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데믹 위기는 한편 기회···기술 수용도 높아”

여지영 SKT 부사장이 24일 시사저널e 스타트업포럼 2021에서  ‘포스트 코로나시대, 라이징 스타트업’라는 주제로 강연하고 있다. / 사진=시사저널e
여지영 SKT 부사장이 24일 시사저널e 스타트업포럼 2021에서 ‘포스트 코로나시대, 라이징 스타트업’라는 주제로 강연하고 있다. / 사진=시사저널e

[시사저널e=이준영 기자] 

“팬데믹과 같은 큰 위기는 한편 우리에게 기회도 준다. 위기에서 사람들은 미숙하거나 위험한 기술도 받아들이고 그 확산 속도가 빨라진다. 지금이 타이밍 측면에서 기회다. 관심사인 비대면, 재택, ESG(환경·사회·지배구조)로 무장하면 더 큰 성장이 있을 것이다.”

여지영 SKT 부사장(ESG혁신그룹 오픈콜라보 담당)은 24일 시사저널e가 ‘포스트 코로나시대, 라이징 스타트업’라는 주제로 주최한 ‘스타트업포럼 2021’에서 이 같이 밝혔다. 

‘포스트 팬데믹 시대의 스타트업’이라는 주제로 기조연설을 맡은 여 부사장은 “스타트업들이 성공하기 위한 요소를 통계적으로 분석해 보면 우선 타이밍을 어떻게 잡느냐가 중요하다”며 “적절한 타이밍에 스타트업을 하는 것이 중요한 성공 요인”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금 팬데믹과 같은 큰 위기는 한편 우리에게 기회도 준다. 위기가 왔을 때 사람들은 미숙하거나 위험한 기술도 받아들이고 그 확산 속도가 빨라진다”며 “지금은 타이밍 측면에서 기회로 볼 수 있다”고 했다.

구체적으로 여 부사장은 “팬데믹 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기술 수용도가 높아지고 그 기술이 미숙하더라도 사람들은 이를 채택하게 된다”며 “사람들이 그 서비스를 경험해서 큰 만족을 얻는다면 그 사람은 이전으로 돌아가기 어려워진다”고 했다.

여 부사장은 줌(ZOOM)을 예로 들면서 “줌은 기존에 있었고 성장 해왔던 기업이다. 그러다가 팬데믹이 시작한 2020년 놀랍게 성장했다”며 “줌은 비대면과 재택 환경 변화라는 기회가 왔을 때 과감한 마케팅으로 기회를 잘 잡았다”고 했다.

특히 여 부사장은 “비대면과 재택 변화 뿐 아니라 ESG가 사회적으로 관심사이니 이로 무장하면 지금보다 더 큰 성장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여 부사장은 스타트업 혁신에 필요한 요소에 대해 “스타트업은 기존의 저항을 뛰어 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사람들의 불만족과 불편함에서 사업 기회를 찾아야 한다”며 “여기서 더 성장하기 위해서는 비전과 빠른 실행이 필요하다. 이는 대기업보다 스타트업이 갖고 있는 장점이자 우리 사회의 부족한 점”이라고 말했다.

여 부사장은 윈스턴 처칠의 말을 인용하면서 “좋은 위기를 허비하지 마라. 지금이 좋은 위기”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