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日 정상회담서 ‘핵보유국’ 발언 논란 불식
“김정은과 매우 잘 지냈다”···대화 재개 의지 재확인
구체적 대북정책 수립까지 수개월 소요 전망
[시사저널e=시사저널e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기 행정부의 한반도 정책 기조를 처음으로 구체화했다. 7일(현지시간) 워싱턴에서 개최된 미일정상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원칙을 고수하면서도 대화를 통한 문제 해결 의지를 동시에 표명했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의 정상회담 직후 가진 공동 기자회견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인도·태평양 전역에서 ‘힘을 통한 평화’를 구축하겠다”며 “1기 행정부에서 시작한 한반도 안전과 안정 확보를 위한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이번 회담은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취임식에서 북한을 ‘핵보유국’(Nuclear Power)으로 지칭해 촉발된 우려를 불식시켰다는 점에서 주목받았다. 이시바 총리는 “양국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해 협력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가 북한과의 부분적 핵군축이나 ICBM 등 미국 본토 위협 해소에만 집중할 것이라는 관측을 불식시켰다.
트럼프 대통령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외교적 해법 모색 의지도 재확인했다. 그는 “우리는 북한, 김정은과 관계를 맺을 것”이라며 “나는 그들과 매우 잘 지냈고, 전쟁을 막았다”고 강조했다. 특히 북한 및 김 위원장과의 우호적 관계가 “모두에게 매우 큰 자산”이라고 평가하며 지난달 23일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언급한 대화 재개 의지를 재차 확인했다.
미 행정부 고위 당국자는 정상회담 사전 브리핑에서 “북한 비핵화 과정에서 일본, 한국 등 파트너들과 계속 보조를 맞출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가 대북 협상 과정에서 동맹국들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일방적인 양보나 타협을 배제하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발언이 북한에 대한 분명한 메시지를 담고 있다고 분석한다. 북한이 완전한 비핵화 원칙을 수용하고 대화에 나설 경우 미국도 이에 상응하는 조치를 검토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만 국무부 등 대북 라인 인선이 아직 완료되지 않은 만큼, 구체적인 대북정책 수립까지는 최소 수개월이 더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미일정상회담 결과는 인도·태평양 지역 전반의 안보 구도에도 중요한 함의를 갖는다. 트럼프 행정부가 대북정책에서 동맹국들과의 공조를 강조함으로써, 역내 안보 협력 체제를 더욱 강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중국의 영향력 확대에 대한 견제와 함께, 북한 비핵화를 위한 국제사회의 단합된 압박을 지속하겠다는 의지로도 읽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