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스타 첫 공개 MMO '호라이즌 스틸 프론티어스'
신더시티 '서사 즐기는 MMO 슈터'
서브컬처·슈터 등 글로벌향 장르 확장
[시사저널e=장민영 기자] 엔씨소프트가 ‘지스타 2025’를 통해 국내 중심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 포트폴리오에서 벗어나 다장르 신작으로 글로벌 시장 확장에 나섰다.
13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지스타 개막 행사에서 엔씨소프트는 신더시티를 비롯해 호라이즌 스틸 프론티어스, 리밋 제로 브레이커스, 타임 테이커즈 등 신작 5종을 공개했다. 회사는 이번 전시를 통해 장르 다변화와 글로벌 퍼블리싱 역량을 동시에 강화하겠단 전략을 내놨다.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이자 최고창의력책임자(CCO)는 “과거 대작이 시장 주도했다면, 오늘날 이용자들은 단순히 게임을 플레이하는 것을 넘어 시청하고, 공유하며, 직접 창작의 주체가 되고 있다. 새로운 문화와 기술 변화속에 선택받는 게임이 무엇일지 생각하고 있다”며 “엔씨는 MMORPG의 본질을 새로운 각도로 확장해 슈팅, 액션, 서브컬처 등에서도 엔씨만의 색깔을 담아내겠다. 신더시티와 타임테이커즈는 새로운 슈팅 경험을, 브레이커스는 서브컬처 감성을 담은 작품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지스타에서 시연하는 작품 중 '신더시티'는 글로벌 시장을 겨냥해 엔씨가 새롭게 도전하는 장르다. 자회사 빅파이어게임즈가 개발 중인 게임으로, 디스토피아 세계관의 사와 협동 플레이를 결합한 오픈월드 전략(택티컬) 슈터다.
배재현 총괄 프로듀서는 “서사를 즐기는 MMO 슈터”라고 정의하며 “단순한 사냥 중심 구조가 아닌, 자원 관리와 팀 협력, 서사 중심의 플레이로 차별화했다”고 설명했다.
황성진 신더시티 PD는 “이용자가 직접 영웅의 여정을 따라가며 딸을 잃고 변화하는 인간의 서사를 체험하도록 설계했다”며 “탄환과 자원을 관리하며 괴물과 맞서는 과정이 곧 캐릭터의 성장으로 이어지는 구조”라고 말했다.
‘신더시티’는 내년 하반기 PC와 콘솔로 동시 출시를 목표로 개발 중이다. FPS 기반의 정통 슈터 플레이와 MMO의 개방형 시스템을 결합했고, 좀비·크리처 등 글로벌 이용자가 선호 요소를 반영했다. 캠페인 모드와 오픈월드 콘텐츠는 유기적으로 연동돼, 이용자가 캠페인에서 획득한 영웅과 아이템을 실제 오픈월드에서 활용할 수 있다.
엔씨소프트는 이번 행사에서 글로벌 신작 MMORPG '호라이즌 스틸 프론티어스'를 공개했다. 이 게임은 글로벌 인기 지식재산권(IP) '호라이즌'을 기반으로 개발한 차세대 MMORPG다. 기존 국내와 아시아권 중심 MMORPG 시장을 글로벌로 확장한단 방침이다.
박병무 공동대표는 지난 12일 3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현재 내부에서도 완성도와 재미 측면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며 “글로벌 시장에 통할 수 있는 차세대 MMORPG를 준비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 외에도 엔씨는 ‘리밋 제로 브레이커스’로 서브컬처 감성의 애니메이션 액션 RPG 시장을 공략하며, ‘타임 테이커즈’를 통해 시간 기반 전투 시스템을 선보일 계획이다. 모든 신작은 글로벌 동시 서비스와 크로스 플랫폼을 지원하도록 설계됐다.
엔씨소프트는 기존 내수 MMORPG 중심 구조에서 ‘다장르 종합 IP 스튜디오’로 전환을 노린다. 이용자 참여형 콘텐츠 소비가 주류로 자리잡은 만큼, 엔씨소프트는 신규 장르 실험을 통한 글로벌 공략에 나설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