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킹사태로 지난달 5일 신규가입 중단···대리점 폐업 사례도 발생

[시사저널e=김용수 기자] SK텔레콤 대리점주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해킹 사고 후 내려진 신규 가입 중단 조치가 만 1개월이 되도록 재개되지 않으면서다. 앞서 SK텔레콤은 지난달 5일 전국 2600여개 대리점에서 번호이동 신규영업을 중단한 바 있다. 이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행정지도에 따른 것으로 T월드 매장에선 신규가입과 번호이동을 일시 중단하고 유심 교체 업무에 집중하고 있다.

신규 영업 중단 기간이 길어지자, SK텔레콤 대리점협의회는 SK텔레콤에 신규 모집 정지 기간 손실에 합당한 보상안을 조속히 제시할 것을, 정부에 신규 모집 중단을 철회할 것을 촉구하는 성명서를 내기도 했다.

이와 관련 SK텔레콤은 대리점을 위해 유심 교체 업무와 휴일 매장 운영을 지원하고 매장당 500만원씩 대여금을 3개월간 무이자 지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신규 영업 정지로 수익을 내지 못한 부분에 대해선 정지 기간이 해제되는 시점에 보상할 계획이라고 했다.

그러나 대리점주들은 보상대책이 구체적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실효성이 떨어진다고 지적한다. 회사는 영업 재개 시점도 구체적으로 밝히지 못하고 있다. 유심 교체가 완료되는 시점에 맞춰 재개를 검토하겠단 입장만을 내놓은 상태다.

SK텔레콤에 따르면 전날 기준 603만명이 유심 교체를 마쳤고, 유심 교체 예약자는 325만명으로 감소했다. 사고 발생 한달 반이 다 됐지만, 아직 유심 교체 희망자가 교체 완료자의 절반가량 남았단 점을 고려하면 영업 중단으로 인한 대리점 피해는 수일간 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물론 해킹 사고로 인한 가입자의 개인정보 유출 우려가 현재진행형이란 점에서 신규가입 중단 대신 기존 가입자의 유심 교체에 집중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다만 대리점주들도 이번 사태의 피해자다. 경기 불황 속 월세와 인건비를 부담하며 생계를 유지 중인 대리점주들의 폐업 소식도 곳곳에서 들려오는 상황에서 SK텔레콤이 보다 적극적인 보상안 마련에 나설 필요가 있다. 오늘 새롭게 시작된 이재명 정부는 해킹 사태에 대한 면밀한 조사 못지않게 대리점주에 대한 피해 사례도 면밀히 살펴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