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불안정으로 아파트 매매시장 침체 영향
빌라는 전세사기 여파로 전세 수요 급감

서울 은평구 한 빌라촌의 모습 / 사진=연합뉴스
서울 은평구 한 빌라촌의 모습 / 사진=연합뉴스

[시사저널e=유길연 기자] 새해에도 아파트 매매시장의 침제 영향으로 아파트 전세가율(매매가 대비 전세가격 비율)은 상승세가 지속됐다. 하지만 빌라의 전세가율은 전세사기여파로 하락했다. 

2일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아파트 전세가율은 68.0%를 기록했다. 국민은행이 2022년 11월 전면적으로 시세 조사 표본을 확대 개편한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2023년 4월 50.8%까지 떨어졌던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도 올해 1월 54.1%로 상승했다. 마찬가지로 2022년 11월 표본 개편 이후 가장 높았다.

이는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규제와 함께 계엄과 탄핵 등 정치적 혼란으로 인해 매매시장이 침체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KB 조사 기준으로 지난달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55% 하락하며 내림세가 이어졌지만, 전셋값은 2.07% 올라 10개월 동안 우상향하고 있다. 서울은 1월 들어 매매가격이 3.11% 오른 것으로 조사됐지만 전셋값 상승폭은 6.18%로 2배 가까이 높았다.

반면 연립주택의 전세가율은 계속 떨어지고 있다. 올해 1월 전국과 서울의 연립주택 전세가율은 각각 69.8%, 70.1%를 기록했다. 국민은행 표본 개편 후 가장 낮았다. 전세사기 사태의 충격으로 빌라 전세 수요가 크게 감소하면서 전세값이 하락했기 때문이다. KB 조사에서 올해 1월 전국의 연립주택 매매가격은 0.25% 올랐으나 전셋값은 0.40% 내렸다. 전셋값은 2023년 5월 이후 1년8개월째 떨어지고 있다. 

더불어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전세보증금 반환보증과 임대사업자의 임대보증금보증 가입 요건을 강화한 점도 빌라 전세가율 하락의 원인으로 꼽힌다. 빌라 매매가격이 하락한 상황에서 '공시가격의 126%' 수준으로 강화된 보증 가입 요건을 맞추기 위해 전세 보증금을 낮추는 임대인들이 늘어난 것이다. 

시장에선 아파트 전세가율 상승이 지속되면 갭투자가 늘어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매매시장이 회복되고 전세가율이 더 오르면 전세를 끼고 집을 사는 사례가 증가할 것이란 전망이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