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등급 채권도 불어나···건전성 '악화'
당분간 경기 회복 어려워···위험 관리 '비상'
[시사저널e=유길연 기자] 지역 경기 침체로 지방은행의 연체율이 치솟고 부실채권 규모가 크게 늘었다. 당분간 거시경제 불확실성이 이어질 가능성이 큰 만큼 자산건전성 악화 추세는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역을 기반으로 한 은행 5곳(BNK부산·BNK경남·전북·광주·iM뱅크)의 올해 3월 말 기준 기업대출 연체율(단순 평균)은 1.03%로 집계됐다. 한해 전(0.71%)과 비교해 0.32%포인트 상승했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등 4대 시중은행의 연체율 평균치인 0.39% 대비 세 배 가까이 높은 수준이다.
iM뱅크의 연체율이 가장 크게 올랐다. 올 1분기 말 연체율은 1.32%로, 1년 동안 0.60%포인트 치솟았다. 광주은행도 같은 기간 0.43%포인트 오른 0.96%를 기록했다. 이 외에 전북은행(0.34%포인트), 경남은행(0.22%포인트), 부산은행(0.01%포인트) 순으로 연체율이 상승했다.
부실등급채권(고정이하여신) 규모도 불어났다. 5개 지방은행의 1분기 말 부실채권 잔액은 1조897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3.05% 급증했다. 특히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의 부실채권 잔액은 1년 만에 각각 156.2%, 84.8% 크게 늘었다. 보통 원리금 상환이 3개월 이상 밀린 대출채권은 부실등급으로 분류된다.
지방은행의 건전성 수준이 시중은행보다 낮은 이유는 기업대출 비중이 높기 때문이다. 올 3월 말 부산은행의 기업대출 연체율은 0.70%로 전년 동기 대비 0.01%올랐으며, 경남은행은 같은 기간 0.25%포인트 치솟은 0.65%를 기록했다. iM뱅크의 기업대출 연체율도 0.45%포인트 급등한 1.09%였다. 전북은행(1.53%), 광주은행(0.96%)도 각각 0.34%포인트, 0.43%포인트 상승했다.
그런데 최근엔 가계대출 연체율도 악화됐다. 5개 지방은행의 1분기 말 가계대출 연체율 평균은 0.95%로 1년 전 대비 0.04%포인트 상승했다. 고금리·고환율·고물가 속에 내수 부진이 장기화하는 데다 지역의 경기 침체까지 맞물리면서 취약차주들이 빠르게 늘어나는 것으로 분석된다.
문제는 지역 경기가 당분간 회복될 가능성이 크지 않단 점이다. 올해 거시경제 불확실성이 이어지면서 경제성장률은 1% 아래를 밑돌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경기 침체가 이어지면 지역의 건설사들은 잇달아 도산할 가능성이 있다. 부동산 시장 침체로 지역 건설사들은 현재 심각한 경영난을 겪고 있다.
지방은행의 자산건전성이 계속 악화되면 은행 실적도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비용 항목인 대손충당금이 불어나기 때문이다. 이미 올 1분기에 지방은행은 충당금을 대거 늘렸다. 특히 경남은행은 작년 동기 대비 충당금을 111.4% 확대했다. 부산은행도 같은 기간 94% 더 쌓았으며, 전북은행은 20.5% 늘렸다.
대손충당금은 주식, 채권, 펀드, 대출채권 등 은행이 보유한 금융자산 가운데 손실이 발생할 부분을 미리 파악해 비용으로 처리하는 회계 계정이다. 경기가 좋아지지 않거나, 원리금 상환을 하지 못하는 등 부실징후가 나타난 대출채권이 늘어나면 충당금은 증가한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최근엔 시중은행의 연체율도 오를 정도로 국내 경제 상황이 좋지 못하다"라면서 "지방은행은 올해 나머지 기간 건전성 관리에 더욱 집중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