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마 창립 35주년 기념식서 직접 발언
“가치 중심 경영은 콜마의 뿌리이자 미래”
[시사저널e=한다원 기자] 콜마홀딩스와 콜마비앤에이치 간 경영권 갈등이 불거진 가운데 창업주 윤동한 회장이 “현 체제를 유지하겠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15일 윤동한 회장은 한국콜마 종합기술원에서 열린 콜마그룹 창립 35주년 기념식에 참석해 “콜마그룹은 화장품과 제약, 건강기능식품이라는 세 가지 축을 중심으로 성장해왔으며, 앞으로도 글로벌 시장을 향해 나아가는 가치 중심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35년간 ‘돈보다 가치’를 경영 철학으로 내세웠던 윤 회장은 “창업을 통해 안정된 직장생활보다 경영자의 길을 선택했고 미국콜마 상표권 인수, 인재 양성을 위한 여주 연수원과 종합기술원 설립 결정 등은 모두 기업의 정체성과 사람 중심의 가치를 지키기 위한 것이었다”고 말했다.
콜마는 미국 듀폰(DuPont)의 가족경영 방식을 참고해왔다. 가족성과 전문성을 균형있게 접목한 ‘네오레포티즘(Neorepottisn)’ 경영 철학을 실천했다.
그는 “가치 중심 경영은 콜마의 뿌리이자 미래”라면서 “콜마홀딩스, 한국콜마로 대표되는 화장품·제약 부문은 윤상현 부회장이, 콜마비앤에이치로 대표되는 건강기능식품 부문은 윤여원 대표가 각각 맡기로 한 것은 충분한 논의와 합의를 거친 결과이며, 지금도 그 판단에는 변함이 없다”고 강조했다.
윤동한 회장은 두 후계자인 윤상현 부회장과 윤여원 대표에 대해 “각자의 분야에서 탁월한 성과를 이루고 있다”면서 “두 사람 모두 콜마의 미래를 함께 이끌 리더들로 앞으로도 두 사람은 서로 반목할 것이 아니라 서로의 역할과 가치를 인정하며 더 큰 시너지를 만들어가는 단계로 나아가야 한다”고 평가했다.
특히 최근 불거진 경영권 이슈에 대해 윤 회장은 “윤상현 부회장의 저의 가족경영에 대한 철학과 기존에 합의된 경영 승계 구조에 이견을 표한 것”이라며 “이러한 상황은 그룹의 경영안정성과 그룹의 임직원, 소비자 및 주주 신뢰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에 창업주로서 깊은 책임감을 통감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이러한 이견이 갈등처럼 비춰진 점은 유감스럽지만 이번 사안을 미래를 위한 일시적인 조율의 과정으로 보고, 창업주로서 직접 나서 그룹이 하나의 목표를 향해 나갈 수 있도록 조정하고 중재하는 역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끝으로 윤 회장은 “‘갈등’은 칡과 등나무처럼 얽히는 것을 의미하지만 요즘에는 갈비냐 등심이냐의 사소한 문제를 갈등이라 표현하기도 한다. 이제 사안을 풀고 나아갈 시점”이라며 “콜마의 다음 35년은 글로벌 무대에서 책임 있는 가치 중심 기업으로 자리매김하는 시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