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에 이어 대구·광주까지 기본요금 인하
‘타다 대리’ 시장 진입 견제 차원 분석도

카카오모빌리티가 사전 공지나 동의 없이 ‘카카오 T 대리’ 서비스의 기본요금을 기습적으로 내린 것을 두고 대리 기사들 사이에서 불만 섞인 목소리가 거세다. 서비스 출범 당시 대리 기사들의 처우 개선을 강조한 카카오모빌리티가 시장 점유율 확대에만 치중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 이미지 = 시사저널e 이다인 디자이너
카카오모빌리티가 사전 공지나 동의 없이 ‘카카오 T 대리’ 서비스의 기본요금을 기습적으로 내린 것을 두고 대리 기사들 사이에서 불만 섞인 목소리가 거세다. 서비스 출범 당시 대리 기사들의 처우 개선을 강조한 카카오모빌리티가 시장 점유율 확대에만 치중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 이미지 = 이다인 디자이너

카카오모빌리티가 ‘카카오 T 대리’ 서비스의 기본요금을 대리기사 사전동의도 공지도 없이 기습적으로 내렸다. 대리 기사들 사이에서 불만 섞인 목소리가 거세다. 서비스 출범 당시 대리 기사들의 처우 개선을 강조한 카카오모빌리티가 시장 점유율 확대에만 치중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18일 대리운전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모빌리티가 최근 카카오 T 대리 서비스 기본요금 기습 인하에 나섰다. 울산 지역의 기본요금을 9000원으로 내린 데 이어 대구·광주 지역의 기본요금도 일제히 1만원으로 내렸다. 기존 요금은 대전·대구·부산·광주·울산은 1만2000원, 충북·충남·경북·경남·전북·전남·강원·세종·제주는 1만원이다. 울산은 3000원, 대구·광주는 2000원 요금을 인하했다.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감염증 확산으로 콜 건수 자체가 줄어든 상황에서 기본요금이 내려가면 대기 기사들의 수입 감소가 불가피하다. 이 때문에 대리 기사들은 기본요금 인하가 대리 기사들의 수입 감소로 이어질 수 있음에도 카카오모빌리티가 사전 공지나 동의 없이 일방적으로 기본요금을 내렸다며 반발하고 있다.

실제 고객용 앱에는 기본요금 인하 관련 공지사항이 게시돼 있었지만 대리 기사용 앱에서는 이 같은 공지사항을 찾아볼 수 없었다.

전국대리기사 커뮤니티에서는 ‘고객들에게는 변경 사항을 적극적으로 안내하면서 정작 기사들은 무시하는 것이냐’, ‘기업의 이익추구는 당연하지만 독단적으로 시장 단가를 만진다는 점이 놀랍다’, ‘카카오가 소리소문없이 기본요금을 인하했다’, ‘가격 하락 말고는 고객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이 없는 건지 열 받는다’는 등 비판여론이 일고 있다.

김주환 전국대리운전노동조합 위원장은 “카카오가 시장을 확대하기 위해 2개월 전 부산에서 기본요금을 인하하고 최근 이를 울산, 대구, 광주까지 확대했다”며 “기본요금 변경에 대해 사전 동의나 공지는 없었다. 카카오가 시장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코로나19로 침체된 대리 시장 상황이나 기사들의 입장을 고려하지 않고 임의로 바꾸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카카오가 대리 서비스를 출범할 당시 현장 기사들의 의견을 반영하는 등 최소한 시장 가격을 무너뜨리지 않겠다고 선언했지만 막상 사업이 안정화되니까 시장가격을 교란하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카카오모빌리티 측은 “광주나 대구 등 일부 지역에 한해서 기본요금이 조정됐다”면서도 “사전에 공지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대리 기사들의 주장에는 선을 그었다.

일각에서는 카카오 T 대리 서비스 기본요금 인하를 두고 타다를 견제하기 위한 조처가 아니냐는 주장이 나온다. 타다의 시장 진출 전 이용요금을 낮춰 더 많은 고객을 확보하려는 전략이라는 것이다.

지난 16일 타다(VCNC)의 모회사 쏘카는 연내 대리운전 중개 서비스 ‘타다 대리’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쏘카는 이날부터 타다 대리 기사 1000명 모집에 나섰다.

대리운전 업계 관계자는 “카카오가 지방까지 시장 우월적 지위를 확보하고 싶어하는 것 같다”며 “기본요금 인하는 타다 대리 서비스 출시를 앞두고 일종의 고객 확보 차원의 움직임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카카오모빌리티 관계자는 “지역별 시장 요금 수준을 감안해 일부 지역에서 기본요금을 최적화했으며 사전 공지 및 약관변경에 따른 동의 절차를 진행했다”며 “시장가격을 교란한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 지역별 특성을 감안해 요금 최적화로 이용자 수요가 증가하면 대리 기사 수익 증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