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이후 자사주 소각 공시 45건
HMM, 주식 소각 규모 가장 커
[시사저널e=한다원 기자]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국내 주요 상장사들의 자사주 소각 규모가 급증했다. 이 정부가 소액주주 권익 보호 강화 정책을 강화하면서 국내 상장사들이 자사주 소각 계획을 발표한 영향이다.
1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제21대 대통령 선거가 치러진 6월3일 이후 이달 14일까지 코스피·코스닥 상장사가 공시한 주식소각결정 건수는 총 45건으로 전년 동기(30건) 대비 50% 증가했다.
소각되는 주식 수는 1억4527만주, 소각예정금액은 5조8379억원으로 기록됐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56%, 164% 증가한 규모다.
특히 HMM의 주식 소각 규모가 가장 컸다. HMM은 2조1432억원에 달하는 8180만주를 소각했다. 이어 신한지주(1154만주·8000억원), KB금융(572만주·6600억원), 네이버(158만주·3684억원), 기아(388만주·3452억원), 현대모비스(107만주·3172억원) 등 순이었다.
이재명 대통령은 후보 시절부터 자사주 의무소각을 언급해왔다. 자사주 비율이 높은 대기업들은 선제적으로 소각하거나 추가 소각 계획을 검토하고 있다.
주식소각 결정을 공시한 기업들은 대부분 “주주가치 제고 및 주주환원 정책 확대”라고 주장한다. 일반적으로 자사주를 매입해 소각하면 전체 주식 수가 줄면서 주가가 상승하는 효과가 있다.
지난 4일 한국거래소가 발표한 ‘월간 기업가치 제고 현황’에 따르면, 올들어 지난달 말까지 상장사들의 자사주 소각 금액은 18조3000억원으로 지난해 연간 규모(13조9000억원)를 넘어섰다. 같은 기간 자사주 매입 금액은 16조원으로 지난해 전체 규모인 18조8000억원의 85.1% 수준이었다.
거래소는 “상법 개정 등 지배구조 개선 정책이 가시화되면서 상장사의 자사주 매입·소각 등 주주환원 규모도 지속적으로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현재 국회에는 자사주 의무소각과 관련된 상법개정안이 다수 발의돼 있다. 정부는 이달 3일 주주충실 의무를 포함한 상법개정안을 국회 본회의에서 처리했다. 9월엔 자사주 소각 의무화 등 후속 상법개정안에 대해 논의할 계획이다.
김남근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이 발의한 개정안은 자사주는 원칙적으로 취득 후 1년 이해 소각 하도록 하고 있다. 다만 임직원 보상 등 정당한 사유가 있는 경우 자사주 보유를 허용하고, 정기주주총회 승인을 받아야 한다. 주총 의결 시 대주주 의결권은 발행주식총수 3%로 제안한다.
차규근 조국혁신당 의원 상법 개정안은 소각 기한이 6개월이다. 김현정 민주당 의원은 신규 취득 자사주는 즉시 소각하고 기존 보유 자사주는 6개월 이내 소각하도록 하고 있다. 민병덕 민주당 의원도 원칙적으로 1년 내 소각하되, 취득 당시 자사주 총수가 발행주식총수 3% 미만인 경우 기한을 2년으로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