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날 촛불집회에서 총파업 거론 안 돼···임현택 회장, “6월 큰 싸움 시작” 강조
의협 “내주 대표자 회의서 총파업 로드맵 나와”···찬반 투표 통해 확정 전망
전병왕 “증원 확정, 집단행동 의미 없다”···환자단체, 총파업 강행 시 큰 피해 우려
[시사저널e=이상구 의약전문기자] 촛불집회에서 정부를 상대로 큰 싸움을 예고한 의료계가 조만간 회의를 열어 총파업 강행 여부를 결정할 전망이다. 이에 정부는 의대 증원이 확정된 상황에서 의료계 집단행동은 무의미하다는 반응을 내놓고 있다.
31일 의료계에 따르면 대한의사협회는 전날 서울 등 전국 6개 지역에서 촛불집회를 열어 정부의 의대 증원을 비판했다. 의협은 서울에서 ‘대한민국 정부 한국의료 사망선고의 날’이라고 명명한 집회를 개최했다. 임현택 의협 회장은 “정부가 망하는 길로 가겠다면 의사들은 국가를 잘못된 길로 인도하는 자들을 끌어내리는 선봉에 서겠다”고 강조했다.
단, 임 회장은 총파업 등 집단행동 계획을 촛불집회에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그는 향후 투쟁과 관련, “6월부터 의료 농단에 대한 큰 싸움을 시작하고 (의대) 교수들도 동의해줬다”며 “이제는 개원의, 봉직의도 싸움에 나와줘야 한다”고 말했다. 전날 임 회장 발언은 의협 내부적으로 총파업 가능성을 검토하며 단계적으로 의료계 의지를 모아 집단행동을 확정하는 절차를 밟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의협 관계자 A씨는 “현재로선 확정된 것이 없다”면서도 “6월 중 무조건 강한 움직임이 있다”고 역설했다. 이어 A씨는 “이번 주 내로 의협 시도회장단 회의를 열어 대표자 회의 일정을 결정한 후 다음 주 대표자 회의를 열어 (총파업) 윤곽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대표자 회의에는 전공의와 의대 교수, 개원의, 봉직의 등 의료계 내 다양한 세력이 참여할 전망이다. 대표자 회의에서 향후 일정 등 로드맵이 나올 예정이고 이어 총파업 개시를 위한 전원투표가 진행될 것이라는 그의 설명이다.
이에 시도회장단 회의와 대표자 회의를 거쳐 진행될 투표에서 총파업 개시가 결정될지 벌써 부터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익명을 요청한 의료계 관계자 B씨는 “전공의들이 파업을 진행할 동안 의료계는 향후 투쟁방안을 검토하고 준비해왔다”며 “찬성률 수치가 문제일 뿐 향후 총파업 일정만 확정하는 절차가 남았다”고 주장했다. 의료계 관계자 C씨는 “대표자 회의 등을 봐야겠지만 현재로선 총파업 투표에 돌입할 가능성이 높고 투표만 진행되면 찬성이 압도적으로 나올 것”이라며 “의협 집행부는 총파업을 어떻게 진행할 것이냐에 대한 구상을 하고 있다고 본다”고 언급했다.
이처럼 총파업 돌입에 대한 의료계 구상이 흘러나오고 있지만 정부는 의미를 부여하지 않는 모습이다. 전병왕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장은 이날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에서 “이미 (2025년 의대) 증원은 확정된 상태로 이와 관련, 국민 불편을 초래하는 집단행동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전 실장은 “2025학년 증원과 관련된 건 과거 일”이라며 “정부는 의료진이 50% 이상 차지하는 의료개혁특별위원회 전문위원회를 운영하고 있는데 미래를 위해 (의료계가) 동참해달라”고 당부했다. 복지부 유관기관 관계자 D씨는 “의료대란으로 의사들이 주장하는 한국 의료체계 붕괴 전에 지방 소재 병원부터 그리고 병원에 근무하는 비의사 직원부터 붕괴가 우려되는 상황”이라며 “정부와 의료계가 논의할 사안이 적지 않다”고 호소했다.
의료계가 총파업을 강행할 경우 현재도 고통을 겪고 있는 환자들이 더 큰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우려된다. 환자단체 관계자 E씨는 “의료계가 큰 싸움을 한다고 했을 때 짐작은 했지만 향후 총파업이 확정될 가능성이 있다”며 “총파업이 개시되면 일부 환자들은 생명을 위협 받는 수준이 될 수도 있다”고 토로했다. 결국 정부와 환자들이 우려하는 의료계 총파업이 조만간 결정될 가능성이 예고된다. 이에 의료계 움직임에 관심이 집중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