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먹거리 찾아 나선 재계···전기차 충전 사업 진출 본격화
GS·SK·LG·현대차 등 대기업, 충전기 30% 운영
정부, 공용전기차 충전시설 설치 보조금 전년比 42%↑

전기차가 충전되고 있는 모습. / 이미지=셔터스톡
전기차가 충전되고 있는 모습. / 이미지=셔터스톡

[시사저널e=정용석 기자] 최근 국내 전기차 수요가 주춤하고 있지만, 전기차 충전 시장 경쟁은 더욱 심화하는 모양새다. 

1일 업계에 따르면 공정거래위원회는 지난달 29일 LG유플러스와 카카오빌리티의 충전 사업 합작회사 설립을 승인했다. 공정위는 양사의 전기차 충전소 운영업(CPO) 합작회사가 전기차 충전 시장에서 경쟁을 제한할 가능성이 작다고 판단했다.

공정위는 먼저 전기차 충전 관련 시장에서 두 회사의 점유율이 낮다는 점을 감안했다. 합작 회사는 기존 LG유플러스의 충전 사업을 이관받아 시장에 진출하는데, 지난해 7월 기준 LG유플러스의 시장 점유율은 1.1%에 불과했다. 전기차 충전 플랫폼 시장에서의 점유율도 높지 않았다. 카카오모빌리티의 점유율은 지난해 말 중개 건수 기준으로 15.72%에 그쳤다.

LG유플러스와 카카오모빌리티의 충전 사업 합작회사 등판으로 충전 시장 경쟁은 더욱 심화할 것으로 보인다. 양사를 비롯해 국내 주요 기업들은 충전 시장에 공을 들이고 있다. SK그룹을 필두로 현대차, LG, GS, 롯데 등 국내 굴지의 대기업들이 전기차 충전기사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전기차 충전기의 약 30%를 대기업이 운영하고 있다. 환경부 무공해차 통합누리집에 따르면 지난해말 기준 전기차 충전기는 완속 27만923기, 급속 3만386기 등 총 30만5309기가 설치된 것으로 집계됐다. GS차지비, SK계열사 홈앤서비스와 SK일렉링크, LG유플러스, 한화솔루션, 현대차 계열사 한국전기차충전서비스 등이 8만8523기(28.9%)를 운영한다.

잠재 성장력이 큰 시장인 만큼, 새로운 먹거리로 전기차 충전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의도다. 국내 전기차 충전 시장은 2030년 6조3000억원 수준으로 지난해 대비 7배가량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완성차 업계는 충전 인프라가 부족하다고 판단, 전기차 구매를 주저하는 일반 소비자들을 겨냥하고 있다. 

국내선 현대자동차, 테슬라코리아가 직접 충전 사업을 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초고속 충전기를 내년까지 현재의 두 배 수준인 500기로 대폭 확대한다. 현대차그룹은 2021년 초고속 충전 서비스 이피트(E-pit)를 시장에 처음 내놓은 뒤 현재까지 전국 54개소에 286기를 운영 중이다. 

충전 인프라 확충을 위한 정책적 지원도 충전 시장 경쟁에 불을 붙일 전망이다. 환경부는 올해 공용전기차 충전시설 설치 보조금을 전년보다 42% 증액해 편성했다. 지난 2022년 20만기 수준이었던 전기차 충전기 설치 대수를 2025년 59만대, 2030년 123만대까지 끌어올린다는 방침이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