프라인과 온라인을 두루 갖춘 신세계의 유통‧판매망은 신상품에 대한 다양한 고객 반응을 살펴볼 수 있다. 또 앞으로는 상품 기획 단계부터 양사의 공동 개발도 기대되는 부분이다.
미디어·콘텐츠 분야에서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동시에 멤버십도 강화한다. 양사는 멤버십 혜택을 공유해 적립처, 사용처 등 고객 혜택을 늘려나갈 예정이다.
현재 신세계는 신세계포인트와 신세계유니버스클럽 등을 운영 중이고, CJ는 CJ ONE 포인트 멤버십을 갖고 있다. 신세계 멤버십은 온‧오프라인을 넘나드는 쇼핑 혜택에 강점이 있다. CJ는 CGV, 올리브영 등 독보적인 전문 분야에서의 포인트 적립과 사용이 강점이다.
이번 CJ와 신세계의 협력이 주목받는 이유는 범삼성가에서 계열 분리하면서 서로 독립적으로 사업 영역을 침해하지 않는다는 규칙을 깼기 때문이다. 그간 CJ그룹은 식품 제조와 엔터테인먼트·물류 분야, 신세계그룹은 유통에 방점을 찍고 사업을 확대해왔다. 다만 최근 유통업계가 침체기를 맞았다는 점에서, 양사가 협력해 위기를 극복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분석된다.
신세계그룹과 CJ그룹은 “양사는 유통·식품·문화 등 고객과 접점이 많은 산업에서 혁신을 주도해왔다는 공통점이 있다”면서 “긴밀한 협업을 통해 양사의 성장성을 제고하고 고객 만족을 이끌어낼 것”이라고 밝혔다.
- [유통토요판] 화제의 노브랜드, 이마트는 ‘그룹 통합’ 노린다
- [유통토요판] 쿠팡에서 장보는 이유? 대형마트보다 더 저렴
- [유통토요판] ‘쿠팡이냐 네이버냐’ 멤버십 환승 고객 잡기 총력
- [유통토요판] 쿠팡에서 MLB시리즈 본다···CJ 회장 초청 눈길
- [유통토요판] 깨지지 않는 1위···소비자 선택은 몽쉘 아닌 ‘초코파이’
- [유통토요판] 와인 수요 급감···신세계L&B의 거꾸로 전략
- [유통토요판] SNS서 인기 ‘두바이 초콜릿’, 품절대란 예고
- 탈 쿠팡족 잡을까···최훈학號 SSG닷컴, 경쟁력 강화 분주
- [유통토요판] 대세는 K-푸드, 식품家 파리올림픽서 한식 알린다
- [유통토요판] CJ온스타일, 모바일커머스로 새판짜는 이유
- CJ대한통운의 ‘주7일 배송’, 이커머스 구도 재편될까
- [유통토요판] 쿠팡서 주문한 상품, 하루 쓰고 반품?
- ‘스타배송’ 카드 꺼낸 G마켓, 1위 탈환 가능할까
- [유통토요판] 화제의 ‘흑백요리사’, CU 노출 효과 톡톡
- [유통토요판] 호텔스닷컴이 예상한 내년 여행 트렌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