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년 만에 재현된 탄핵정국·트럼프 2기 행정부 시동
짧은 시간 마련한 대응책, 모니터링 강화로 美中 파악 ‘만전’
[시사저널e=유호승 기자] 재계가 설 명절 이후 윤석열 대통령 탄핵 정국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보호무역주의 강화 등에 대응하는 비상플랜을 본격 가동한다.
삼성전자와 SK, 현대차, LG, 포스코 등 국내 주요 기업은 8년 만에 재현된 대통령 탄핵 상황과 트럼프 2기 행정부 가동 등으로 지난해 말부터 사업계획을 전면 재검토했다.
특히 12·3 계엄 이후 환율·증시 변동 폭이 커지는 등의 악재가 불거지면서 무역수지 악화와 외국인 자금 이탈 등을 경계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한 재계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의 당선에 대해선 다양한 시나리오를 준비해 예전부터 준비한 내용이 있어 국내 산업계에 미치는 충격이 크지 않은 편”이라며 “반면 탄핵 정국은 전혀 예상하지 못한 연말에 터진 큰 이슈여서 경영진은 물론 평사원까지 새해 사업계획을 마련하는데 매우 분주한 시기를 보냈다”고 말했다.
주요 기업집단은 지난해말 국내외 임원급이 집결하는 전략회의 등을 열어 올해 사업전략을 긴급하게 수정했다.
윤석열 정부의 친기업 정책이 올스톱된 상황인 만큼 우선적으로 고정비 감소는 물론 경비 절감 등 몸집 줄이기에 나선다. 과감한 투자보다 보수적으로 접근하기로 대부분의 기업집단이 의견을 모으기도 했다. 또 국내외 시장의 면밀한 모니터링으로 위기 돌파의 단초를 마련한 것이 핵심이다.
이를 통해 계엄 이후 50여일이 지난 현재는 어느 정도 안정화가 된 모습이다. 시간이 촉박했음에도 대내외 변수를 빠르게 파악해 비상 대응 체계를 마련했기 때문이다. 준비된 계획은 설 명절이 끝난 다음달 본격적으로 시행될 예정이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폭탄 및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폐지 수순에 대해서도 일정 수준의 대응책을 마련·실행 중이다.
다른 재계 관계자는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에 대한 구체적인 발표가 없는 상황에서는 현지 상황파악이 최우선”이라며 “주요 무역 적자국인 중국이 최대 타깃이 될 것이 확실해, 우리나라는 미국은 물론 중국 상황도 파악해야 한다”고 전했다.