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ERP·DBaaS·문서 자동화

[시사저널e=송주영 기자] AI 기술과 클라우드가 비즈니스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빠르게 발전하면서, 국내 IT기업들의 협업과 신규 서비스 공개가 잇따르고 있다. SK AX는 SAP와 협력해 글로벌 ERP 모델을 공동 개발하면서 글로벌 공동 사업에도 나선다. 이로 인해 더욱 지능적이고 유연하게 운영 가능한 ERP가 공급된다.

티맥스티베로는 DBaaS 플랫폼 ‘아울DB’를, 로민은 공공부문 대상 문서 AI 서비스 ‘텍스트스코프 클라우드’를 잇따라 선보였다.데이터의 운영과 활용, 문서 처리 자동화 시장을 노렸다. .

SK AX, SAP와 제휴해 AI ERP 모델 개발

지난달 28일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린 SAP 사파이어 행사에서 SK AX 손건일 엔터프라이즈서비스부문장(왼쪽)과 SAP 마노스 랩토폴로스 최고매출책임자(CRO, Chief Revenue Officer for APAC, EMEA&MEE )가 손을 맞잡고 협력을 다짐했다.
지난달 28일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린 SAP 사파이어 행사에서 SK AX 손건일 엔터프라이즈서비스부문장(왼쪽)과 SAP 마노스 랩토폴로스 최고매출책임자(CRO, Chief Revenue Officer for APAC, EMEA&MEE )가 손을 맞잡고 협력을 다짐했다.

SK AX가 SAP와 함께 ‘AI 기반 글로벌 ERP 혁신 모델 개발 및 확산을 위한 협업’을 추진한다고 지난 11일 밝혔다.

이를 위해 SK AX 손건일엔터프라이즈서비스부문장과 SAP 마노스 랩토폴로스 아시아·태평양(APAC), 유럽·중동·아프리카(EMEA), 중부·동유럽(MEE) 지역 최고매출책임자(CRO, Chief Revenue Officer for APAC, EMEA&MEE )는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린 SAP 사파이어 행사에서 만나 협력키로 했했다.

SK AX는 AI 기술과 SAP의 ‘비즈니스 AI역량’을 결합해, ERP 신규 도입 또는 업그레이드 전환을 고민하는 기업에 ‘AI ERP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글로벌 시장을 겨냥한 공동 사업 확장을 본격화한단 계획이다.

SK AX 손건일 부문장은 “AI 기술을 ERP에 효과적으로 접목하는 데 있어 기술적 준비는 이미 끝났고, 이제는 실제 고객 환경에서 구현하고 확산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신뢰할 수 있는 AI-Powered ERP 모델을 SAP와 협업하여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티맥스티베로, DBaaS 플랫폼 ‘아울DB’ 공식 출시

 ‘아울디비(OwlDB)’ 로고 / 이미지 = 티멕스티베로
‘아울디비(OwlDB)’ 로고 / 이미지 = 티멕스티베로

티맥스티베로가 20여 년간 축적해 온 데이터베이스 기술력과 클라우드 역량을 집약한 DBaaS(Database as a Service) 플랫폼, ‘아울디비(OwlDB)’를 공식 출시했다고 12일 밝혔다.

아울DB는 온프레미스 환경에서 복잡하게 이루어지던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운영 과정을 자동화하고, 웹 기반의 직관적 관리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 운영의 진입 장벽을 낮췄다. 티베로 DBMS의 엔터프라이즈급 기능과 성능을 클라우드 서비스로 진화시켰다.

아마존웹서비스(AWS) 마켓플레이스에서 첫 선을 보인 아울DB는 사용자가 정의한 DB 운영 방식에 따라 인프라 구축부터 운영체제 환경 설정, 데이터베이스 설치·구성까지의 전 과정을 자동화한다.

웹 기반 UI를 통해 파라미터 설정, 테이블스페이스 관리, 백업 및 복구 등 다양한 DB 관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오류를 줄이고 운영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박경희 티맥스티베로 박경희 대표이사는 “아울DB는 지혜와 통찰을 상징하는 부엉이에서 착안한 서비스명으로, 24시간 365일 무중단 가용성과 실시간 모니터링 관리를 핵심 가치로 담고 있다”고 말했다.

로민, NIA ‘공공부문 SaaS 개발·검증’ 사업 주관기업 선정

다큐먼트 AI 전문기업 로민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주관하는 ‘2025년 공공부문 이용 SaaS 개발·검증’ 사업의 주관기업으로 최종 선정됐다고 9일 밝혔다.

로민은 이번 과제를 통해 구축형 다큐먼트 AI 플랫폼 텍스트스코프 스튜디오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버전인 텍스트스코프 클라우드를 개발하고, 공공기관에 AI 기반 문서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할 예정이다.

텍스트스코프 클라우드는 공공부문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형태의 문서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분석할 수 있는 문서 AI 솔루션으로 선보일 계획이다.

텍스트스코프 클라우드에는 필기체·인쇄체·타자체를 인식하는 AI OCR 기술을 비롯해, 문서 자동 분류, 정형 서식 인식, 생성형 AI 기반 검색 및 요약, 기관 맞춤형 AI 학습·배포(MLOps) 기능 등 로민의 핵심 기술이 클라우드 환경에 순차적으로 구현될 예정이다.

로민은 이번 사업을 통해 2025년부터 2026년까지 총 6개 주요 솔루션을 SaaS로 전환한다.

강지홍 로민 대표는 “문서 기반 행정업무를 보다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는 SaaS 모델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며, “이번 과제를 통해 신뢰성 높은 공공문서 AI 인식 서비스를 구현하고, 공공 SaaS 도입의 모범 사례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