퓨리오사AI와 협업해 어플라이언스 전략 병행

강용성 와이즈넛 대표이사가 17일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열린  ‘2025 와이즈엣지’ 행사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 사진 = 와이즈넛
강용성 와이즈넛 대표이사가 17일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열린  ‘2025 와이즈엣지’ 행사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 사진 = 와이즈넛

[시사저널e=송주영 기자] 와이즈넛이 지능형 협업 기능의 멀티 에이전트 협업 플랫폼 ‘와이즈 에이전트 스피어(Wise Agent Sphere)’를 출시했다. 회사는 AI 제품군과 어플라이언스 제품을 앞세워 AI 시장 공략을 다각화할 계획이다.

와이즈넛은 17일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열린 ‘2025 와이즈엣지’ 행사에서 와이즈 에이전트 스피어를 공개했다. 와이즈넛은 이 제품 외 에이전트 설계와 학습·운영 전 과정을 지원하는 ‘와이즈 에이전트랩스(Agent Labs)’, 추론·계획·행동 기능에 특화된 거대언어모델(LLM) ‘와이즈 로아(LLOA)’, 외부 검색 기능을 갖춘 ‘와이즈 아이래그(iRAG)’ 등으로 AI 에이전트 시장 공략을 강화한다.

강용성 와이즈넛 대표는 “와이즈 에이전트스피어는 에이전틱 AI 시장을 겨냥한 핵심 플랫폼”이라며 “각 에이전트가 유기적으로 협력하면서 전체 프로세스를 혁신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향후 목표하는 시장은 생성형 AI가 아니라 에이전트”라며 “공급 논의가 활발히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장정훈 와이즈넛 CTO는 에이전트 스피어에 대해 “고객사 애플리케이션과 연결해 민원 처리 등 다양한 업무를 협업 형태로 수행할 수 있는 플랫폼”이라고 설명했다.

예컨대 민원 업무의 경우, 이메일 수신부터 유형 분류, 담당자 지정, 내부 문서 검색, 답변 작성 및 회신까지 각각의 AI 에이전트 기능이 연결된다. 민감한 문의의 경우 즉시 답변하지 않고 상급 담당자에게 전달하는 규칙 설정도 가능하다.

에이전트 스피어는 AI 기능 연계 표준인 MCP(Model Context Protocol)를 지원해 기업 애플리케이션과의 통신·호출 기능을 제공한다.

와이즈 에이전트랩스는 데이터 수집·정제, 인프라 배포 자동화, 모델 학습·배포·버전 관리, 성능 모니터링, 보안 및 거버넌스 기능을 아우른다. 또한 학습 데이터 전체가 아닌 필요한 부분만 학습해 효율성을 높이는 DART 학습 기술도 소개됐다.

와이즈넛은 퓨리오사AI와 협력해 어플라이언스 시장에도 진출한다. 퓨리오사가 개발한 2세대 인공지능 반도체(NPU) ‘레니게이드(Renegade)’ 기반의 통합 제품군을 연내 양산할 계획이다. 대표 제품으로는 에이전트 구축용 ‘와이즈 아이래그 어플라이언스’, 자연어 및 유사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서치 포뮬라-1 V7 벡터 에디션’이 포함된다.

장 CTO는 “어플라이언스는 빠른 적용이 가능하고 호환성 문제를 최소화하며 운영 비용 절감 효과가 있다”고 말했다.

강 대표 역시 “와이즈넛은 지난 25년간 축적한 경험을 기반으로 판로를 확대하고, 퓨리오사AI는 해외 테스트를 진행해 글로벌 공략에 나설 것”이라고 설명했다.

강 대표는 AI 시장에 대해서 “현재는 생성형이 유행하면 그 시장으로, 에이전트가 부상하면 다시 또 그쪽으로, 내년 피지컬AI가 많이 거론되면 그쪽으로 업체들이 일제히 몰리는 양상”이라며 “앞으로는 각 기업의 경험과 강점을 기반으로 특화된 시장으로 세분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언어처리를 25년간 다뤄온 회사는 파인튜닝을 잘할 것이고, IT서비스 기업은 프로세스·보안·서버 관리까지 강점을 살려 AI 제품화를 추진해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와이즈넛은 SaaS 기반 사업 모델을 통해 하반기에 매출이 집중되는 계절적 실적 구조도 개선해 나갈 계획이다.

강 대표는 “대화형 에이전트 챗봇은 사용량 기반 지불 구조로 SaaS 사업모델을 적용했다”며 “계약이 누적되면서 하반기에 매출이 몰리는 구조를 SaaS로 보완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